뇌물수수

사건번호:

96도1258

선고일자:

199703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지방의회의원이 형법상 공무원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라 함은 광의로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의 공무를 담당하는 일체의 자를 의미하며, 협의로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공법상 근무관계에 있는 모든 자를 말하는바, 지방자치법 제32조에 의하면 지방의회의원은 명예직으로서 의정활동비와 보조활동비, 회기 중 출석비를 지급받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정기적인 급여를 지급받지는 아니하나,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3항에 의하면 특수경력직 공무원 중 정무직 공무원으로 '선거에 의하여 취임하는 자'를 규정하고 있고, 지방자치법 제35조 이하에 의하면 지방의회의원은 여러 가지 공적인 사무를 담당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공직자윤리법에 의하면 지방의회의원도 공직자로 보아 재산등록 대상자로 규정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비록 지방의회의원이 일정한 비용을 지급받을 뿐 정기적인 급여를 지급받지는 아니한다고 하더라도 공무를 담당하고 있는 이상 지방의회의원은 형법상 공무원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129조 , 지방자치법 제32조 ,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3항 , 공직자윤리법 제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6. 11. 15. 선고 95도1114 판결(공1997상, 131)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김형기 외 1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1996. 4. 23. 선고 95노2476 판결 【주문】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 및 제1심판결의 채택증거에 의하면, 피고인들에 대한 뇌물수수죄를 인정하기에 충분하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뇌물수수죄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라 함은 광의로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의 공무를 담당하는 일체의 자를 의미하며, 협의로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공법상 근무관계에 있는 모든 자를 말한다고 할 것이다. 지방자치법 제32조에 의하면 지방의회의원은 명예직으로서 의정활동비와 보조활동비, 회기 중 출석비를 지급받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정기적인 급여를 지급받지는 아니하나,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3항에 의하면 특수경력직 공무원 중 정무직 공무원으로 '선거에 의하여 취임하는 자'를 규정하고 있고, 지방자치법 제35조 이하에 의하면 지방의회의원은 여러 가지 공적인 사무를 담당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공직자윤리법에 의하면 지방의회의원도 공직자로 보아 재산등록 대상자로 규정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비록 지방의회의원이 일정한 비용을 지급받을 뿐 정기적인 급여를 지급받지는 아니한다고 하더라도 공무를 담당하고 있는 이상 지방의회의원은 형법상 공무원에 해당한다 고 할 것이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공무원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도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들의 상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집행관 사무소 직원은 뇌물죄로 처벌할 수 있을까? - 공무원의 범위에 대한 고찰

법원 집행관 사무소에서 일하는 사무원은 공무원으로 볼 수 없으므로 뇌물죄로 처벌할 수 없다.

#집행관 사무원#뇌물죄#공무원#무죄

형사판례

지방의회 의장 선거와 뇌물죄

지방의회 의원들이 의장 선거와 관련하여 금품 및 투기적 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받은 행위에 대한 뇌물죄 성립 여부를 판단한 사건. 투기 사업 참여 기회 제공도 뇌물에 해당하며, 실제 이익을 얻지 못했더라도 뇌물죄가 성립한다는 점과 지방의회 의장 선거 관련 금품 수수는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뇌물죄가 성립한다는 점을 명시.

#지방의회#의장 선거#뇌물수수#투기 사업 참여 기회

형사판례

지방공기업 임직원의 뇌물죄, 공무원처럼 처벌될 수 있을까?

지방공사 직원도 뇌물을 받으면 공무원처럼 처벌받는다. 지방공사 직원의 업무는 공공성이 높기 때문에 뇌물수수를 엄격히 처벌해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이다.

#지방공사#뇌물수수#공무원#처벌

형사판례

자격 없는 공무원의 뇌물수수, 처벌 가능할까?

임용 자격이 없었던 사람이 공무원으로 일하며 뇌물을 받았다면, 임용 자체는 무효라도 뇌물죄로 처벌받는다.

#무효 임용#공무원#뇌물수수#뇌물죄

형사판례

지방공기업 직원의 뇌물죄, 어디까지 적용될까?

지방공사와 지방공단 직원도 뇌물죄로 처벌할 수 있고, 직무 관련자에게 받은 금품은 사교적 의례라도 뇌물로 간주된다는 대법원 판결.

#지방공사#공단#뇌물죄#직무관련성

형사판례

공무원 뇌물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공무원이 공개된 장소에서 돈을 받아 부하직원에게 썼더라도 뇌물죄가 성립하고, 사교적 의례처럼 보이더라도 직무 관련 대가성이 있으면 뇌물죄가 성립한다는 판례.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과 수뢰죄에서 '직무'의 범위에 대한 내용도 포함.

#뇌물죄#공개된 장소#부하직원 사용#사교적 의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