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6.28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법 적용은 어떻게?

과거 토지초과이득세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던 분들 많으시죠?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난 후 관련 법들이 어떻게 바뀌었고, 또 어떻게 적용되는지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을 겁니다. 오늘은 이 부분을 좀 더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핵심 쟁점 3가지

이번 판결에서는 크게 세 가지 쟁점이 다뤄졌습니다.

  1.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 소급 적용될까? (O)
  2. 건축물 부속토지 계산, 기준 면적이 여러 개면 어떻게 할까? (면적이 큰 기준 적용)
  3. 개정된 기준시가 관련 법, 소급 적용될까? (O)

1. 개정 법령의 소급 적용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92헌바49, 52) 이후 토지초과이득세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개정된 법이 납세자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과거 사건에도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이미 끝난 사건뿐 아니라 현재 재판 중인 사건에도 적용됩니다. (헌법 제107조 제1항,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2. 건축물 부속토지 계산: 면적이 큰 기준 우선

토지에 건물이 여러 개 있을 경우,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1항 제4호 (가), (나)목처럼 부속토지 면적 계산 기준이 여러 개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어떤 기준을 적용해야 할까요?

이 판결에서는 부속토지 면적이 더 크게 인정되는 기준을 우선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가)와 (나) 중 면적이 더 크게 계산되는 쪽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비록 과거에는 '면적이 작은 경우 우선'이라는 시행령(구 토지초과이득세법시행령 제25조 제1항 제7호)이 있었지만, 이후 개정된 시행령은 '각 호' 사이의 경합에만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목' 사이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1항 제4호 (가), (나)목, 제5항, 토지초과이득세법시행령 제25조 제1항 제7호)

3. 기준시가 관련 법 개정: 소급 적용

토지초과이득세 계산 시 기준시가를 언제 시점으로 할 것인지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 부분도 법 개정이 있었는데, 역시 납세자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과거 사건에도 소급 적용됩니다. (토지초과이득세법 제11조 제2항, 헌법 제107조 제1항,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사실 개정 전 법에서도 같은 해석이 가능했지만, 이번 개정을 통해 이를 명확히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부속토지 면적 계산 기준이나 기준시가 적용 시점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고,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참고 판례:

  • 헌법재판소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 결정
  • 대법원 1995. 7. 28. 선고 94다20402 판결
  •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2누18122 판결
  • 대법원 1996. 1. 26. 선고 93누17911 판결
  • 대법원 1996. 4. 26. 선고 93누401 판결
  • 대법원 1996. 4. 26. 선고 93누12893 판결
  •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3누16468 판결
  • 대법원 1995. 10. 13. 선고 93누22548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법 적용은 어떻게 될까요?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토지초과이득세법이 바뀐 후에도, 납세자에게 유리한 옛 법령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판례는 옛 법령에 따라 '건축 목적'으로 토지를 취득했는지, 즉 유휴토지가 아닌지를 판단할 때 건축허가 신청 여부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건축목적#헌법불합치

민사판례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토지초과이득세 환급

헌법에 맞지 않는 옛날 토지초과이득세법 때문에 미리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네,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법은 납세자에게 유리하면 과거 사건에도 적용되고, 위헌적인 부분이 삭제된 만큼 미리 낸 세금도 전액 환급받아야 합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위헌#세금환급#전액환급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쟁점은 무엇일까?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의 소급적용, 임대 및 농지 여부 판단 오류, 주택 부속토지 산정 방법 등에 대한 판결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소급적용#임대토지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위헌 논란과 세율 개정의 소급 적용

헌법재판소가 토지초과이득세법 일부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후 개정된 세율과 기본공제 조항은 이전 판결에도 소급 적용된다.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세율#기본공제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쟁점 총정리!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을 소급 적용해야 하며, '나지'의 정의, 토지 사용 제한 여부, 건축 목적의 판단 기준, 그리고 토지 가격 결정의 적법성에 대한 입증 책임 등을 다룬 판례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소급적용#나지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무허가 건축물, 그리고 기준시가: 땅값 상승에 따른 세금,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건축허가가 취소된 건물이라도 재산세 과세대장에 등록되어 있고 1989년 12월 31일 이전에 지어졌다면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토지초과이득세#건축허가취소#무허가건물#재산세 과세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