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7.11

형사판례

파기환송 판결의 기속력,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기

대법원은 최근 파기환송 판결의 기속력에 대한 중요한 판단을 내놓았습니다. 하급심이 상급심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한 사례인데요, 오늘은 이 판례를 통해 파기환송 판결의 기속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병원 물리치료사가 환자를 추행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1심은 유죄를 선고했지만, 피고인은 항소했고, 상급심(환송 전 원심) 역시 유죄를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환송 전 원심의 판단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사건을 다시 하급심(환송 후 원심)으로 돌려보냈습니다(파기환송). 쟁점은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과 여러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였습니다. 대법원은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목격자들의 진술을 배척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파기환송 판결의 기속력

대법원은 상급심의 판단은 하급심을 기속한다는 법원조직법 제8조를 근거로, 파기환송 판결의 사실상 및 법률상 판단 역시 하급심을 기속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즉, 상급심에서 사건을 다시 판단하라고 돌려보낼 때 그 이유(파기이유)에 포함된 사실 인정과 법리 해석은 하급심을 구속한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증거가 제시되어 기존 증거관계에 변동이 생기지 않는 한, 하급심은 상급심의 판단을 따라야 합니다. (대법원 2005. 3. 25. 선고 2003도3976 판결, 대법원 2009. 4. 9. 선고 2008도10572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환송 후 원심은 대법원의 파기이유와 달리 다시 유죄를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환송 후 원심이 새로운 증거 없이 대법원의 판단과 다른 결론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환송 후 원심이 제시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에 대한 판단은 이미 대법원에서 기속력 있는 판단을 내린 부분이었고, 새로운 증거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핵심 정리

  • 상급심의 파기환송 판결의 사실 인정 및 법리 해석은 하급심을 기속합니다.
  • 하급심은 상급심의 판단을 존중하고, 새로운 증거 없이 이와 다른 판단을 내려서는 안 됩니다.
  • 이는 법원조직법 제8조,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384조, 민사소송법 제436조 제2항 등에 근거합니다.

이번 판례는 파기환송 판결의 기속력을 다시 한번 명확히 한 중요한 사례입니다. 사법 시스템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급심은 상급심의 판단을 존중하고 그 취지에 맞게 심리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법원 판결로 알아보는 환송판결의 기속력

상고심(대법원)에서 사건을 돌려보낸 경우(환송), 환송받은 하급심은 대법원의 판단에 따라야 한다. 단, 새로운 증거가 나와서 대법원 판단의 근거가 바뀌었다면 예외이다.

#대법원#환송심#기속력#새로운 증거

형사판례

상급심 판결의 기속력, 어디까지일까?

대법원은 상고심에서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된 사건을 다시 유죄로 판단한 군사법원의 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는 상고심의 파기이유가 하급심을 기속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상고심#파기이유 기속력#군사재판#무죄

민사판례

대법원 판결로 알아보는 환송판결의 기속력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사건을 다시 심리하는 하급심은 대법원의 판단에 기속되지만, 새로운 증거로 사실관계가 바뀌거나 대법원이 지적한 오류만 피한다면 다른 법리를 적용해 이전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파기환송#기속력#하급심#대법원

민사판례

파기환송심의 기속력, 어디까지일까?

대법원은 파기환송 판결의 기속력이 파기 이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부분에만 미치고, 파기 이유와 상관없는 부수적인 지적 사항에는 미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파기환송#기속력#범위#파기이유

민사판례

대법원, 환송판결의 기속력 범위 명확히 해

대법원은 환송판결의 기속력이 미치는 범위를 명확히 하면서, 새로운 증거로 사실관계가 달라진 경우에는 환송판결에 구애받지 않고 판단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쉽게 말해, 대법원이 특정 사실관계에 대해 판단을 내렸더라도, 하급심에서 새로운 증거가 나오면 그 증거를 바탕으로 다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환송판결#기속력#새로운 증거#사실관계

민사판례

대법원 판결로 알아보는 환송판결의 기속력

대법원이 하급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하라고 돌려보낼 때(환송), 하급심은 대법원의 어떤 판단에 따라야 할까요? 이 판례는 대법원이 절차상의 문제점을 지적한 부분에 대해서만 하급심이 따라야 하고, 사건의 본질적인 내용에 대한 판단은 다시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환송판결#기속력#절차적 문제#사실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