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사업 목적 외에 땅을 사면 투기로 간주되어 취득세가 더 많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비업무용 토지' 때문인데요. 오늘은 회사의 비업무용 토지에 대한 취득세 중과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업무용 토지, 왜 문제가 될까요?
법에서는 회사가 사업 목적과 상관없이 땅을 사서 보유하는 것을 경계합니다. 땅의 효율적인 이용을 방해하고 투기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비업무용 토지에 대해서는 취득세를 중과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임대업, 부동산매매업처럼 토지와 직접 관련된 사업을 하는 회사는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사업을 핑계로 과도하게 땅을 사두는 것을 막기 위해서죠. (구 지방세법 제112조 제2항,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의4 제1, 2, 3항)
부동산매매업 회사가 땅을 샀다면?
만약 부동산매매업 회사가 땅을 샀다면, 그 땅이 비업무용 토지인지 아닌지 어떻게 판단할까요? 핵심은 '주업' 여부입니다. 땅을 취득할 당시 부동산매매업이 회사의 주된 사업이었는지를 봐야 합니다. 회사의 등기부등본에 부동산매매업이 목적사업으로 등록되어 있고, 실제로도 주된 사업 활동이 부동산 매매였다면 비업무용 토지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등기부등본에 부동산매매업이 없다면,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비업무용 토지로 취급되어 취득세가 중과됩니다.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의4 제3항)
판결 사례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한 회사가 돈을 빌려준 후, 돈을 돌려받지 못하자 채무자 회사의 건물 점포 51개의 소유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이 점포들을 팔기 위해 점포가 위치한 땅의 지분 일부를 취득했습니다. 이 회사는 땅을 산 목적이 점포 매각을 위한 것이었고, 영리 목적으로 땅을 샀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 땅을 비업무용 토지로 판단했습니다. 회사의 주된 사업이 부동산매매업이 아니었고, 점포 매각을 위해 꼭 그 땅을 사야만 했던 "정당한 사유"가 없다고 본 것입니다. (대법원 1995. 4. 7. 선고 94누13473 판결)
핵심 정리
회사가 땅을 취득할 때는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 상담하여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겠죠?
세무판례
회사가 임대 사업을 하려고 땅을 샀는데, 등기부에 임대 사업 목적이 없으면 투기 목적으로 보고 취득세를 더 많이 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빈 공간에 물건을 쌓아둔 것은 건물을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세무판례
이 판례는 기업이 토지를 취득했을 때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과,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취득 시점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또한 기업이 토지를 취득 후 1년 내 업무에 사용하지 못했더라도 '정당한 사유'가 인정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세무판례
이 판례는 회사가 주택건설용으로 산 땅을 실제로 집을 짓지 않고 팔았을 때, 그 땅이 세금이 많이 나오는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회사의 주된 사업, 땅을 판 시점, 땅을 못 쓰게 된 이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무판례
토석채취를 목적으로 임야를 취득한 회사가 취득세 중과 대상인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
세무판례
회사가 사업 목적이 아닌 토지를 사면 취득세를 더 내야 하는데, 이 판례는 그 기준을 강화한 법 조항이 정당하고, 회사가 토지 취득 시 사용 제한 사유를 알았다면 그 사유로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세무판례
사회복지법인이 복지관 건립 목적으로 임야를 취득했으나 1년 내 지목 변경 및 사용을 하지 않은 경우, 취득세 중과세는 정당한가? (정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