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사건번호:

2000다15265

선고일자:

200006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채권자 취소소송의 제소기간의 기산점 [2] 채권자가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신청시 첨부한 등기부등본에 수익자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경료되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채권자가 가압류신청 당시 취소원인을 알았다고 인정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채권자취소의 소는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내에 제기하여야 하는 것인바, 여기에서 취소원인을 안다고 하기 위하여서는 단순히 채무자의 법률행위가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법률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는 것 즉, 그에 의하여 채권의 공동담보에 부족이 생기거나 이미 부족상태에 있는 공동담보가 한층 더 부족하게 되어 채권을 완전하게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는 것까지 알아야 한다. [2] 채권자가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신청시 첨부한 등기부등본에 수익자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경료되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채권자가 가압류신청 당시 취소원인을 알았다고 인정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제2항/ [2] 민법 제406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26475 판결(공1989, 1463), 대법원 1999. 4. 9. 선고 99다2515 판결(공1999상, 861), 대법원 2000. 2. 25. 선고 99다53704 판결(공2000상, 826)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신용보증기금 (소송대리인 변호사 진형균) 【피고,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율곡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이관형 외 2인) 【원심판결】 춘천지법 2000. 1. 28. 선고 99나328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상고이유를 본다. 채권자취소의 소는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내에 제기하여야 하는 것인바(민법 제406조 제2항), 여기에서 취소원인을 안다고 하기 위하여서는 단순히 채무자의 법률행위가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법률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는 것 즉, 그에 의하여 채권의 공동담보에 부족이 생기거나 이미 부족상태에 있는 공동담보가 한층 더 부족하게 되어 채권을 완전하게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는 것까지 알아야 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0. 2. 25. 선고 99다53704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에 의하여, 원고가 1997. 6. 21.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신청을 하면서 첨부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등기부등본에 1997. 5. 21. 설정계약을 원인으로 한 피고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마쳐져 있었던 사실은 인정되나, 갑 제6호증(재산조사 및 관리상황표)의 기재만으로는 원고가 위 가압류신청 당시 이 사건 부동산이 채무자인 소외인의 유일한 재산이었고 소외인과 피고가 채권자를 해할 의도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위 근저당권설정계약을 체결하였다는 사정을 알았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가 이 사건 소 제기일인 1998. 8. 3.로부터 1년 이전에 이미 사해행위의 취소원인을 알고 있었음을 전제로 하는 피고의 위 본안전항변은 이유 없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은 것으로 여겨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지창권 신성택(주심) 서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안 갚는 채무자, 재산 빼돌렸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 채권자취소권 이야기

빚진 사람(채무자)이 재산을 빼돌려 빚을 갚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채권자취소권 행사와 관련하여, 행사기간, 원상회복 방법, 수익자의 상계 주장 가능성 등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채권자취소권#행사기간#원상회복#상계

민사판례

빚 갚으라고 했더니 재산을 빼돌렸다면? 채권자취소소송!

이 판례는 채권자취소소송에서 제소기간 준수 여부에 대한 법원의 직권조사 범위, 중복된 채권자취소소송의 효력, 그리고 연대보증인의 사해의사 판단 기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채권자취소소송#제소기간#중복소송#사해의사

민사판례

돈 안 갚는 채무자, 재산 빼돌리다 걸린 사연!

빚진 사람이 돈을 갚지 않기 위해 고의로 재산을 빼돌렸을 때, 채권자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권리는 아무 때나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해행위(재산 빼돌리기)를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사해행위를 안 날'이 정확히 언제인지, 그리고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가압류를 할 때 이미 사해행위를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사해행위#인지시점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빼돌리지 마세요! 채권자취소권 완전정복

빚을 갚지 않은 채무자가 재산을 빼돌려 채권자가 돈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채권자취소권에 대해, 그 행사 기간의 시작점, 보호받을 수 있는 채권의 범위, 재산을 받은 사람의 선의 여부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한 판례입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피보전채권#수익자

민사판례

내 재산은 내 맘대로 못 한다?! 채권자취소권 이야기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 빚 갚을 능력을 없애는 것을 막는 채권자취소권 행사 시, 언제부터 제척기간(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시작되는지, 그리고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릴 의도가 있었다는 것을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기산점#사해의사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빼돌렸다면? 채권자취소권 행사하기!

빚진 사람이 고의로 재산을 줄여서 빚을 갚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채권자취소권 행사 시, 언제부터 기간을 계산하는지와, 재산을 돌려받기 어려울 때 배상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를 다룬 판례입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기산점#사해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