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에관한이의

사건번호:

2000마7550

선고일자:

2001060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낙찰인에 대한 경락대금지급기일 소환장의 송달이 부적법함에도 대금미납을 이유로 재입찰명령을 하고 이에 대한 이의제기나 즉시항고가 없어 낙찰허가결정이 확정된 경우, 재입찰명령의 취소를 구하는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부동산 임의경매절차에서 낙찰인에 대한 대금지급기일 소환장의 송달이 적법하지 않다면 낙찰인이 대금지급기일에 대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매법원이 재입찰을 명하여 경매절차를 진행한 것은 위법하다 할 것이나, 이와 같은 재입찰명령의 위법은 민사소송법 제633조 제1호의 집행을 속행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하므로, 낙찰인으로서는 같은 법 제728조, 제633조, 제641조의 각 규정에 의하여 재입찰명령에 따른 낙찰기일에 재입찰명령의 위법을 낙찰에 대한 이의사유로 주장하거나 재입찰명령의 위법을 사유로 낙찰허가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를 하여야 할 것이고, 이러한 낙찰에 대한 이의나 낙찰허가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하지 아니하여 낙찰허가결정이 확정된 후에는 더 이상 재입찰명령의 취소를 구하는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할 이익이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504조 , 제633조 제1호 , 제641조 , 제72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 9. 22.자 94마759 결정(공1994하, 2788), 대법원 1995. 7. 26.자 95마488 결정(공1995하, 2957)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대구지법 2000. 9. 25.자 2000라248 결정 【주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제1심결정을 취소한다. 이 사건 신청을 각하한다. 【이유】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대구지방법원 99타경51111호 부동산임의경매사건에서 2000. 5. 28.(이하 일시의 연도는 모두 2000년이므로 그 연도 표시는 생략한다) 경매개시결정이 이루어지고 6월 13일 제2회 입찰기일에 신청인 주식회사 태원시스템이 최고가입찰신고를 하여 6월 20일 신청인을 낙찰인으로 하는 낙찰허가결정이 이루어진 사실, 그 후 7월 12일 10:00로 지정된 대금지급기일에 신청인이 불출석하고 낙찰대금을 납부하지 아니함에 따라 경매법원은 7월 19일 재입찰명령을 함과 아울러 매각조건변경결정을 하고 7월 24일 입찰일시를 8월 11일 10:00로, 낙찰일시를 8월 18일 14:00로 하는 입찰명령을 하였는데, 8월 11일 입찰기일에 재항고인이 최고가입찰신고를 하여 8월 18일 재항고인을 낙찰인으로 하는 낙찰허가결정이 이루어진 사실, 한편 신청인은 8월 18일 신청인에 대한 위 7월 12일 대금지급기일의 소환장 송달이 부적법하여 경매법원의 7월 19일자 재입찰명령이 위법하다는 이유로 7월 19일자 재입찰명령의 취소와 신청인에 대한 대금지급기일의 재지정을 구하는 이 사건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경매법원은 8월 18일 그 신청이 이유 없다는 이유로 신청인의 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였고, 신청인이 이에 불복하여 즉시항고를 하자, 원심은 신청인의 신청을 받아들여 제1심결정을 취소하고 위 7월 19일자 재입찰명령, 매각조건변경결정, 7월 24일자 입찰명령, 8월 18일자 낙찰허가결정을 각 취소하는 결정을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부동산 임의경매절차에서 낙찰인에 대한 대금지급기일 소환장의 송달이 적법하지 않다면 낙찰인이 대금지급기일에 대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매법원이 재입찰을 명하여 경매절차를 진행한 것은 위법하다 할 것이나, 이와 같은 재입찰명령의 위법은 민사소송법 제633조 제1호의 집행을 속행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하므로, 낙찰인으로서는 같은 법 제728조, 제633조, 제641조의 각 규정에 의하여 재입찰명령에 따른 낙찰기일에 재입찰명령의 위법을 낙찰에 대한 이의사유로 주장하거나 재입찰명령의 위법을 사유로 낙찰허가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를 하여야 할 것이고, 이러한 낙찰에 대한 이의나 낙찰허가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하지 아니하여 낙찰허가결정이 확정된 후에는 더 이상 재입찰명령의 취소를 구하는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할 이익이 없다 할 것이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신청인이 위 7월 19일자 재입찰명령의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한 8월 18일 재입찰에 따른 낙찰허가결정이 있었고 이에 대하여 신청인이 즉시항고를 하지 아니하여 그 낙찰허가결정이 확정되었으므로, 신청인의 이 사건 신청은 그 이의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심과 원심이 신청인의 이 사건 신청을 적법한 것으로 보고 본안에 들어가 판단한 것은 집행에 관한 이의의 이익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재항고이유에 관하여는 판단할 필요도 없이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제1심결정을 취소하며, 이 사건에 대하여는 자판하기에 충분하므로 대법원이 종국재판을 하기로 하는바, 신청인의 이 사건 신청은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부적법하므로 이를 각하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윤재식 이규홍(주심) 손지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락대금 미납으로 인한 재경매, 제대로 된 통지가 없었다면 무효!

경락대금 납부기일을 제대로 통지받지 않은 사람의 부동산이 재경매로 넘어가 다른 사람에게 낙찰되었더라도, 처음 낙찰받았던 사람이 이의를 제기하면 재경매는 무효가 된다.

#경락대금#납부기일#통지오류#재경매

민사판례

경매 대금 납부, 이의신청은 어떻게 해야 할까?

경매에서 낙찰자가 대금을 납부한 후 이의를 제기한 경우, 법원은 이를 단순히 납부 행위 자체에 대한 이의가 아닌, 그 이전 단계인 법원의 '대금 납부 명령'에 대한 이의로 해석해야 합니다.

#경매#대금납부#이의신청#납부명령

민사판례

경매 대금 미납으로 인한 재경매, 절차가 잘못됐다면?

경락대금 납부 기일을 알려주는 통지가 잘못 전달되었더라도,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경매 절차의 위법만으로 직권으로 경락을 취소할 수 없다. 이해관계인이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경락#대금납부기일#통지오류#재경매

민사판례

경매, 재경매, 그리고 소란행위

경매에서 낙찰받은 사람이 대금을 기한 내에 내지 않아 재경매를 진행하는 경우, 재경매 기일 3일 전까지 대금을 내면 재경매는 취소됩니다. 그러나 재경매 기일을 연기시키기 위한 부정한 목적으로 고의로 방해 행위를 한 경우에는, 기한 내에 대금을 냈더라도 재경매 취소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재경매#대금납부#권리남용#기일연기

민사판례

경매 낙찰 후 이의제기와 낙찰물 멸실 시 대금 감액

경매 과정에서 낙찰 후 뒤늦게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은 항고할 자격이 없으며, 낙찰 후 낙찰대금 납부 전에 낙찰 물건의 일부가 멸실된 경우에는 낙찰자가 원하면 대금을 감액받을 수 있다.

#경매#즉시항고#낙찰#멸실

민사판례

경매에서 재매각 결정 후에는 매수 취소 못한다?

경매에서 잔금을 내지 않아 재매각 명령이 나온 후에는, 더 이상 최초 낙찰자가 매각허가결정을 취소해달라고 신청할 수 없다.

#재매각#매각허가결정취소#잔금미납#민사집행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