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지급제한및과분액환수처분취소

사건번호:

2001두458

선고일자:

200106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군인연금법 제15조 제1항 소정의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급여를 받은 경우'의 의미 및 퇴직연금의 지급정지사유가 생긴 것을 알면서도 그 신고의무를 게을리 한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군인연금법(1994. 1. 5. 법률 제47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1항의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급여를 받은 경우'라 함은 급여를 받은 사람이 주관적으로 부정한 수단임을 인식하면서 적극적인 방법으로 받을 수 없는 급여를 받은 경우를 말하고, 퇴직연금의 지급정지사유가 생긴 것을 알면서도 그 신고의무를 게을리 한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구 군인연금법(1994. 1. 5. 법률 제47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1항 , 군인연금법 제15조 , 제21조 , 제33조 제1항 제2호 , 군인연금법시행령 제26조 제2항 , 제71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0. 11. 28. 선고 99두5443 판결(공2001상, 179), 대법원 2001. 4. 10. 선고 2001두38 판결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국방부장관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12. 8. 선고 2000누691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구 군인연금법(1994. 1. 5. 법률 제47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1항의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급여를 받은 경우'라 함은 급여를 받은 사람이 주관적으로 부정한 수단임을 인식하면서 적극적인 방법으로 받을 수 없는 급여를 받은 경우를 말하고, 퇴직연금의 지급정지사유가 생긴 것을 알면서도 그 신고의무를 게을리 한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대법원 2001. 4. 10. 선고 2001두38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원고가 퇴직연금을 지급받던 중 지급정지사유가 발생하였음에도 그 사실을 신고하지 아니한 채 연금을 받았다는 것만으로는 원고가 부정한 방법으로 급여를 받은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나 심리미진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유지담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혼 후 유족연금 부정 수령에 대한 환수 처분은 정당할까?

순직한 군인의 배우자가 재혼 사실을 숨기고 유족연금을 계속 수령한 경우, 국가는 부정하게 수급한 연금을 환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수처분은 정당하다.

#유족연금#재혼#부정수급#환수

일반행정판례

잘못 지급된 국민연금, 무조건 돌려줘야 할까?

자격 요건에 미달함에도 국민연금을 받았다면, 연금공단은 지급 결정을 취소하고 이미 지급된 연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연금을 받은 사람에게 잘못이 없고, 돌려주는 것이 너무 가혹하다면 환수는 부당할 수 있다. 즉, 공익과 개인의 권리 보호 사이의 균형을 따져봐야 한다.

#국민연금#환수#신뢰보호#공익

생활법률

실업급여 부정수급, 절대 안 돼요! (법조항 포함)

실업급여 부정수급은 엄격히 금지되며, 적발 시 구직급여 지급 중단, 반복적 부정수급 시 최대 3년간 수급 자격 박탈, 형사처벌(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까지 받을 수 있다.

#실업급여#부정수급#제재#고용보험법

일반행정판례

퇴역연금 지급 정지 위헌 결정, 나에게도 적용될까?

퇴역연금 지급정지에 대한 위헌결정이 나왔더라도, 해당 결정 *이후*에 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는 위헌결정의 효력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즉, 과거에 부당하게 지급이 정지된 연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퇴역연금#지급정지#위헌결정#소급효 제한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 부정수급, 소멸시효 지나면 돌려받을 수 없다?

산재보험 부정수급으로 받은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부당이득징수권)는 공단이 부정수급 사실을 알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돈을 지급한 날부터 3년이 지나면 사라진다.

#산재보험#부정수급#반환청구#소멸시효

형사판례

보조금 부정 수급, 어디까지 처벌될까?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업에 대해 정당한 금액을 받았다면, 절차상 문제가 있더라도 보조금 부정 수급으로 처벌할 수 없다.

#보조금#부정수급#대법원#절차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