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토지수용재결무효확인

사건번호:

2003두12349

선고일자:

200509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 중 지장물에 대한 부분만이 무효인 경우, 토지에 대한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까지 무효로 된다고 할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2] 기업자가 토지조서 및 물건조서의 작성에 있어서 토지소유자를 입회시켜서 이에 서명날인하게 하지 아니하거나 토지소유자에게 협의요청을 하지 아니하거나 협의경위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토지소유자의 서명날인을 받지 아니한 하자가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의 당연무효 사유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토지수용법(2002. 2. 4. 법률 제6656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 제45조( 현행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64조 참조) , 제61조 ( 현행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0조 참조) 제65조 ( 현행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2조 참조) 구 토지수용법(2002. 2. 4. 법률 제6656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 제23조 ( 현행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14조 참조)

참조판례

[2] 대법원 1984. 1. 31. 선고 83누355 판결(공1984, 452), 대법원 1990. 1. 23. 선고 87누947 판결(공1990, 540), 대법원 1993. 8. 13. 선고 93누2148 판결(공1993하, 244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유영태 【피고,피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2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범어 담당변호사 김중기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3. 9. 5. 선고 2002누730, 747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주위적 청구에 대하여 가.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들을 인정한 다음,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토지와 인접토지의 지상에 있는 별지 제2목록 수용재결내역 기재의 각 지장물(이하 '이 사건 각 지장물'이라고 한다)에 대한 피고 경상북도지방토지수용위원회(이하 '피고지토위'라고 한다)의 수용재결은 그 수용의 시기까지 보상금을 지불 또는 공탁하지 아니한 것이 되어 그 효력을 상실하였고, 위와 같이 실효된 수용재결을 유효한 재결로 보고서 한 위 각 지장물에 대한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재결 또한 당연무효라고 할 것이나, 이 사건 수용재결은 이 사건 토지와 별지 제2목록 순번 (1) 지장물 및 같은 목록 순번 (2) 지장물로 나누어 피수용자를 달리하고 보상금의 액수도 별도로 정하고 있으며, 그 보상금의 공탁 또한 위와 같이 나누어 별개로 행하여진 점, 이 사건 각 지장물에 대한 수용재결이 실효된 것은 그 보상금의 공탁이 적법하지 않았기 때문이고, 이 사건 토지에 대한 보상금의 공탁은 구 토지수용법(2002. 2. 4. 법률 제6656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이하 '토지수용법'이라고 한다) 제61조 제2항 제1호에서 정한 요건을 구비한 것으로서 적법한 점, 이 사건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 중 이 사건 각 지장물에 대한 부분만을 무효로 한다고 하여 이 사건 토지부분에 대한 효력이 불분명하게 된다고 할 수도 없는 점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각 지장물에 대한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이 무효라고 하여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까지 무효로 된다고 할 수는 없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의 일부무효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나. 기업자가 토지수용법 제23조 소정의 토지조서 및 물건조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토지소유자를 입회시켜서 이에 서명날인을 하게 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유만으로는 그 토지에 대한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까지 무효가 된다고 할 수 없고, 기업자가 토지소유자에게 성의있고 진실하게 설명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협의요청을 하지 아니하였다거나, 협의경위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토지소유자의 서명날인을 받지 아니하였다는 하자 역시 절차상의 위법으로서 수용재결 및 이의재결에 대한 당연무효의 사유가 된다고 할 수도 없으므로 ( 대법원 1993. 8. 13. 선고 93누2148 판결 참조),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도 이유 없다. 2. 예비적 청구에 대하여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이의재결시의 감정평가법인들은 이 사건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를 함에 있어서 이 사건 토지는 그 공부상 지목이 하천이지만, 토지의 현황은 대지와 과수원으로 보고 감정하였으므로, 원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이 사건 토지의 지목이 불법으로 변경되었다는 사정은 그 사실 여부를 떠나 위 감정평가의 위법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에서의 증거취사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원고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배기원 이강국(주심) 김용담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언제 공탁할 수 있을까? 그리고 수용재결서 송달의 효력은?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수령 거절이 명백하면 현실 제공 없이 공탁 가능하며, 수용재결서 송달 지연은 수용 절차의 무효 사유가 아니다.

#토지수용#보상금공탁#수용재결서#송달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 제대로 알고 받자! 땅값 평가의 중요성

토지 일부가 수용될 때, 보상액은 수용되는 부분만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잔여지의 가치 하락이 크다면 잔여지에 대한 보상도 받을 수 있다.

#토지수용#보상액#잔여지#가치하락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 일부만 이의 제기 가능할까?

국가 사업으로 토지를 수용당할 때, 보상금에 불만이 있는 경우 전체가 아닌 일부 항목에 대해서만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소송 대상이 된 항목들 사이에서는 보상금액을 조정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토지수용#보상금#불복소송#일부항목

민사판례

토지 수용 후 일부 무효 판결 시 소유권은 어떻게 될까요?

토지수용보상금이 일부 지급되지 않아 수용이 무효가 된 경우, 그 지급되지 않은 비율만큼 환지된 토지의 소유권은 원래 소유주에게 있다.

#토지수용#무효#환지#소유권

일반행정판례

공공사업 위한 토지수용, 알아두면 쓸모있는 상식!

국가나 지자체 등이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수용하기 전에 허락 없이 먼저 사용했더라도 수용 자체는 유효하며, 보상액이 적더라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평가되었다면 수용 자체는 무효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수용#무단점용#보상액#적정성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절차상 작은 하자 있다고 무효는 아닙니다!

토지 수용 과정에서 행정기관이 토지 세목(토지의 상세 정보) 고시를 잘못하거나 누락했더라도, 그러한 절차상의 하자가 수용 자체를 무효로 만들 정도로 심각한 것이 아니라면 수용재결은 유효하다.

#토지수용#절차상하자#수용재결#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