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임의경매

사건번호:

2004마978

선고일자:

2006032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집합건물의 건축자로부터 전유부분과 대지지분을 함께 분양의 형식으로 매수하여 그 대금을 모두 지급하였지만 대지지분에 대하여는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지 못한 자에게 건물의 대지를 점유·사용할 권리가 있는지 여부(적극) 및 이러한 대지의 점유·사용권이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에서 정한 대지사용권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구분건물에 대한 경매신청서에 대지사용권에 관한 아무런 표시가 없는 경우, 집행법원이 취하여야 할 조치

판결요지

[1] 집합건물의 건축자로부터 전유부분과 대지지분을 함께 분양의 형식으로 매수하여 그 대금을 모두 지급함으로써 소유권 취득의 실질적 요건은 갖추었지만 전유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만 마치고 대지지분에 대하여는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못한 자는 매매계약의 효력으로써 전유부분의 소유를 위하여 건물의 대지를 점유·사용할 권리가 있는바, 매수인의 지위에서 가지는 이러한 점유·사용권은 단순한 점유권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본권으로서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소정의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인 대지사용권에 해당한다. [2] 구분건물에 대한 경매에 있어서 비록 경매신청서에 대지사용권에 대한 아무런 표시가 없는 경우에도 집행법원으로서는 대지사용권이 있는지, 그 전유부분 및 공용부분과 분리처분이 가능한 규약이나 공정증서가 있는지 등에 관하여 집달관에게 현황조사명령을 하는 때에 이를 조사하도록 지시하는 한편, 그 스스로도 관련자를 심문하는 등의 가능한 방법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야 하고, 그 결과 전유부분과 불가분적인 일체로서 경매의 대상이 되어야 할 대지사용권의 존재가 밝혀진 때에는 이를 경매 목적물의 일부로서 경매 평가에 포함시켜 최저입찰가격을 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입찰기일의 공고와 입찰물건명세서의 작성에 있어서도 그 존재를 표시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1]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제20조, 민법 제192조 제1항, 제263조 / [2] 민사소송법 제134조, 제140조, 민사집행법 제85조, 제97조, 제105조, 제10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11. 16. 선고 98다45652, 45669 전원합의체 판결(공2001상, 39), 대법원 2001. 1. 30. 선고 2000다10741 판결(공2001상, 532), 대법원 2006. 3. 10. 선고 2004다742 판결(공2006상, 600) / [2] 대법원 1997. 6. 10.자 97마814 결정(공1997하, 2253)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의정부지법 2004. 10. 7.자 2004라141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집합건물의 건축자로부터 전유부분과 대지지분을 함께 분양의 형식으로 매수하여 그 대금을 모두 지급함으로써 소유권 취득의 실질적 요건은 갖추었지만 전유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만 마치고 대지지분에 대하여는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못한 자는 매매계약의 효력으로써 전유부분의 소유를 위하여 건물의 대지를 점유·사용할 권리가 있는바, 매수인의 지위에서 가지는 이러한 점유·사용권은 단순한 점유권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본권으로서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소정의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인 대지사용권에 해당한다( 대법원 2000. 11. 16. 선고 98다45652, 45669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그리고 구분건물에 대한 경매에 있어서 비록 경매신청서에 대지사용권에 대한 아무런 표시가 없는 경우에도 집행법원으로서는 대지사용권이 있는지, 그 전유부분 및 공용부분과 분리처분이 가능한 규약이나 공정증서가 있는지 등에 관하여 집달관에게 현황조사명령을 하는 때에 이를 조사하도록 지시하는 한편, 그 스스로도 관련자를 심문하는 등의 가능한 방법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야 하고, 그 결과 전유부분과 불가분적인 일체로서 경매의 대상이 되어야 할 대지사용권의 존재가 밝혀진 때에는 이를 경매 목적물의 일부로서 경매 평가에 포함시켜 최저입찰가격을 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입찰기일의 공고와 입찰물건명세서의 작성에 있어서도 그 존재를 표시하여야 한다( 대법원 1997. 6. 10.자 97마814 결정 참조). 위와 같은 법리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각 건물 부분의 수분양자인 소외인이 비록 대지지분에 대하여는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못했지만 매매계약의 효력으로써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 당시 이미 대지사용권을 취득하고 있었음에도 집행법원이 이 사건 매각기일의 최저매각가격에 대지사용권을 반영하지 않았고, 이 사건 매각기일의 공고 및 매각물건명세서의 작성에 있어서도 이 사건 각 건물 부분만이 입찰이고 대지권이 없다고 표시한 것은 구 민사소송법 제635조 제2항, 제633조 제5호, 제6호에 해당하여 최고가매수인인 재항고인에게 이 사건 매각을 불허하여야 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법률·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사유가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 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규홍(재판장) 박재윤 김영란(주심) 김황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받았는데, 건설사가 땅 등기를 안 했어요! 괜찮을까요?

아파트 분양회사가 대지 소유권 등기를 아직 받지 않았더라도, 분양받은 사람은 아파트와 함께 대지를 사용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 권리는 단순한 점유권이 아니라 법적으로 보호받는 '대지사용권'입니다.

#아파트 분양#대지사용권#소유권 등기#점유권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받았는데 땅 지분 등기가 안 돼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파트 분양받은 사람이 돈을 다 내지 않았더라도 건물 부분에 대한 소유권만 있다면 대지를 사용할 권리가 있고, 이 권리는 다른 사람에게 넘길 수 있으며, 이때 건물에 설정된 담보는 대지 사용권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파트 분양#대지사용권#양도담보#분양대금 미납

민사판례

아파트 경매와 대지 사용권, 꼭 알아야 할 3가지!

아파트 건축자가 땅 소유권 등기 없이 아파트만 분양 또는 경매로 넘겼을 경우, 아파트 구매자는 땅 사용 권리를 갖게 되며, 건축자는 나중에 땅 소유권을 얻더라도 그 땅 지분을 마음대로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없다.

#아파트#땅 소유권#대지사용권#경매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지분 등기, 언제쯤 될까요?

아파트 분양받아 돈은 다 냈는데, 대지지분 등기가 늦어지는 경우, 아파트 소유자는 대지를 사용할 권리가 있고, 이 권리는 아파트와 따로 팔 수 없습니다. 대지지분 등기가 늦어진다고 해서 대지 사용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파트#대지지분#등기지연#대지사용권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누가 돈을 내야 할까요?

아파트처럼 집합건물의 대지 지분을 가진 사람이, 해당 건물의 소유자(구분소유자)에게 대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구분소유자가 자기 아파트 면적에 해당하는 적정 대지 지분을 가지고 있다면, 대지 공유자라도 대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집합건물#대지사용료#구분소유자#대지지분

민사판례

아파트 경매받았는데 땅 지분 등기는 어떻게?

아파트(집합건물)를 경매로 낙찰받으면 분양자가 수분양자에게 땅 지분 등기를 아직 안 해줬더라도, 낙찰자는 땅을 사용할 권리(대지사용권)를 갖게 되고, 분양자에게 땅 지분 등기를 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수분양자가 분양대금을 다 내지 않았더라도 낙찰자의 권리는 동일하다.

#아파트 경매#대지사용권#지분등기#경락인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