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이전등기

사건번호:

2005다55930

선고일자:

200704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성립요건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03조[명의신탁], 제26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7. 3. 28. 선고 96다56139 판결(공1997상, 1215), 대법원 2004. 10. 28. 선고 2004다39412 판결, 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4다71409 판결(공2005상, 82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통진신용협동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동상홍)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인천지법 2005. 9. 9. 선고 2005나478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어떤 토지에 관하여 그 위치와 면적을 특정하여 여러 사람이 구분소유하기로 하는 약정이 있어야만 적법하게 성립할 수 있고, 공유자들 사이에 그 공유물을 분할하기로 약정하고 그 때부터 각자의 소유로 분할된 부분을 특정하여 각자 점유·사용하여 온 경우에도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성립할 수 있지만, 공유자들 사이에서 특정 부분을 각각의 공유자들에게 배타적으로 귀속시키려는 의사의 합치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러한 관계가 성립할 여지가 없다( 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4다71409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공유자들 사이에서 이 사건 토지부분을 소외인의 단독 소유로 귀속시키기로 하는 내용의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성립하였다는 주장에 부합하는 듯한 증거들을 모두 배척하고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조치는, 그 이유 설시에 있어 다소 부적절한 점이 있기는 하나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나눠 쓰기로 했으면, 확실하게 약속해야죠!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나눈 뒤, 각자 특정 부분을 소유하기로 했다고 주장하려면, 단순히 땅을 나누고 각자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서로 간에 명확하게 '각자 특정 부분을 배타적으로 소유하기로 합의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공유토지#분할#구분소유적 공유관계#명확한 합의

민사판례

땅을 나눠 사는 것, 생각보다 복잡해요! - 구분소유적 공유에 대한 이야기

한 필지의 땅을 여러 사람에게 나눠 팔았더라도, 단순히 나눠 판 것만으로는 각자가 자기 땅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서로 '여기는 네 땅, 여기는 내 땅'이라고 명확하게 합의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해야만 각자 자기 땅처럼 사용할 권리가 생긴다.

#토지#분할매매#구분소유적 공유관계#소유권

민사판례

토지 공유, 내 땅은 어디까지? 구분소유와 공유지분에 대한 이야기

여러 사람이 토지의 특정 부분을 나눠 소유하기로 약속한 '구분소유적 공유' 관계에서, 한 사람이 자신의 지분을 등기부에 기재된 전체 토지 지분으로 처분하면, 구분소유는 소멸하고 일반적인 공유 관계가 된다는 판결.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처분#소멸#일반공유

민사판례

땅 나눠 쓰기로 했으면, 내 땅은 내 땅!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땅을 소유하다가, 서로 땅을 나눠 갖기로 약속하고 각자 맡은 부분을 사용해왔다면, 등기부상에는 공유로 되어 있더라도 실제로는 각자 자기 땅처럼 소유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공유자 명의로 되어있는 내 땅 부분의 등기는 명의신탁으로 봅니다.

#공유#분할약정#구분소유적 공유관계#명의신탁

민사판례

내 땅인데 등기부에는 공동소유? 구분소유적 공유관계 해소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토지 중 일부가 분할되어 한 사람에게 단독 소유권으로 넘어가면, 나머지 토지에 대한 기존 공유자의 지분은 효력을 잃는다. 또한, 진정한 소유자가 아닌 사람에게는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하여 소유권 이전을 요구할 수 없다.

#공유토지#분할#단독소유권#지분무효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남의 땅이 되었죠? 공유지분 경매와 구분소유 이야기

토지 일부를 매수하여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경우, 경매 과정에서 이러한 관계가 고려되지 않으면 새로운 소유자에게 대항하기 어려워 소유권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공유지분 경매#구분소유적 공유관계#상호명의신탁#경매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