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05다64521

선고일자:

20060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임야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내지 소유권보존등기에 있어 그 등기의 원인행위일자가 같은 법 시행일 이후로 인정되는 경우, 그 등기의 추정력의 복멸 여부(적극) [2] 구 임야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일 이후 명의신탁 해지를 원인으로 경료된 소유권보존등기의 추정력이 복멸되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임야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 제3조, 민법 제186조 / [2] 구 임야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 제3조, 민법 제18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4. 26. 선고 91다4898 판결(공1991, 1502), 대법원 1993. 7. 16. 선고 92다53910 판결(공1993하, 2284), 대법원 1994. 10. 7. 선고 94다19891 판결(공1994하, 3061), 2004. 4. 9. 선고 2003다27733 판결(공2004상, 79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진주류씨경력공파종중 (소송대리인 변호사 유택형외 1인) 【피고, 피상고인】 진주류씨계참판공파종중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로고스 담당변호사 백현기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9. 21. 선고 2004나7306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본다. 1. 등기의 추정력이 복멸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구 임야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 이하 ‘특조법’이라고만 한다)에 의하여 할 수 있는 소유권이전등기 내지 소유권보존등기는 같은 법 제3조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그 원인행위인 매매, 증여, 교환 등 기타 법률행위가 같은 법 시행일인 1969. 6. 21. 전에 이루어진 것에 한한다고 해석되므로, 그 등기의 원인행위일자가 그 시행일 이후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등기에 그 기재 내용대로의 추정력이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없고 ( 대법원 2004. 4. 9. 선고 2003다27733 판결 참조), 원인행위가 명의신탁 해지인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3. 7. 16. 선고 92다53910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2004. 2. 26.자 준비서면으로 이 사건 보존등기를 경료하게 된 경위에 대하여 ‘특조법등기 때 피고 종중 앞으로 환원시키자고 종중에서 결의가 이루어져 피고 종중 앞으로 (이 사건) 보존등기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라고 주장하였고, 원고는 2004. 3. 19.자 준비서면으로 ‘피고의 주장도 동 임야에 대하여 피고 종중 명의로 환원시키자고 결의하였다는 것은 1970년이고 ... 가사 피고 주장과 같이 피고 종중의 결의로서 사정명의인들이 피고 종중에게 양도할 의무가 생긴 것이라 하더라도 위 임야 등에 대하여는 1970년에 ... 비로소 동 의무가 생긴’다고 주장하였으며, 위 각 준비서면은 제1심의 제1회 변론준비기일에서 각 진술되었으므로, 위 보존등기의 원인행위라는 명의신탁 해지의 일자가 특조법 시행일 이후라는 사실에 대하여는 재판상 자백이 성립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위에서 본 법리에 따라 위 보존등기의 추정력은 복멸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이 사건 소유권보존등기의 원인행위일자가 특조법의 시행일 이후라고 인정할 증거가 없고, 달리 위 보존등기가 특조법에 정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위 보존등기의 추정력이 복멸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거기에는 위에서 본 법리 또는 재판상 자백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나, 위 보존등기가 실체적 법률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라는 원심의 가정적 판단이 아래 제2항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당한 이상에는 원심의 위와 같은 잘못은 판결 결과에는 영향이 없다. 2. 이 사건 소유권보존등기가 실체적 법률관계에 부합하지 아니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후,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소유권보존등기는 사정명의인의 상속인인 류승국의 의사에 기하여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적 법률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라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 인정과 판단은 모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위법이 없다. 3. 나머지 주장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가 2000. 2. 24. 원고에게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이전등기를 경료하고 또한 원고와의 협의 없이 이를 처분하지 아니하기로 약정하였다거나, 원고가 이 사건 토지 중 일부를 20년 이상 점유하여 왔다는 원고의 주장을 그 설시와 같은 이유로 모두 배척한 것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판단 누락, 이유 모순,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반, 경험칙 위반 또는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으며, 상고이유로 들고 있는 대법원판례들은 사안과 쟁점이 다른 이 사건에서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4.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규홍(주심) 박재윤 김황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옛날 임야 등기, 법 바뀌어도 괜찮을까? 등기 추정력 이야기

과거 임야 소유권 정리 위해 시행된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법에서 정한 기간 내에 이뤄졌다면, 등기부에 기재된 법률 번호가 이후 개정된 법의 번호가 아니라도 유효하다.

#임야 특별조치법#등기 효력#법률 번호#유효기간

민사판례

옛날 임야 소유권, 어떻게 인정받을 수 있을까? - 임야 특별조치법과 등기 추정력에 대한 이야기

1960년대~70년대에 시행되었던 임야 소유권 정리 특별법(이하 특조법)은 1960년 1월 1일 이전의 거래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특조법 시행일(1969년 6월 20일)까지의 거래에도 적용된다는 대법원 판결. 등기된 내용과 실제 취득 원인이 다르더라도, 등기의 효력이 쉽게 부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함.

#임야소유권#특별조치법#적용시점#등기효력

민사판례

옛날 임야 등기, 날짜가 좀 안 맞는다고 무효는 아니에요!

과거 임야 소유권 정리 과정에서 특별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실제 소유권과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등기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는 쪽에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단순히 등기상 매매 날짜가 이전 소유자 사망일보다 늦다는 것만으로는 등기가 잘못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임야소유권이전등기#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증명책임

민사판례

옛날 임야 등기에 관한 법률과 등기의 효력

과거 시행되었던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그 등기 과정에 명백한 문제 (예: 서류 위조)가 입증되지 않는 한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또한, 이 법은 단순히 과거의 양도 사실만을追認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당시 등기가 안 된 임야에 대해서도 새롭게 등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었다.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등기효력#등기추정력#서류위조

민사판례

옛날 임야 등기, 그 복잡한 이야기

과거 임야 소유권 정리를 위해 시행되었던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이하 특조법)에 따라 이루어진 등기의 효력과 관련하여, 매매 사실이 없었다는 주장에 대해 명의신탁 해지를 주장하는 경우 등기의 추정력이 어떻게 판단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조법에 따른 등기는 실체관계에 부합한다고 추정되지만, 보증서 내용이 허위임이 입증되거나 자인된 경우 그 추정력은 번복됩니다. 다만, 명의신탁 해지 주장 자체가 보증서 허위 자인으로는 볼 수 없으며, 명의신탁 해지 시점이 특조법 적용 기간 내에 있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합니다.

#임야 특별조치법#등기 효력#명의신탁 해지#등기 추정력

민사판례

옛날 임야 소유권 등기에 관한 법률과 등기 추정력 이야기

옛날 임야 소유권 정리를 위한 특별법에 따라 된 등기는, 그 등기가 잘못됐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으면 유효하다고 인정된다. 단순히 등기 내용과 실제 소유 과정이 다르다고 해서 등기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임야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유효성#실제 소유 과정 불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