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17058

선고일자:

2006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과세처분의 인정 사실 일부에 착오·오류가 있었으나 실제 인정되는 사실과 기초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사실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처분의 동일성 유지 여부(적극) [2] 증여자를 1인으로 보고 행해진 과세처분 이후 실제 증여자가 2인 이상으로 밝혀진 경우, 과세의 기초사실이 달라져 처분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행정소송법 제21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 제1항 / [2] 행정소송법 제21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2. 11. 선고 96누3272 판결(공1997상, 81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종로세무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진행섭)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1. 24. 선고 2005누2799 판결 【주 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한다. 【이 유】1. 원고의 상고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원고가 제출한 상고장에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고 또 법정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민사소송법 제429조에 의하여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한다. 2. 피고의 상고에 대하여 가. 상고이유 제1점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이 소외 2, 3으로부터 그들의 재산취득 및 관리 등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대리권을 수여받아 재산을 관리하여 오다가 1989. 12. 1. 소외 4로부터 주식회사 동아일보사의 주식 150,000주를 증여받은 다음 같은 날 이를 소외 2, 3에게 증여하고 다만 소외 5 외 3인에게 명의신탁하였다가 그 후 소외 2, 3을 대리하여 위 주식을 원고에게 출연한 사실을 인정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나. 상고이유 제2점 과세관청이 당초의 부과처분 당시 인정한 사실의 일부에 착오나 오류가 있다 하여도 그 후 인정된 사실이 당초의 과세원인사실과 동일한 사실의 범위 내로서 과세의 기초사실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면 처분의 동일성은 유지된다고 할 것이지만( 대법원 1997. 2. 11. 선고 96누3272 판결 참조), 수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에는 증여자별로 과세단위가 성립하므로 각 증여자별로 세율을 적용하여 각각의 증여세액을 산출하는바, 증여자를 1인으로 보고 과세처분을 하였는데 실제 증여자가 2인 또는 그 이상인 것으로 밝혀진 경우와 같이 증여자의 수에 차이가 있으면 과세단위가 달라지므로 과세의 기초사실이 달라져 당초 처분의 동일성이 유지된다고 할 수 없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피고가 소외 5 외 3인 명의 주식에 대하여 소외 1을 증여자로 보고 한 증여세 부과처분과 소외 2, 3을 증여자로 보고 한 각 증여세 부과처분은 과세의 기초사실이 달라져 과세처분의 동일성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과세처분의 동일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각자가 부담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강신욱(주심) 고현철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증여세, 누가 내야 할까요? 증여자가 대신 내주면 또 다른 증여?

누군가에게 재산을 증여하고, 받는 사람(수증자)이 내야 할 증여세를 주는 사람(증여자)이 대신 내줬다면, 이 세금 납부 행위 자체가 새로운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를 또 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증여세#대납#새로운 증여#이중과세

세무판례

증여세 대납, 또 다른 증여가 될 수 있다?

증여받은 사람(수증자)이 내야 할 증여세를 증여한 사람(증여자)이 대신 내주면, 이는 증여자가 수증자에게 증여세만큼의 돈을 추가로 증여한 것으로 보아 다시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다.

#증여세#대납#추가증여#수증자

세무판례

증여세와 양도소득세, 이중과세일까? 그리고 결손 없는 법인에 재산 증여 시 증여세는?

결손이 없거나 적은 법인에 누군가 재산을 증여했을 때, 그 법인의 주주가 얻게 되는 이익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이는 증여세법에서 결손 법인에 대한 증여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손없는 법인#증여#주주 이익#증여세 불가

세무판례

증여세, 누구에게 부과해야 할까요? - 자금 관리자와 실소유자

돈의 실제 주인(실권리자)이 배우자 명의의 계좌에서 돈을 빼내 자녀에게 준 경우, 배우자 명의로 돈을 인출했더라도 실제 돈을 준 사람(실권리자)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돈을 받은 사람이 증여가 아니라고 주장하려면 그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증여세#명의대여#실권리자#차명계좌

세무판례

돈 많은 사람이 재산 출처 일일이 못 밝혀도 증여받았다고 볼 수 있을까? 증여세와 소급과세에 대한 이야기

직업과 재력이 있는 사람이 재산 취득 자금 출처 일부를 밝히지 못했다고 해서 바로 증여받은 것으로 볼 수는 없으며, 직업과 재력이 없는 사람은 자금 출처를 명확히 입증해야 증여 추정을 뒤집을 수 있다. 또한, 법 개정으로 과거에는 과세되지 않던 항목에 대해 과세하더라도 소급과세 금지 원칙 위반이 아니다.

#자금출처#입증책임#재력#증여추정

세무판례

주식 증여와 세금, 쟁점 정리!

주권이 발행되지 않은 주식을 명의개서 없이 양도했더라도 증여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증여 이후 주식을 돌려받았더라도 이미 발생한 증여세 납부 의무는 사라지지 않는다.

#주권미발행#주식증여#증여세#명의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