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

사건번호:

2006다1633

선고일자:

2008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토지의 일부 지분에 관한 대지권등기가 마쳐진 후 위 지분의 일부에 대하여 이루어진 소유권이전등기는 무효이고, 이를 과세대상인 증여로 보아 행해진 과세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 명백하여 당연무효이므로, 이에 기하여 징수한 조세는 부당이득으로 반환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토지의 일부 지분에 관한 대지권등기가 마쳐진 후 위 지분의 일부에 대하여 이루어진 소유권이전등기는 무효이고, 이를 과세대상인 증여로 보아 행해진 과세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 명백하여 당연무효이므로, 이에 기하여 징수한 조세는 부당이득으로 반환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4조, 제19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0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2. 8. 선고 2005나3742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과세처분이 당연무효라고 하기 위하여는 그 처분에 위법사유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하자가 중요한 법규에 위반한 것이고 객관적으로 명백한 것이어야 하며, 하자가 중대하고도 명백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별함에 있어서는 당해 과세처분의 근거가 되는 법규의 목적, 의미, 기능 등을 목적론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구체적 사안 자체의 특수성에 관하여도 합리적으로 고찰함을 요한다( 대법원 2001. 7. 10. 선고 2000다24986 판결, 대법원 2006. 3. 16. 선고 2006두330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성북세무서장의 이 사건 증여세 등 부과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은 과세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법률관계나 사실관계에 대하여 이를 과세대상이 되는 것으로 오인할 만한 객관적인 사정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여 사실관계를 정확히 조사해야 비로소 과세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밝힐 수 있어 그 하자가 외관상 명백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처분이 당연무효라는 전제하에 부당이득의 반환을 구하는 원고들의 주장을 모두 배척하였다. 3. 그러나 기록 및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정, 이 사건 소유권일부이전등기는 이 사건 대지 중 1,547분의 701.2 지분에 관한 대지권등기가 마쳐진 이후 위 대지 지분 중 일부에 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등기부등본 자체만으로도 이 사건 과세대상인 증여가 존재하지 않음이 명백한 점, 그에 따라 이 사건 소유권일부이전등기도 부동산등기법에 의한 직권말소 대상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이 사건 처분에 의한 납부 역시 실체법상 근거가 전혀 없는 점, 또한 이 사건 처분의 과세대상인 증여 성립 여부와 관계있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일체성에 대하여는 그 법리의 해석에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보기 어려운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처분에 존재하는 하자는 중대하고도 객관적으로도 명백하다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처분이 당연무효라고 함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와 달리 이 사건 처분이 당연무효가 아니라고 보았는바,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과세처분의 당연무효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고, 이러한 위법은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부당이득 반환 문제!

아파트 등 집합건물의 대지 지분을 충분히 갖지 못한 소유자가 대지의 다른 공유자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하는 경우, 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신하여 소송을 걸 수 있는 채권자대위권 행사를 위해서는 채무자가 '진짜로' 돈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확인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채무자가 다른 사람에게 빚을 넘긴 것을 고려하지 않고 채무가 있는 것처럼 계산해서 채권자대위권을 인정한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채권자대위권#보전의 필요성#계약인수#집합건물

민사판례

관할 세무서가 아닌 곳에서 날아온 증여세 고지서, 효력은?

증여받은 사람의 주소지를 관할하지 않는 세무서에서 증여세를 부과했더라도,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지만 완전히 무효는 아니라는 판결.

#증여세#관할#무효#절차상 하자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함부로 건드렸다간 큰코다친다!

아파트 건물과 땅은 묶여있어서, 건물 지분만 따로 떼서 팔거나 사는 것은 원칙적으로 효력이 없어요. 특히 건물 지분을 다 팔고 남은 땅 지분을 압류, 공매해서 얻었다고 해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어요.

#아파트#대지지분#공매#소유권

민사판례

잘못된 세금 부과, 언제나 무효는 아닙니다!

법적으로 소유권이 없는 사람에게 토지세를 부과한 경우에도, 겉으로 보기에 소유권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이라면 세금 부과는 유효하다.

#원인무효 등기#종합토지세#과세처분#당연무효

세무판례

주식 증여와 세금, 쟁점 정리!

주권이 발행되지 않은 주식을 명의개서 없이 양도했더라도 증여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증여 이후 주식을 돌려받았더라도 이미 발생한 증여세 납부 의무는 사라지지 않는다.

#주권미발행#주식증여#증여세#명의개서

세무판례

증여세 부과, 제대로 알고 내자! - 시가 입증과 토지 무상사용이익 증여

증여받은 재산에 대한 세금(증여세)을 계산할 때, 세무서가 처음에는 시가를 알기 어려워 다른 방법으로 세금을 매겼더라도, 나중에 재판 과정에서 시가가 밝혀지면 그 시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또한, 토지를 공짜로 사용하게 해 주는 이익을 증여로 보는 법은 위헌이라는 대법원 판결을 인용하여 그에 따라 부과된 세금은 무효입니다.

#증여세#시가#토지 무상사용#위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