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사기미수

사건번호:

2007도2941

선고일자:

200706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치료의 실질이 통원치료이거나 필요 이상의 장기입원을 한 후 이러한 사정을 알리지 않은 채 보험회사에 대하여 보험약관에 정한 입원기간을 충족시켰다고 주장하면서 보험금을 청구하는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1. 12. 선고 2004도6557 판결(공2006상, 26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전상귀 【원심판결】 서울남부지법 2007. 4. 6. 선고 2006노96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65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입원이라 함은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낮거나 투여되는 약물이 가져오는 부작용 혹은 부수효과와 관련하여 의료진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경우, 영양상태 및 섭취음식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 약물투여·처치 등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환자의 통원이 오히려 치료에 불편함을 끼치는 경우 또는 환자의 상태가 통원을 감당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나 감염의 위험이 있는 경우 등에 환자가 병원 내에 체류하면서 치료를 받는 것으로서, 보건복지부 고시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등의 제반 규정에 따라 환자가 6시간 이상 입원실에 체류하면서 의료진의 관찰 및 관리하에 치료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므로, 입원실 체류시간과 환자의 증상, 진단 및 치료 내용과 경위, 환자들의 행동 등을 종합 판단하여 치료의 실질이 입원치료가 아닌 통원치료에 해당하는 경우는 물론, 위와 같은 입원의 필요성이 없음에도 의사로 하여금 입원치료의 필요성이 있다고 오판하도록 하여 필요 이상의 장기입원을 한 경우 역시 이를 알리지 않은 채 보험회사에 대하여 보험약관에 정한 입원기간을 충족시켰다고 주장하면서 보험금을 청구하는 행위는 사기죄에 있어서의 기망행위에 해당한다( 대법원 2006. 1. 12. 선고 2004도6557 판결 참조). 위 법리에 따라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에 대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및 재입원을 통하여 보험약관에 정한 입원기간을 충족시킨 후 이를 고지하지 아니한 채 보험금을 청구한 행위는 기망행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판시 각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 법리오해의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가짜 입원으로 보험금 타내면 안돼요! - 입원과 통원의 차이, 그리고 사기죄

단순히 병원에 오래 머문다고 다 입원은 아닙니다. 실제 필요한 치료를 받았는지, 의사의 관리가 필요했는지가 중요합니다.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을 타내면 사기죄이고, 이를 알면서도 입원확인서를 발급해준 의사는 방조죄입니다.

#가짜입원#보험사기#사기죄#의사방조죄

형사판례

병원 장기 입원과 보험사기, 그 경계는 어디일까?

환자의 상태에 비해 불필요하게 장기 입원을 유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이나 민간 보험사로부터 부당하게 보험금을 타낸 경우, 실제 치료가 필요한 기간이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도 지급받은 보험금 전체에 대해 사기죄가 성립한다.

#장기입원#보험금편취#사기죄#기망행위

형사판례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 타내려다 덜미! 법 적용 시점이 중요해요!

2016년 9월 30일 시행된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을 그 이전에 저지른 보험사기 범죄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는 대법원 판결.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소급적용 금지#죄형법정주의#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 과장 입원, 보험사기일까?

가벼운 사고라도 보험금을 더 타내려고 상해를 부풀려 장기 입원하고 과다한 보험금을 받으면 사기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사고가 있었더라도 보험금 편취 의도가 있었다면 받은 보험금 전체가 사기 대상이 됩니다.

#보험사기#과다보험금#사기죄#경미사고

형사판례

아픈데 숨기고 보험금 타면 사기죄?

이미 질병을 앓고 있는 사실을 숨기고 보험에 가입한 후, 그 질병으로 보험금을 청구하면 사기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사기#고지의무#사기죄#부작위기망

민사판례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 타갔다면? 보험사가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을 부당하게 타낸 경우, 보험회사는 보험계약 전체를 해지할 수 있다.

#보험계약 해지#부당청구#신뢰관계 파괴#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