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사건번호:

2014도4299

선고일자:

2014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제1심에서 불출석 상태로 사기죄 유죄판결을 받고 원심에서 양형부당을 항소이유로 주장하였는데, 원심법원에 ‘피해자에게 죄송하고, 잘못했으니 용서해 달라’는 취지의 반성문과 함께 공소사실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고 편취의 고의가 없었다는 취지의 반성문과 탄원서도 제출한 사안에서, 피고인이 수사단계에서부터 범죄사실을 모두 부인하여 온 점 등을 종합할 때 양형부당만을 항소이유로 주장하였다거나, 추상적인 반성문 기재내용만으로 범죄사실을 자백하였다고 볼 수 없으므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은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제1항,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23조, 형사소송법 제3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공익법무관 김환권 【원심판결】 울산지법 2014. 3. 26. 선고 2014노6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제1심 제3회 공판기일에 변호인과 함께 출석하여 다음 기일에 공소사실에 대한 인부의견을 밝히겠다고 진술하였으나 그 이후의 공판기일에 출석하지 않았고, 이에 제1심 법원은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23조에 의하여 피고인의 출석 없이 개정하여 심리한 후 피고인에 대하여 유죄 판결을 선고한 사실, 그 후 상소권회복결정에 의해 진행된 원심의 제1회 공판기일에 피고인은 국선변호인과 함께 출석하여 ‘양형부당’만을 항소이유로 주장하면서 ‘깊이 뉘우치고 있습니다.’라고 최후 진술하였으나 공소사실의 인부에 대하여는 아무런 의견진술과 심문도 없었던 사실, 피고인은 원심법원에 ‘피해자에게 죄송하고, 잘못했으니 용서해 달라.’는 취지의 반성문을 수회 작성하여 제출하는 한편, 공소사실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고 편취의 고의가 없었다는 취지의 반성문과 탄원서도 제출하였으며, 피고인의 아들도 그와 같은 내용의 탄원서 및 소명자료를 수회 제출한 사실을 알 수 있고, 여기에 피고인이 수사단계에서부터 범죄사실을 모두 부인하여 온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위와 같이 양형부당만을 항소이유로 주장하였다거나, 추상적인 반성문의 기재내용만을 가지고 피고인이 이 사건 범죄사실을 자백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이 피고인이 제1심 및 원심에서 자백하였다고 본 것은 부적절하지만, 그 의미가 자책의 표현에 불과할 뿐이어서 유죄의 증거가 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자백의 법리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그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사기죄에서 편취의 범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신영철 김용덕 김소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법정에서 "공소사실 인정"하면 무조건 유죄? 자백의 진정한 의미

피고인이 법정에서 "공소사실은 모두 사실과 다름없다"고 말했더라도, 그 진술이 진짜 자백인지, 단순한 책임 인정인지는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공소사실 인정#자백#신빙성#법정 진술

형사판례

자백했지만 무죄? 자백의 신빙성과 증명책임에 대한 이야기

피고인들이 검찰에서 범행을 자백했지만, 법정에서는 부인했습니다. 대법원은 자백의 신빙성을 의심할 만한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자백 외 다른 증거가 부족하므로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자백 신빙성#상해치사#무죄#증거불충분

형사판례

검사 앞 자백의 신빙성, 법원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피고인이 검사 앞에서 자백했지만, 그 자백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는 의심이 들고, 다른 증거도 부족하여 유죄 판결을 뒤집은 사례입니다.

#자백 임의성#증거 부족#유죄 판결 파기#파기환송

형사판례

죄송합니다만, 죄 인정한 건 아닙니다? - 애매한 사과와 자백의 경계

피고인이 항소이유서에 "죄를 지었다"고 쓴 것만으로는 범죄사실을 인정했다고 볼 수 없다.

#자백#증거능력#무죄#항소이유서

형사판례

항소이유 철회는 명백해야 효력이 있다!

피고인이 항소이유서에 여러 항소이유를 적었는데, 법정에서 판사의 질문에 일부 이유만 언급했더라도 나머지 이유를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판사의 질문이 불명확해서 피고인이 착각했을 가능성이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항소이유 철회#석명권#사실오인#양형부당

형사판례

자백, 그 진실을 밝히는 기준

자백이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 자백이 진실한지, 자백 외에 다른 증거가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자백만으로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없고, 자백이 진실임을 보여주는 다른 증거(보강증거)가 필요합니다.

#자백#증거능력#신빙성#보강증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