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압류처분취소등

사건번호:

89누8279

선고일자:

1990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상속세법(1981.12.31. 법률 제347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 상속인등의 고유의 상속세납세의무가 확정된 경우 세무서장이 연대납부의무자에 대하여 체납사실의 통지 등 절차를 밟지 않고 한 징수절차개시의 적부 (적극)

판결요지

구 상속세법(1981.12.31. 법률 제3474호로 개정되기 전의 법률) 제18조 제2항 규정의 상속세연대납부의무는 상속인 등의 고유의 상속세의 납세의무가 확정되면 법률상 당연히 확정되는 것이므로 과세관청은 연대납부의무의 확정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거침이 없이 연대납부의무자에 대하여 징수절차를 개시할 수 있는 것이고, 구 상속세법시행령(1981.12.31. 대통령령 제106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규정의 세무서장의 체납사실통지 등의 절차는 상속세연대납부의무의 확정을 위한 절차 또는 징수절차의 개시요건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므로 세무서장이 위 규정상의 체납사실 통지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채, 징수절차를 개시하였다 하여 이를 위법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속세법 (1981.12.31. 법률 제347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 제2항, 구 상속세법시행령 (1981.12.31. 대통령령 제106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현순구 외 4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일영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개포세무서장 외 1인 【피고들보조참가인 】 이재옥 외 1인 보조참가인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형기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11.30. 선고 89구331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은 피고 개포세무서장이 1981.8.11. 원고들 및 소외 유병숙, 현영구, 현송희에 대하여 원판시 상속세를 부과한 사실과 위 소외인들이 그 상속세를 체납하고 있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는 바, 원심이 위 사실을 인정함에 있어 거친 증거의 취사과정을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위반의 위법이 없다. 2. 구 상속세법(1981.12.31 법률 제3474호로 개정되기 전의 법률) 제18조제2항 규정의 상속세연대납부의무는 상속인 등의 고유의 상속세의 납세의무가 확정됨에 따라 법률상 당연히 확정되는 것이라고 볼 것이므로 상속인 등의 고유의 상속세의 납세의무가 확정되면 과세관청은 연대납부의무가 확정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거침이 없이 연대납부의무자에 대하여 징수절차를 개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 사건에 적용할 구 상속세법시행령(1981.12.31. 대통령령 제106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규정의 세무서장의 체납사실통지 등의 절차는 상속세연대납부의무의 확정을 위한 절차 또는 징수절차의 개시요건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므로 세무서장이 위 규정의 체납사실통지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채, 징수절차를 개시하였다 하여 이를 위법한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김덕주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세 연대납부, 내 몫만큼만 책임있나요? 다른 상속인의 세금까지?

상속인은 자신의 상속세뿐 아니라 다른 상속인의 상속세에 대해서도 연대납부의무를 지는데, 다른 상속인의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다른 상속인의 세금 부과에 대해 직접적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연대납부#소송자격#상속인

민사판례

상속세 납부, 제대로 알고 내야 돌려받을 수 있다!

옛날 상속세법에서는 상속인 모두에게 개별적으로 세금 고지서를 보내지 않고 대표 상속인 한 명에게만 "누구 외 몇 명" 형식으로 고지서를 보내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 판례는 이런 고지 방식은 잘못되었고, 고지서를 받지 못한 상속인에게는 세금을 부과한 효력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상속인들이 함께 세금을 납부했더라도 각자의 상속 지분 비율대로 납부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상속세#납세고지#공동상속인#대표상속인

세무판례

상속세 연대납부, 내 몫은 어디까지?

상속세를 여러 명이 함께 내야 할 때 (연대납부), 각자 내야 할 최대 금액은 상속받은 재산을 넘을 수 없다. 만약 세무서가 이 한도를 넘어 징수고지를 했다면, 부당한 부분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상속세#연대납부#한도#징수고지

세무판례

상속세, 나눠서 내라고 똑바로 알려줘야죠!

여러 명이 공동으로 상속받는 경우, 세무서에서 상속세를 부과할 때는 각 상속인이 부담해야 할 세액을 명확하게 고지해야 합니다. 단순히 전체 상속세만 알려주고 상속인별 계산서만 첨부하는 것은 부족합니다.

#상속세#상속인별 세액#고지서 명시#연대납부

세무판례

상속세, 혼자 내야 할까? 같이 내야 할까? - 공동상속과 상속세 납부

여러 상속인이 있음에도 한 명에게만 상속세가 부과된 경우, 그 처분은 부과된 상속인에게는 유효하지만, 누락된 상속인과 재산에 대한 고려 없이 전체 상속세를 산정한 것은 잘못이며, 상속세 회피 목적 재산 처분 여부는 매매계약일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상속세#부과처분#효력#과세표준

세무판례

상속세 연대납부, 증여받은 재산도 포함될까?

상속인은 다른 상속인의 상속세도 *본인 상속분 + 사전증여받은 재산 - 증여세액* 을 한도로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있다.

#상속세#연대납부#사전증여재산#증여세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