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0다카25352

선고일자:

1990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점유 토지 중 일부를 통하여 해수욕장 주차장에 출입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 경우 점유자의 그 부분에 대한 점유의 상실여부(소극) 나. 취득시효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

판결요지

가. 점유자가 점유 토지 중 일부를 통하여 해수욕장 주차장에 출입할 수 있도록 통행의 편의를 제공한 경우 이러한 통행의 편의제공만으로 그 토지부분에 대한 점유를 상실하였다고 볼 수 없다. 나. 취득시효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대하여는 점유자가 그 점유를 계속하는 동안 소멸시효가 진행되지 않는 것이고, 또 일단 취득시효기간의 만료로 점유자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취득한 이상 그 후 부동산에 대한 점유가 중단되더라도 이를 시효이익의 포기로 볼 수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이미 취득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가.나. 민법 제245조 / 가. 제192조 제2항 / 나. 제166조 제1항 , 제184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89.4.25. 선고 88다카3618 판결(공1989,80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고사순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흥순 【피고, 상고인】 고성기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승석 【원심판결】 제주지방법원 1990.7.5. 선고 89나10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원고의 아버지인 소외 망 고성권이 이 사건 부동산을 경작해 오다가 원고가 1958.8.30. 소외 김선배와 혼인하여 출가하자 그 무렵 원고에게 이를 증여한 사실, 원고는 위 부동산을 직접 경작하다가 거리관계로 원고의 오빠인 소외 고사의로 하여금 대신 경작케 하면서 1971.경 이 사건 토지 중 함덕리 산 11의 19 토지의 일부를 함덕리해수욕장 주차장에 이르는 진입로로 제공하고 그 나머지 토지를 위 고사의를 통하여 경작관리해 왔고 1979.경부터는 소외 한경례에게 대리경작을 시키면서 점유관리해 온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는 위 부동산을 소유의 의사로 평온, 공연하게 점유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1958.8.31.로부터 기산하여 20년이 경과한 1978.8.31.자로 소유권취득시효기간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취득하였다고 판단하고 있는 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에 수긍이 가고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반이나 취득시효기간의 기산일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없으므로 이점 논지는 이유없다. 또 원고가 이 사건 토지 중 함덕리 산 11의19 토지의 일부를 해수욕장 주차장에 이르는 진입로로 제공하였음은 원심판시와 같으나,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위 토지부분을 통하여 위 주차장에 출입할 수 있도록 통행의 편의를 제공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여지므로 이러한 통행의 편의제공만으로 그 토지 부분에 대한 점유를 상실하였다고 볼 수는 없으니 원심판결에 취득시효객체에관한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는 논지도 이유없다. 또 취득시효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대하여는 점유자가 그 점유를 계속하는 동안 소멸시효가 진행되지 않는 것이고, 또 일단 취득시효기간의 만료로 점유자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취득한 이상 그후 부동산에 대한 점유가 중단되더라도 이를 시효이익의 포기로 볼 수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이미 취득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므로, 같은 취지로 판시한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며 소론 판례는 이 사건에 적절한 선례가 아니므로 이 점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20년 넘게 농사지었으면 내 땅! 시효취득 후 보상금 지급? 괜찮아요!

20년 이상 땅을 점유하여 소유권을 취득한 사람이, 그 이후에 원래 주인에게 보상금을 주거나 땅을 돌려주기로 약속했다고 해서, 그 땅에 대한 소유권을 잃는 것은 아니다.

#취득시효#자주점유#보상금 지급#토지 반환 약속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점유했어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을까요?

20년 넘게 땅을 점유했더라도, 그 기간이 지난 *후*에 땅의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면, 20년 점유 사실을 근거로 새 소유자에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20년 점유#소유권 이전#새로운 소유자

상담사례

20년 넘게 농사지은 땅,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점유취득시효 이야기

20년 이상 경작했더라도 소유권 이전 등기 전에 제3자에게 땅이 팔리면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하기 어렵다.

#점유취득시효#토지점유#소유권#등기

민사판례

20년 넘게 남의 땅을 사용했다면 내 땅이 될까? - 토지 점유와 취득시효, 그리고 권리남용

한국농어촌공사가 오랫동안 점유해온 농업용 수로(구거)에 대해 토지 소유자가 철거를 요구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토지 소유자의 권리 행사가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토지 소유자가 수로 점유 사실을 알고 토지를 매수했는지 여부에 대한 심리가 부족했다는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

#농업용 수로#점유 취득시효#권리남용#파기환송

민사판례

내 땅 지나다니는 길, 20년 썼다고 내 땅 되나요?

단순히 오랫동안 남의 땅을 길처럼 사용했다고 해서, 그 땅에 대한 통행지역권을 얻는 것은 아니다. 통행지역권을 시효취득하려면 스스로 길을 만들고 사용하는 등 소유 의사를 갖고 사용해야 한다. 또한, 남의 땅 일부를 사서 점유했다고 주장하더라도 등기 등 객관적인 소유 의사 표현이 없다면 시효취득을 인정받기 어렵다.

#통행지역권#점유취득시효#시효취득#소유의사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점유했어도 내 땅이 아닐 수 있다?! - 점유와 취득시효 이야기

20년간 땅을 점유했더라도, 그 땅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준 후에는 원래 소유자에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20년 점유#소유권#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