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봉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2090

선고일자:

1991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20년간 아무런 징계처분을 받지 않고 성실히 근무해 온 구청공무원이 업무에 관련된 법령이나 상부의 방침을 잘못 이해하여 복합목욕장 영업허가를 결재함으로써 공무원의 성실의무를 위반한 데 대하여 한 감봉처분이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한 것이어서 위법하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구청공무원인 원고가 같은 구청 관할 내에서 다른 관광호텔의 부대시설 또는 기타 시설로서 복합목욕장 영업허가를 내준 선례가 있었으며 관련 건설부공고의 내용에 애매모호한 점이 있고 관련된 법령이나 상부의 방침을 잘못 이해하여 이 사건 복합목욕장 영업허가를 결재함으로써 공무원의 성실의무를 위반하였는데, 원고는 임용된 이래 20년간 아무런 징계처분을 받지 않았고, 수회에 걸쳐 표창을 받는 등 성실히 근무해 왔으며, 이 사건 영업허가에 관련된 공무원 중 기안담당자는 불문에, 담당과장은 견책에, 담당국장은 경고 등 가벼운 처분을 받은 경우 원고에 대한 감봉처분의 징계양정은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한 것이어서 위법하다.

참조조문

지방공무원법 제48조, 제69조 제1항 제2호, 제70조, 행정소송법 제2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1.23. 선고 90구1266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고가 이 사건 복합목욕장영업허가를 결재함에 있어 그 소관업무에 관련된 법령이나 상부의 방침을 판시와 같이 잘못 이해함으로써 공무원의 성실의무위반에 이르게 된 사실, 강서구청관할 내에서는 다른 관광호텔의 부대시설 또는 기타 시설로서 복합목욕장영업허가를 내준 선례가 있었고 판시의 건설부공고의 내용에 해석에는 애매모호한 점이 있었으며, 원고는 1970.7.3.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으로 임용된 이래 아무런 징계처분을 받지 않았고, 수회에 걸쳐 표창을 받는 등 성실히 근무해 왔으며, 이 사건 영업허가에 관련된 공무원 중 기안담당자는 불문에, 담당과장은 견책에 담당국장은 경고 등 가벼운 처분을 받은 사실을 알수 있는바 원심이 같은 취지의 사실을 인정하고 이 사건 감봉처분의 징계양정은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한 것이어서 위법하다고 판단한 조치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징계재량권에 관한 법리오해가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배석 김상원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징계해임, 정당했을까요?

15년간 공무원으로 성실히 근무하며 여러 공적을 세운 사람이 비교적 경미한 잘못으로 해임된 것은 부당하다는 판결. 징계 사유 중 일부는 징계시효도 지났음.

#공무원#징계해임#취소#재량권 남용

민사판례

공무원의 실수? 아니면 어쩔 수 없었던 판단? - 행정처분과 국가배상 책임

법 해석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공무원이 나름의 판단으로 업무를 처리했는데 나중에 법원에서 그 처분이 잘못되었다고 판결이 나더라도, 담당 공무원에게 과실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판례입니다.

#법 해석 불분명#행정처분#소송 패소#공무원 과실 없음

민사판례

부당하게 임용된 공무원,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

임용 자격이 없는 사람이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퇴직했을 경우, 받은 급여는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하지만, 최소한 근로기준법상 퇴직금은 근로의 대가로 인정되어 지급받을 수 있다.

#공무원#임용자격#부당이득#퇴직금

민사판례

공무원의 법령 해석과 직무상 과실: 정육점 개업을 둘러싼 분쟁

공무원이 법령 해석이 모호한 상황에서 나름대로 합리적인 판단을 거쳐 직무를 수행했지만, 그 해석이 최종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밝혀진 경우, 단순히 결과만으로 공무원의 과실을 인정하여 국가배상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 특히, 기존 영업자가 폐업신고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동일 장소에 대한 새로운 영업 신고를 거부한 공무원의 행위에 대해 과실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판결.

#공무원#법령해석#국가배상#과실

일반행정판례

공무원의 성실 의무와 품위 유지, 그리고 징계에 대한 모든 것

이 판례는 공무원의 성실 의무와 품위 유지 의무의 의미, 징계 처분의 적정성 판단 기준 등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월호 사고 관련 CCTV 영상 삭제 사건을 통해 공무원의 의무와 책임에 대한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공무원#성실의무#품위유지의무#징계재량권

일반행정판례

30만원 사례로 보는 공무원 징계, 과연 정당할까?

20년 이상 성실히 근무한 경찰관이 민원인의 동생으로부터 감사의 표시로 30만원을 받았다가 돌려준 경우, 해임 처분은 과도하게 가혹하여 위법하다는 판결.

#경찰관#사례금#반환#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