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사용료

사건번호:

91다15638

선고일자:

199107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환지지정이나 청산금교부 없이 한 환지처분의 공고 후에 환지전 토지의 소유자가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제63조에 의하여 마쳐진 지방자치단체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토지구획정리사업시행자가 환지전 토지에 대하여 환지를 정하지 아니하였다든가 청산금을 교부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는 사유만으로는 이미 확정된 환지처분까지를 당연무효라고 할 수 없으므로, 환지전 토지의 소유자는 환지처분의 공고로 인하여 그 소유권을 상실하였다 할 것이니 그 후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제63조에 의하여 마쳐진 지방자치단체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없다.

참조조문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제52조, 제62조, 제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2.9.26. 선고 72누134 판결(집20③ 행1), 1980.6.24. 선고 79누100 판결(공1980,12968), 1985.4.23. 선고 84누446 판결(공1985,79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이천군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인화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4.10. 선고 90나4095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토지구획정리사업시행자인 피고가 환지전 이 사건 토지에 대하여 환지를 정하지 아니하였다든가 청산금을 교부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는 사유만으로는 이미 확정된 환지처분까지를 당연무효라고 할 수 없는 것이고(당원 1972.9.26.선고 72누134 판결 참조), 가사 환지전 이 사건 토지가 원고의 소유였다 하더라도 이 사건 환지처분의 공고로 인하여 그 소유권은 상실되었다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토지구획사업정리법 제63조에 의하여 마쳐진 피고명의의 이 사건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아니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원고의 주장을 잘못보고 판단한 위법이 없다. 주장은 어느 것이나 이와 다른 견해에서 원심판결을 탓하는 것에 돌아간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주인이 여러 명일 때, 토지구획정리사업 후 땅 소유권은 어떻게 될까?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환지가 이루어진 경우, 단순히 이전 소유자가 10년 이상 같은 위치의 땅을 점유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묵시적인 소유권 약정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판결입니다.

#환지#토지 소유권#묵시적 약정#점유

민사판례

땅 주인이 바뀐 억울한 사연,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인해 새롭게 지정된 땅(환지예정지)에 대한 기존 땅 주인의 점유는 땅 소유권을 주장할 근거가 되지 않으며, 땅 주인이 건물 철거를 요구하는 것이 단순히 손해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권리남용은 아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예정지#점유#소유권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땅을 잃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땅을 뺏겼는데, 새 땅(환지)도 못 받고 보상금(청산금)도 못 받았다면, 사업 시행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손해배상액은 원래 땅의 가치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개발 이익은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보상액 계산 시 감보율(땅 일부를 공공용지로 내놓는 비율)을 적용하면 안 된다.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청산금#손해배상

민사판례

땅 정리 사업 후, 내 땅은 어디로 갔을까? - 중복 지적공부와 환지처분

같은 땅에 대해 오래된 등기와 새로운 등기가 중복되어 있고, 새로운 등기를 기준으로 농지정리(환지처분)가 이루어진 경우, 오래된 등기 소유자도 환지된 땅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다.

#중복등기#환지처분#소유권#농지정리

민사판례

땅 주인이 바뀌었는데, 내 땅은 어디로? 토지구획정리사업과 등기 문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던 토지들이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하나의 토지로 합쳐진 경우, 이전의 개별 소유권은 사라지고 새로운 합쳐진 토지에 대한 지분만 주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등기부에 이름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소유권을 취득했어야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소유권분쟁#지분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었다고 건물 주인이 땅 쓸 권리 생기는 건 아닙니다! (환지와 법정지상권)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땅이 새로 나뉘면서 원래 한 사람이 갖고 있던 땅과 건물의 주인이 달라진 경우에도, 건물 주인이 새로 나뉜 땅에 대해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을 갖는 것은 아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법정지상권#관습법#소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