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1다24755

선고일자:

1992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자백의 성립요건 나. 소제기 이후에 작성된 사문서라는 점만으로 당연히 증거능력이 부정되는지 여부(소극) 다. 장손인 갑의 선대분묘가 있는 임야를 을을 거쳐 취득하였다는 병 등은 외지에 거주하고, 그들의 관리인들도 위 임야에서 땔감을 수거하거나 일부 분묘를 벌초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면 병 등이 임야를 점유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자백은 당사자가 자기에게 불이익한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로서 상대방 당사자의 진술내용과 일치하거나 상대방 당사자가 이를 원용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것이고, 상대방이 이를 원용하지 아니하여 당사자 쌍방의 주장이 일치된 바 없다면 이를 자백(선행자백)이라고 볼 수 없다. 나. 소제기 이후에 작성된 사문서라는 점만으로 당연히 증거능력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 장손인 갑의 5대조부의 분묘를 비롯한 5, 6기의 선대분묘가 설치되어 있는 임야를 갑으로부터 양도받았다고 하는 을로부터 증여받았다는 병 등은 임야 소재지가 아닌 외지에 거주하고, 그들의 관리인들이라는 사람들도 위 임야에서 화목 등 땔감을 수거하거나 일부 분묘를 벌초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면 병 등이 임야를 점유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 민사소송법 제261조 / 나. 같은 법 제187조, 제328조 / 다. 민법 제192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4.5.28. 선고 73다1288 판결, 1977.4.12. 선고 76다2707,2708 판결, 1984.3.27. 선고 83다카2406 판결(공1984,703) / 나. 대법원 1966.9.27. 선고 66다1133 판결(집14③민90), 1981.9.8. 선고 80다2810 판결(공1981,14321), 1989.11.10. 선고 89다카1596 판결(공1990,10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1.6.13. 선고 90나191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피고 1, 피고 2, 피고 3, 피고 4의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운조의 상고이유 제1점을 본다. 자백은 당사자가 자기에게 불이익한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로서 상대방 당사자의 진술내용과 일치하거나 상대방 당사자가 이를 원용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것이고, 상대방이 이를 원용하지 아니하여 당사자 쌍방의 주장이 일치된 바 없다면 이를 자백(선행자백)이라고 볼 수 없다.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이 사건 소장에서 망 소외 1의 공동상속인으로서의 공유물보존행위를 청구원인으로 내세웠다가, 제1심 제5차 및 제6차 변론기일에서 진술한 1989.5.24.자 청구원인변경서 및 1989.7.3.자 준비서면을 통하여 청구원인을 분재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보전으로 변경하고 있는바, 피고들은 원고가 위와 같이 청구원인을 변경할 때까지 원고의 주장을 부인하는 데 그치고 공동상속에 관한 원고 주장을 원용한 일이 없어 기록상 쌍방의 진술내용에 일치되는 바가 없으므로 원고의 공동상속에 관한 주장은 이를 자백(선행자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결국 위 주장이 자백에 해당함을 전제로 하는 상고논지는 이유없다. 2. 같은 변호사 정운조의 상고이유 제2점 및 피고 5, 피고 6, 피고 7, 피고 8, 피고 9, 피고 10, 피고 11의 소송대리인 변호사 손홍익의 상고이유 제1점을 함께 본다. 원심이 취사한 증거관계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임야는 원래 망 소외 1의 소유였는데 동인이 1943.3.2. 사망하여 소외 2가 장남으로서 동인의 호주 및 재산상속인이 된 후 1979.4.10. 분가한 동생인 원고에게 위 임야를 분재하여 준 사실을 인정한 조치에 수긍이 가고 소론 적시 증거들을 살펴보아도 그 사실인정의 과정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 위반의 위법이 없다. 소론 갑 제15호증과 갑 제18호증이 소제기 이후에 작성된 사문서라는 점만으로 당연히 증거능력이 부정되는 것이 아니며(당원 1966.9.27. 선고 66다1133 판결, 1989.11.10. 선고 89다카1596 판결 참조), 소론이 들고 있는 판례는 원심의 판단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거나 이 사건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3. 같은 변호사 정운조의 상고이유 제3점을 본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1936.경 위 소외 1이 도벌행위로 구속되었을 때 망 소외 3이 위 소외 1의 석방에 필요한 변상금 기타 비용을 대신 지급해 주고 그 대가로 이 사건 임야를 위 소외 1로부터 양도받았고 피고 1 외 3인은 이를 증여와 상속을 통하여 전전취득하였으므로 위 피고들 명의의 등기는 실체관계에 부합하여 유효하다는 위 피고들의 주장을 증거가 없다 하여 배척한 판단에 수긍이 가고 그 증거의 취사과정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거나 자백의 효력 및 관습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이 점 논지도 이유없다. 4. 같은 변호사 정운조의 상고이유 제4점 및 같은 변호사 손홍익의 상고이유 제2점을 함께 본다. 기록에 의하여 원심이 취사한 증거관계를 살펴보면 이 사건 임야에는 위 강호영의 5대조부의 분묘를 비롯한 5, 6기의 선대분묘가 설치되어 있고, 위 강호영이 큰집의 장손이며, 위 강기중으로부터 이 사건 임야를 증여받았다는 소외 강호상, 강왕해, 강호경 등은 대체로 임야 소재지인 천성리가 아닌 부산 등 외지에서 거주하였고, 그들의 관리인들이라는 사람들도 위 임야에서 화목 등 땔감을 수거하거나 일부 분묘를 벌초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사실이 인정될 뿐이며, 달리 피고측에서 이 사건 임야 전체를 점유한 것으로 볼 만한 증거가 없으므로, 원심이 이 사건 임야에 대한 피고측의 점유사실을 부인한 조치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위반 또는 법리오해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5.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주인은 누구? 자백의 함정에 빠진 판결 이야기

원고가 토지 소유권을 주장하며 피고 명의의 등기말소를 청구한 사건에서, 피고의 자백에 대한 법리 오해로 원심판결이 파기되었습니다. 원고가 청구 내용을 변경하면서 피고의 자백 대상이 사라졌는데도, 원심은 자백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잘못된 판결을 내렸습니다.

#토지 소유권#자백#법리 오해#원심 파기

민사판례

국가 상대로 소유권 확인 소송, 꼭 필요할까? + 자백의 효력과 증거의 신빙성

이미 제3자 명의로 등기된 토지에 대해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확인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있는지, 소송 당사자가 스스로 불리한 주장을 한 경우 자백으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증거의 신빙성 판단 기준에 대한 판례입니다.

#소유권확인소송#국가#실익#자백

민사판례

남편에게 증여받은 땅, 내 땅 맞을까? - 점유취득시효 완전 정복!

남편으로부터 증여받은 토지를 10년 이상 점유하면, 등기가 잘못되었더라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재판에서 불리한 진술을 했더라도 상대방이 그 진술을 증거로 채택하기 전이라면 철회할 수 있다.

#토지 시효취득#자백 철회#점유#등기부 취득시효

민사판례

땅 주인 다툼, 점유의 시작이 중요하다!

무효인 매매를 통해 부동산을 취득하고 점유하더라도, 처음부터 소유할 의사로 점유했다면 나중에 매매가 무효로 밝혀지더라도 점유의 성질은 변하지 않으며, 관련 소송의 당사자가 아니면 시효중단의 효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무효인 매매#부동산 점유#시효중단#소유의 의사

민사판례

옛날 토지 등기에 관한 분쟁, 증여라고 주장하면 다 되는 걸까요?

옛날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를 했더라도, 등기 원인이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만으로는 등기의 효력이 바로 없어지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법원은 자백을 했더라도 상대방이 이를 받아들이기 전에는 철회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부동산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자백 철회#증여

민사판례

땅 주인 다툼, 결국 누구 땅일까?

땅의 시효취득과 관련하여 법원은 당사자 주장에 매이지 않고 증거를 바탕으로 땅 점유의 진짜 이유를 판단할 수 있고, 소송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않은 사람과 적극적으로 대응한 사람에게 다른 판결을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시효취득#자주점유#명의신탁#무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