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집행정지

사건번호:

92그35

선고일자:

19930120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714조에 의한 일반가처분절차에 의하여 임의경매절차를 정지시킬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임의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의 존부를 다투는 경우에 그 경매절차를 정지하기 위하여는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같은 법 제603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하고 같은 법 제484조에 의한 강제집행정지명령을 받거나, 같은 법 제505조를 준용하여 채무에 관한 이의의 소를 제기하여 같은 법 제507조에 의한 강제집행정지명령을 받아 정지시킬 수 있을 뿐이고, 민사소송법 제714조에 의한 일반적인 가처분절차에 의하여 임의경매절차를 정지시킬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714조, 제72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4.11.5. 자 74마378 결정(공1974,8164), 1976.3.15. 자 75그7 결정(공1976,9079), 1983.2.3. 자 82마869 결정(공1983,573)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원심결정】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1992.10.2. 자 92카단1104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에 환송한다. 【이 유】 특별항고이유를 판단한다. 기록에 의하면 항고의 임의경매절차정지가처분 신청인들이 항고인을 상대로 신청인들 공유의 이 사건 임의경매 목적부동산에 관한 항고인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의 피담보채권이 무효로 되었으므로 신청인들은 위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청구소송을 제기하고자 준비중에 있으나, 만일 위 부동산에 관한 이 사건 임의경매절차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그 승소판결 전에 경매절차가 진행되어 신청인들이 위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을 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이 사건 임의경매절차가 진행되어 신청인들이 위 부동산에 관한소유권을 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이 사건 임의경매절차정지가처분신청을 하였고, 원심이 이를 받아들여 위 임의경매절차를 정지한다는 내용의 가처분결정을 하였는바, 위 임의경매절차정지결정은 민사소송법 제714조에 의한 일반가처분임이 명백하다. 그러나 임의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의 존부를 다투는 경우에 그 경매절차를 정지하기 위하여는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같은 법 제603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하고 같은 법 제484조에 의한 강제집행정지명령을 받거나, 같은 법 제505조를 준용하여 채무에 관한 이의의 소를 제기하여 같은 법 제507조에 의한 강제집행정지명령을받아 그 경매절차진행을 정지시킬 수 있을 뿐이고, 민사소송법 제714조에 의한 일반적인 가처분절차를 의하여 임의경매절차를 정지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 당원 1976.3.15. 자 75그7 결정; 1971.11.25. 자 71그17 결정; 1971.3.16. 자 70그24 결정 등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일반적인 가처분결정에 의하여 이 사건 임의경매절차정지가처분신청을 인용하였음은 임의경매절차정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의 소치라 할 것이고, 논지는 이유 있음에 돌아간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임의경매, 그냥 막을 순 없다?!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잡은 부동산에 대한 경매(임의경매)가 진행될 때, 경매 자체를 막아달라는 소송은 할 수 없고,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임의경매#직접소송불가#이의신청#집행정지

민사판례

임의경매 정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하고 그 채권으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상계하여 피담보채권 소멸을 주장한다고 하여, 그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임의경매절차 정지 사유가 되는 채무 이의의 소로 볼 수 없다.

#임의경매절차 정지#손해배상청구소송#채무이의소#상계

민사판례

경매 진행 중, 일반적인 가처분으로 경매 절차를 멈출 수 있을까?

돈을 빌려주고 근저당권을 설정했는데, 채무자가 이를 부당하게 말소해버린 경우, 말소회복 소송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매절차를 일반적인 가처분으로 중지시킬 수는 없다. 법에서 정한 특정한 소송(청구이의의 소, 채무이의의 소)을 제기하고, 그 소송에서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만 경매를 중지시킬 수 있다.

#경매중지#가처분#근저당권말소회복#청구이의의소

민사판례

부동산 경매 중지, 함부로 할 수 없다!

부동산 경매를 막으려면 경매 신청인을 상대로 담보권 효력에 대한 소송을 먼저 제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경매 절차를 정지시키는 것은 위법입니다.

#경매정지#소송#근저당권#채무부존재확인

민사판례

근저당 말소 소송 중 부동산 경매 멈출 수 있을까?

빚을 다 갚았다고 주장하며 근저당 말소 소송을 제기한 경우, 법원은 소송 결과가 나올 때까지 경매 절차를 잠시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근저당 말소 소송#경매 정지#잠정처분#채무자 권리 보호

민사판례

근저당 설정된 부동산, 빚 없으면 경매 못 막나요?

빚이 없는데도 근저당이 설정되어 경매가 진행될 위기에 처한 채무자가 경매를 막기 위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은 불가능합니다.

#근저당권#피담보채무 부존재#경매불허소송#부적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