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물분할,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2다42460

선고일자:

1993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특정부분을 구분소유하면서 상호명의신탁으로 공유등기를 하였다가 토지가 분할되어 한 쪽 토지에 대한 등기가 중복등기로 말소됨으로써 그 토지에 관한 상호명의신탁관계가 소멸된 경우 나머지 분할토지에 관한 명의신탁관계도 당연히 소멸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토지의 각 특정부분을 구분하여 소유하면서 상호명의신탁으로 공유등기를 해 둔 경우 그 토지가 분할되면 분할된 각 토지에 종전토지의 공유등기가 전사되어 상호명의신탁관계가 그대로 존속되는 것이고, 분할된 토지의 한 쪽 토지에 대한 등기가 중복등기로서 말소됨으로써 그 토지에 관한 상호명의신탁관계가 소멸되었다고 하여도 나머지 분할토지에 관한 명의신탁관계가 당연히 소멸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법 제186조[명의신탁], 제26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9.6.26. 선고 79다741 판결(공1979,12043), 1990.11.23. 선고 90다카17597 판결(공1991,169), 1992.5.26. 선고 91다27952 판결(공1992,199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반소피고)】 이중근 외 2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나항윤 【피고, 피상고인(반소원고)】 이난헌 외 6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원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8.21. 선고 91나14811(본소),91나14828(반소)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제2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고만 한다)들은 원심 12차 변론기일에서 진술된 1992.7.21.자 반소청구취지 및 청구원인 변경신청서에서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들의 지분이전등기가 지분권의 대상인 목적토지도 없는 소외 망 이춘근의 지분이 이전등기된 것이어서 무효라고 주장하고 있음이 명백하므로 원심판결에 피고들이 주장하지도 않은 사실을 판단한 위법은 없다. 주장은 이유 없다. 2. 제1점에 대하여 가. 원심판결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1) 경기도 평택군 안중면 금곡리 산 103 임야 5정 1단 1무보는 원래 소외 이종헌(1,2심 판결의 현은 헌의 오기로 보인다) 명의로 사정된 토지인데 1936.8.29. 그중 산 103의 2 임야 3정보가 분할되어 같은 날 위 이종헌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었으며, 1940.4.1. 다시 위 산 103의 2가 산 103의 2 임야 2정 5단보, 산 103의 3 임야 5단보로 분할되어 위 각 2필지에 관하여 1941.5.16. 소외 조영묵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다. (2) 한편, 위 임야 중 위 이종헌 명의의 보존등기가 경료되고 위 조영묵 명의의 이전등기가 경료된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소외 망 이춘근이 소유하고 있다가 1957.11.3. 소외 망 이용구에게 이를 매도하였는데 그 등기를 경료하면서 1957.11.4. 분할 전 산 103 임야 5정 1단 1무보에 대하여 전부 자기의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한 후 그중 1/2지분에 관하여 위 이용구 앞으로 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주었다. (3) 소외 조영묵은 자신이 특정하여 소유중인 위 산 103의 2 및 3부분에 이중으로 보존등기가 경료되었음을 뒤늦게 알고 위 이춘근 및 위 이용구 등을 상대로 말소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1981. 2. 12. 위 산 103에서 위 조영묵의 특정소유부분인 산 103의 2와 산 103의 3 그리고 위 이용구가 특정하여 매수한 부분인 산 103의 1 임야 2정 1단 1무보로 분할되어, 산 103의 2와 산 103의 3 임야에 관한 등기는 중복등기를 이유로 말소되었고 산 103의 1 임야에 관한 등기부에는 위 이용구가 특정하여 매수한 부분은 산 103의 1 임야 2정 1단 1무보가 되어 위 이용구의 지분과 위 이춘근의 상속인들의 지분이 그대로 이기되었다. (4) 위 이용구는 1982.1.20. 사망하여 피고들이 재산상속인이 되어 1987.6.15. 산 103의 1 임야에 관한 위 이용구 명의의 1/2지분에 관하여 상속등기를 마쳤고, 위 이춘근은 1969.12.12. 사망하였으므로 소외 최부순, 이병길, 이경순, 이희숙, 이희영, 이병국, 이현순이 그 재산상속인이 되어 산 103의 1 임야에 관하여 위 이춘근 명의의 1/2지분에 관하여 1987.8.4. 상속등기를 한 후 같은 날 그 지분 중 소외 이경순 명의의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전부를 원고 이중근에게 매매를 원인으로 한 이전등기를 경료하고, 위 원고는 같은 날 총 지분 9,416.7/20,926 중 3,766/20,926을 원고 이국성에게 매매를 원인으로 이전등기한 후 1987.12.12. 원고 이국성 명의의 지분 전부가 원고 조병하에게 이전등기되고, 1988.3.12. 위 이경순 명의의 지분 1,046.3/20,926 중 626.78/20,926가 원고 이중근에게, 나머지인 419.52/20,926가 원고 이국성에게 각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이전등기가 마쳐졌다. 나. 원심은 위와 같은 사실에 터잡아 위 산 103 임야 전부의 1/2지분에 관한 위 이용구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분할후의 산 103의 1 임야를 목적토지로 하는 것이고, 위 이춘근 명의의 위 산 103 임야 전부의 1/2지분에 관한 보존등기는 산 103의 2와 산103의 3 임야들을 목적토지로 한 것인데 위 산 103의 2와 103의 3의 임야들에 관하여는 중복등기라는 이유로 위 이용구와 위 이춘근 명의의 등기가 모두 말소되었으므로 위 산 103의 1 임야에 남아 있는 위 이춘근 명의의 등기는 목적토지 없이 등기부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에 기한 원고들 명의의 지분이전등기도 허무의 지분권을 대상으로 한 매매에 기한 것이므로 무효라고 하여 원고들의 공유물 분할의 본소청구를 기각하고 피고들의 원고들 지분이전등기의 말소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하는 반소청구를 인용하였다. 다. 그러나 토지의 각 특정부분을 구분하여 소유하면서 상호명의신탁으로 공유등기를 해둔 경우에 있어서 그 토지가 분할되면 분할된 각 토지에 종전토지의 공유등기가 전사되어 상호명의신탁관계가 그대로 존속되는 것이고, 분할된 토지의 한쪽 토지에 대한 등기가 중복등기로서 말소됨으로써 그 토지에 관한 상호명의신탁관계가 소멸되었다고 하여도 나머지 분할토지에 관한 명의신탁관계가 당연히 소멸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당원 1992.5.26. 선고 91다27952 판결 참조). 그런데도 원심이 이와 다른 견해에서 위 명의신탁관계가 소멸되었음을 전제로 분할 후에 전사되어진 위 이춘근 명의의 지분등기가 목적토지도 없이 등기부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라고 판단한 것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어서 상호명의신탁관계의 해소와 지분이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 하겠다. 이 점을 지적한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윤관(주심) 김주한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토지 분할과 명의신탁, 그 숨겨진 관계

여러 사람이 토지를 공동으로 소유하는 것처럼 등기했지만 실제로는 각자 특정 부분을 소유하는 상호명의신탁의 경우, 토지가 분할되거나 그 중 일부 지분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더라도 남은 토지에 대한 명의신탁 관계는 유지된다는 판결입니다.

#상호명의신탁#토지분할#지분양도#명의신탁관계 존속

민사판례

토지 명의신탁과 제3자에게 판 경우 소유권은?

서로 명의신탁을 한 토지의 지분을 제3자가 사게 되면, 원래 명의신탁 관계는 사라지고 제3자가 해당 지분의 소유권을 갖게 된다는 판결.

#상호명의신탁#공유지분#제3자#매수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분할을 못해?! 구분소유와 공유물분할청구에 대한 오해와 진실

국가가 토지 일부를 매수한 후 토지가 분할된 경우, 나머지 토지에 대한 명의신탁 관계가 자동으로 소멸되는 것은 아니며, 명의신탁 해지를 통해 소유권을 되찾아야지 공유물분할청구를 할 수는 없다.

#토지분할#명의신탁#공유물분할청구#소유권이전

민사판례

종중 땅, 마음대로 나눌 수 있을까? - 공동명의수탁자의 공유물분할청구

종중 소유의 땅을 여러 명의 종중원 이름으로 명의신탁한 경우, 명의수탁자들 사이에서는 공유물분할청구를 할 수 없다.

#종중#명의신탁#공유물분할청구#기각

민사판례

땅 일부만 팔았는데 등기는 전체가 넘어갔다면? + 이중 등기 문제

이미 소유권이전등기가 된 땅에 나중에 이중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한 사람이 20년간 점유했다 하더라도, 먼저 된 등기가 문제 없다면 나중 등기는 무효이며, 그 말소청구는 신의칙 위반이나 권리남용이 아니다. 토지 일부를 매매하면서 전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경우, 매도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명의신탁 관계가 성립한 것으로 본다.

#이중등기#점유취득시효#명의신탁#말소청구

민사판례

땅 일부만 팔았는데 전체 소유권을 잃을 수도 있다고?

등기부상 분할되지 않은 1필지의 땅 일부만 팔았는데, 편의상 전체 땅에 대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했다면 팔지 않은 나머지 땅도 나중에 제3자에게 넘어갈 수 있고, 원래 주인은 그 땅에 대한 소유권을 잃게 됩니다.

#토지#일부매도#전체등기이전#소유권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