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93다23039

선고일자:

1994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계획상 계획도로선을 설정하고 이러한 계획선에 저촉되는 대지부분에 대하여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하여 그 저촉되는 부분이 사실상 통행로로 쓰이게 된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대지부분 점유 여부

판결요지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계획상 계획도로선을 설정하고 이러한 계획선에 저촉되는 대지부분에 대하여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하여, 대지소유자가 그 저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대지부분에 건물을 신축한 관계로 그 저촉되는 부분이 사실상 그 건물의 이용자 및 일반인의 통행로로 쓰이게 된 것만으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위 대지부분을 점유한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92조, 제74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3.7.10. 선고 72다2279 판결, 1981.3.24. 선고 80다3084 판결(공1981,13847), 1988.1.12. 선고 87다카2387 판결(공1988,40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부산직할시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태조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3.4.15. 선고 92나1334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계획상 계획도로선을 설정하고 이러한 계획선에 저촉되는 대지부분에 대하여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하여, 대지소유자가 그 저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대지부분에 건물을 신축한 관계로 그 저촉되는 부분이 사실상 그 건물의 이용자 및 일반인의 통행로로 쓰이게 된 것만으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위 대지부분을 점유한다고 볼 수 없다. 원심판결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그 소유의 3필지의 토지상에 상가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건축허가를 신청하였으나 위 토지위에 계획도로선이 그어진 관계로 그에 저촉되는 부분은 건축허가가 나지 아니하게 되어 위 계획도로선에 저촉되는 이 사건 대지를 공터로 남겨두고 상가건물의 건축허가를 받아 이를 준공한 사실, 원고가 위 건물을 완성한 후 이 사건 대지를 포함하여 신축건물과 기존의 인도사이의 부분이 빈터로 남아 있어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아니하다는 이유로 그 스스로의 비용으로 보도블럭을 깔아 기존인도와 연결시켜 위 상가건물의 입주자, 출입자 및 일반인들의 통행에 제공하고 있는 사실을인정한 후,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피고가 이 사건 대지위에 도로를 개설하여 관리함으로써 이를 점유하고 있다고 볼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원고가 이 사건 대지위에 보도블럭을 깔아 기존의 인도와 연결시켜 인도의 일부로 제공할 당시 이 사건 대지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포기하였다고도 볼 것이므로 이 사건 대지가 일반인의 통행로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하여 원고에 어떤 손실이 생겼다고 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이 사건에서 다툼이 되고 있는 대지부분을 피고가 점유하고 있는 것이라는 원고의 주장을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배척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그릇 인정한 위법등이 있다할 수 없고, 다만 원심이 원고가 위 대지부분에 보도블럭을 깔아 그 인접대지상에 건축한 상가건물의 입주자나 이용자들을 위하여 공로를 마련하여 줄 처지였고 기왕에 계획도로선에 저촉된 위 대지부분이 위와 같은 통행로로서 적합할 뿐 아니라 위 통행로가 있음으로써 위 상가건물의 효용가치가 확보되어 있는 상황인지의 여부등을 심리하지 아니한채 원고가 자신의 비용으로 보도블럭을 깔았다는 사실만을 들어 사용수익권을 포기하였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 할 것이나 결국 피고시가 위와 같은 계획도로선을 설정하여 이에 저촉되는 이 사건 대지에 대하여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함으로써 이 사건 대지가 사실상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는 사정만으로 피고시가 이 사건 대지위에 도로를 개설, 관리하여 이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정귀호(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마음대로 도로로 쓰나요? - 도로 점유에 관한 법 이야기

도시계획으로 도로예정지가 된 사유지를 소유자가 방치하고 지자체가 포장까지 했다고 해서 소유자가 땅의 사용권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도시계획#도로예정지#사유지#사용수익권

민사판례

내 땅인데, 시에서 도로로 쓰고 있다면? - 사실상 도로 점유에 대한 이야기

주민들이 새마을사업으로 도로를 만들 때 지자체가 상당한 재정 지원을 하고, 그 도로를 공공도로처럼 사용하며 관리도 한다면, 지자체가 그 땅을 점유하고 있다고 본다는 판례입니다.

#지자체#도로점유#사실상 점유#부당이득

민사판례

도로 점유, 누구 땅인가요? 시청 땅? 내 땅?

도시계획상 도로예정지로 지정된 땅을 연립주택 건설 과정에서 도로로 제공한 경우, 토지 소유자는 해당 토지에 대한 사용권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며, 지자체가 도로포장 등의 공사를 통해 공공의 교통에 사용하면 지자체의 점유로 인정된다는 판결.

#도로예정지#지자체 점유#토지소유자 권리포기#도로포장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시에서 관리해요? 도로점유에 대한 이야기

도시계획에 따라 도로 예정지로 지정된 땅을 시에서 사실상 도로로 사용하고 관리하는 경우, 토지 소유자가 사용권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시가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공사 등을 시행하고 관리하면서 사실상 도로로 점유하고 있었지만, 토지 소유자가 사용권을 포기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결했습니다.

#도로예정지#점유#사용권포기#토지반환소송

민사판례

내 땅인데 도로로 쓰이고 있다면? - 사실상 도로에 대한 보상 문제

오랫동안 도로로 사용된 땅에 대해 소유자가 사용할 권리를 포기했는지, 지자체가 점유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토지 소유자가 택지 조성 및 분양 과정에서 도로 부지를 제외하고 분양하여 사실상 도로 사용을 승인한 것으로 판단되어, 지자체의 점유 여부와 관계없이 소유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가 기각되었습니다.

#사실상 도로#지자체 점유#토지 소유자 사용권 포기#부당이득반환청구

민사판례

내 땅인데 도로로 쓰고 있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

국가나 지자체가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하는 것은 불법 점유이며, 토지 소유자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한다. 도로 종류에 따라 점유 인정 기준이 다르다.

#무단점유#도로#보상#부당이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