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4누3667

선고일자:

199411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등기가 이전된 경우, 양도세부과를 위하여는 과세관청이 그 소유권이전이 등기원인과 달리 유상양도임을 입증하여야 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원고와 그 맏형의 공동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다가 그중 원고의 지분에 관하여 신탁해지를 원인으로 맏형의 상속인들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경우, 이에 대한 양도세부과처분이 적법하기 위하여는 원고 지분의 이전시 등기원인이 명의신탁해지로 되어 있으므로 지분이전이 등기원인과는 달리 유상양도라는 점을 피고 과세관청이 입증하여야 하고, 원고와 맏형의 상속인들이 서로 혈족 사이라 하더라도 방계혈족 사이에 의제자백판결에 기한 명의신탁해지등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만으로 바로 유상양도로 추정되어 입증의 필요가 원고에게 넘어간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소득세법 제23조 제1항 , 행정소송법 제26조[입증책임]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홍기록 【피고, 피상고인】 동수원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2.1. 선고 92구2916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경기 화성군 동탄면 영천리 산 6의 1 임야 21,223㎡(이하 이 사건 임야라 한다)에 관하여 1968.1.16. 원고와 원고의 맏형인 소외 망 홍기섭의 공동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다가 1991.2.5. 그중 원고의 1/2 지분에 관하여 1990.8.5. 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하여 위 홍기섭의 상속인들인 소외 홍태호 외 5인 명의로의 소유권이전등기 및 1989.10.19. 협의분할을 원인으로 하여 위 홍태호 단독명의로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각 경료된 사실을 인정한 후, 이 사건 임야의 원고지분에 관하여 이루어진 소유권이전이 명의신탁해지로 인한 것이라고 볼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과세요건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과세관청인 피고에게 있다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임야 중 원고지분의 이전이 양도소득세의 대상이 되는 유상양도에 해당한다는 점은 피고가 입증하여야 할 것인바,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임야 중 원고지분이 이전된 사실만을 인정하였을 뿐, 유상양도되었다고 인정한 바 없이 오히려 명의신탁해지되었다는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과세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으나, 위 원고지분의 이전시 등기원인이 명의신탁해지로 되어 있으므로 위 이전이 등기원인과는 달리 유상양도라는 점은 과세관청인 피고가 입증하여야 할 것이고, 원고와 위 홍태호 외 5인이 서로 혈족 사이라 하더라도 방계혈족 사이에 의제자백판결에 기한 명의신탁해지등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만으로 바로 유상양도로 추정되어 입증의 필요가 원고에게 넘어간다고도 볼 수 없다. 따라서 원심은 과세요건에 관한 입증책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이 사건 임야의 원고지분의 이전이 유상양도인지에 관하여 제대로 심리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니, 이와 같은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하여 살펴볼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 판단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명의신탁 재산에 대한 증여세 부과, 누가 입증해야 할까?

다른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등기하는 명의신탁을 한 경우, 세무서에서는 이를 증여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때, 명의신탁이 실제로 있었다는 사실, 즉 재산의 실제 소유자와 등기상 명의자가 다르고, 그렇게 하기로 합의했다는 사실은 세무서가 입증해야 합니다.

#명의신탁#증여세#입증책임#과세관청

세무판례

내 땅인데 세금을 내라고요? 명의신탁 부동산 세금 문제!

부동산을 명의신탁했다가 나중에 해지하면서 원래 소유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경우, 이는 단순히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므로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신탁#해지#소유권이전#양도소득세

민사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해지, 조건이 있다고? 입증 책임은 누구에게?

계약 등 법률행위가 특정 조건이 성취되어야 효력이 발생하는 '정지조건부 법률행위'라고 주장하려면, 그 효력 발생을 막으려는 쪽이 그 조건의 존재를 입증해야 한다.

#정지조건부 법률행위#입증책임#명의신탁#변론주의

세무판례

명의신탁 부동산 팔았을 때,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요?

남의 이름으로 등기된 부동산(명의신탁 부동산)을 실제 소유자가 팔았을 때, 설령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증여세를 냈더라도 양도소득세는 실제 소유자가 내야 한다.

#명의신탁#부동산#양도소득세#납세의무자

민사판례

명의신탁 부동산 상속세와 소유권 이전, 누가 얼마나 책임져야 할까?

다른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등기해 놓은 명의신탁 부동산을 명의자가 돌려받으려 할 때, 명의자의 사망으로 상속인에게 상속된 경우 상속인이 낸 상속세는 명의신탁자가 물어줘야 하고, 재산을 돌려받는 것과 상속세를 물어주는 것은 동시에 이행해야 한다는 판결.

#명의신탁#부동산#상속세#상속인

세무판례

명의신탁 부동산, 누가 양도소득세를 내야 할까요?

명의수탁자가 명의신탁자의 동의 없이 부동산을 팔았을 때, 매매 차익(양도소득)이 명의신탁자에게 바로 돌아가지 않으면 명의신탁자는 양도소득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소송 등을 통해 나중에 돈을 받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명의신탁#부동산#무단양도#양도소득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