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기

사건번호:

95다46654

선고일자:

199705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사정명의인이 따로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소유권보존등기의 추정력 [2] 상속인이 존재하는 부동산을 국가가 구 국유재산법상의 무주부동산 취득절차에 의하여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3] 구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 제6조 제1항 소정의 요건을 흠결한 공시송달과 이에 터잡은 사업시행자의 소유권 취득의 효력(무효)

판결요지

[1]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등재되어 있는 자는 재결에 의하여 사정 내용이 변경되었다는 등의 반증이 없는 이상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받고 그 사정이 확정된 것으로 추정할 것이나, 소유권보존등기의 추정력은 그 보존등기 명의인 이외의 자가 당해 토지를 사정받은 것으로 밝혀지면 깨어지는 것이다. [2] 상속인이 존재하는 부동산은 무주부동산이 아니므로 이에 대하여 국가가 국유재산법상의 무주부동산 취득절차를 거쳤다고 하여 그 부동산이 국유로 될 수는 없다. [3] 구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1996. 12. 30. 법률 제523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1항, 같은법시행령 제4조 제1항, 제2항의 소정의 요건을 흠결한 공시송달은 같은 법상의 협의에 갈음하는 공시송달로서의 효력이 없다고 할 것이고, 공시송달이 부적법하여 효력이 없는 이상 이에 기한 사업시행자의 소유권 취득 또한 무효라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1] 민법 제186조 / [2] 구 국유재산법(1994. 1. 5. 법률 제46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 [3] 구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1996. 12. 30. 법률 제523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시행령 제4조 제1항 ,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0. 8. 26. 선고 79다434 판결(공1980, 13110), 대법원 1983. 2. 22. 선고 82다605 판결(공1983, 587), 대법원 1986. 6. 10. 선고 84다카1773 판결(공1986, 868), 대법원 1995. 4. 28. 선고 94다23524 판결(공1995상, 1960), 대법원 1996. 6. 28. 선고 96다16247 판결(공1996하, 2359) /[2] 대법원 1991. 7. 23. 선고 91다16013 판결 /[3] 대법원 1991. 6. 28. 선고 91다254 판결(공1991, 2026), 대법원 1992. 2. 14. 선고 91다28290, 28306 판결(공1992, 1024), 대법원 1992. 3. 13. 선고 91다44667 판결(공1992, 1306), 대법원 1994. 12. 23. 선고 94다48356 판결(공1995상, 646)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김의식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연철) 【피고,상고인】 이후옥 외 2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5. 8. 25. 선고 95나19880, 19897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피고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등재되어 있는 자는 재결에 의하여 사정 내용이 변경되었다는 등의 반증이 없는 이상 그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받고 그 사정이 확정된 것으로 추정할 것이고( 당원 1986. 6. 10. 선고 84다카1773 판결 참조), 소유권보존등기의 추정력은 그 보존등기 명의인 이외의 자가 당해 토지를 사정받은 것으로 밝혀지면 깨어지는 것이며( 당원 1995. 4. 28. 선고 94다23524 판결 참조), 상속인이 존재하는 부동산은 무주부동산이 아니므로 이에 대하여 국가가 국유재산법상의 무주부동산 취득절차를 거쳤다고 하여 그 부동산이 국유로 될 수는 없는 것이고( 당원 1991. 7. 23. 선고 91다16013 판결 참조),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1996. 12. 30. 법률 제523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1항, 그 시행령 제4조 제1항, 제2항의 소정의 요건을 흠결한 공시송달은 위 특례법상의 협의에 갈음하는 공시송달로서의 효력이 없다고 할 것이고 공시송달이 부적법하여 효력이 없는 이상 이에 기한 사업시행자의 소유권 취득 또한 무효라고 할 것이다 ( 당원 1991. 6. 28. 선고 91다254 판결 참조). 원심이 위와 같은 법리에 따라 그 판시 이 사건 3. 토지에 관한 국가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 및 이에 터잡아 경료된 피고들 명의의 각 소유권이전등기에 관하여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점에 관한 주장·입증이 없는 한 원인무효의 등기라고 본 다음 피고들의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적법한 등기라는 주장을 모두 배척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원심은 위 특례법상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협의취득에 갈음함으로써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하였다는 피고 염장순의 주장에 대하여, 이 사건 3. 토지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는 위 특례법에 의하여 취득한 것이 아니라 국유재산법 소정의 절차에 의한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이를 배척하였으나 나아가 이를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라는 주장으로 보더라도 기록상 위 특례법 소정의 공시송달에 의한 소유권 취득의 요건을 갖추었음을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으므로 그 소유권 취득은 무효라고 할 것이니 판결의 결과에는 영향이 없다.), 거기에 상고이유로서 주장하는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천경송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주인 진짜 누구야? 등기만 믿으면 안 되는 이유!

누군가 토지에 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했다 하더라도, 원래 국가에서 토지를 사정받은 사람이 따로 있고 그 사람이 토지를 팔았다는 사실을 부인한다면, 그 소유권보존등기는 효력이 없을 수 있다.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된 경우는 예외이다.

#소유권보존등기#사정#양도부인#특별조치법

민사판례

우리 땅은 누구 땅? 토지 소유권에 관한 이야기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의 소유권은 원칙적으로 인정되며, 설령 그 땅이 오랫동안 도로로 사용되었더라도 국가가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일제강점기#토지조사부#소유권#도로

민사판례

땅 주인이 누구야? 토지조사부와 등기부의 불일치

일제강점기 토지조사부에 기록된 소유자와 현재 등기부상 소유자가 다를 경우, 등기부상 소유자는 토지조사부 소유자로부터 소유권을 적법하게 이전받았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합니다. 단순히 토지대장에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소유권이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토지조사부#등기명의자#소유권#증명

민사판례

토지 소유권보존등기, 진짜 주인이 맞을까?

토지 소유권 보존등기는 등기부에 이름이 있다고 무조건 소유권이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토지를 국가로부터 받았다는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등기 명의자와 실제 토지 사정(분배)받은 사람이 다르면, 등기의 효력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토지 소유권#보존등기#국가 토지#등기 효력

민사판례

땅 주인이라고 우기는 사람이 나타났어요! 내 땅 맞나요?

누군가 토지에 대한 소유권 보존등기를 했더라도, 원래 국가에서 토지를 사정받은 사람이 따로 있고 그 사람이 "난 그 땅 판 적 없다!"라고 주장하면, 보존등기는 효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가 아닌 이상, 보존등기 명의자가 실제로 땅을 취득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토지 사정#보존등기#효력#소유권

민사판례

땅 주인 확인 소송, 이길 수 있을까? - 등기와 시효취득에 대한 이야기

종중 땅을 매수한 사람이 매매 사실과 다른 내용의 보증서로 등기를 했더라도 실제 매매 사실이 인정되면 등기는 유효하며, 국가가 시효취득을 주장한다고 해서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확인소송을 제기할 이익은 없다.

#종중 땅#매매#등기 효력#시효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