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5다57029

선고일자:

199710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전원합의체 판결

판시사항

[1]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의 추정력을 번복하기 위한 입증 정도 [2] 위토라는 사실만으로 종중의 소유 또는 묘주의 소유로 추정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 실효)에 의한 등기는 같은 법 소정의 적법한 절차에 따라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로 추정되므로 등기의 말소를 소구하는 자에게 적극적으로 추정을 번복시킬 주장·입증책임이 있지만, 등기의 기초가 된 보증서나 확인서의 실체적 기재 내용이 진실이 아님을 의심할 만큼 증명이 있는 때에는 등기의 추정력은 번복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러한 보증서 등의 허위성의 입증 정도가 법관이 확신할 정도가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2] 어느 토지가 특정 묘의 위토로 되는 경위는 그 특정 묘와 관계 있는 종중이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여 위토 설정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후손 중의 어느 개인이 그 소유의 토지를 특정 선조 묘의 위토로 설정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위토라는 사실만으로 종중 소유의 토지라고 볼 수는 없고, 또한 위토라고 하여 반드시 묘주의 소유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

참조조문

[1]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 실효) 제6조, 민법 제186조/ [2]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3. 11. 선고 93다57490 판결(공1994상, 1185), 대법원 1996. 4. 23. 선고 95다11184 판결(공1996상, 1556), 대법원 1996. 11. 15. 선고 96다31024 판결(공1997상, 6), 대법원 1997. 4. 25. 선고 97다4838 판결(공1997상, 1594) /[2] 대법원 1960. 9. 1. 선고 4292민상966 판결(변경), 대법원 1970. 9. 22. 선고 70다1441, 1442 판결(집18-3, 민64), 대법원 1984. 3. 13. 선고 83도1726 판결(공1984, 663), 대법원 1985. 11. 26. 선고 85다카847 판결(공1986, 118), 대법원 1991. 9. 10. 선고 91다14062 판결(공1991, 2531), 대법원 1994. 2. 25. 선고 93다48847 판결(공1994상, 1095), 대법원 1994. 10. 7. 선고 94다28048 판결(공1994하, 2953), 대법원 1995. 11. 14. 선고 95다21471 판결(공1996상, 11), 대법원 1996. 6. 14. 선고 96다2729 판결(공1996하, 2170),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6다15923 판결(공1997하, 3389)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망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5. 11. 23. 선고 95나11633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 2점에 대하여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3094호, 이하 특별조치법이라 한다)에 의한 등기는 같은 법 소정의 적법한 절차에 따라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로 추정되므로 그 등기의 말소를 소구하는 자에게 적극적으로 그 추정을 번복시킬 주장·입증책임이 있지만, 등기의 기초가 된 보증서나 확인서의 실체적 기재 내용이 진실이 아님을 의심할 만큼 증명이 있는 때에는 그 등기의 추정력은 번복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러한 보증서 등의 허위성의 입증 정도가 법관이 확신할 정도가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대법원 1997. 4. 25. 선고 97다4838 판결, 1994. 3. 11. 선고 93다57490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제1심이 그 내세운 증거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심판결 별지목록 기재의 각 부동산(이하 이 사건 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위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마쳐진 피고 ○○○씨○○○파종중(이하 피고 종중이라 한다)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는 위 등기의 기초가 된 보증서의 실체적 기재 내용이 진실이 아님을 의심할 만큼 증명이 되었다 할 것이어서 그 추정력이 번복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위 소유권보존등기는 실체적 권리를 결하여 무효이고, 따라서 이에 터잡은 망 소외 1 명의의 각 소유권이전등기도 무효라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위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마쳐진 등기의 추정력 및 권리 변동에 관한 법리오해, 판례 위반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제3 내지 5점에 대하여 어느 토지가 특정 묘의 위토로 되는 경위는 그 특정 묘와 관계 있는 종중이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여 위토 설정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후손 중의 어느 개인이 그 소유의 토지를 특정 선조 묘의 위토로 설정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위토라는 사실만으로 종중 소유의 토지라고 볼 수는 없고( 대법원 1995. 11. 14. 선고 95다21471 판결, 1985. 11. 26. 선고 85다카847 판결, 1984. 3. 13. 선고 83도1726 판결 등 참조), 또한 위토라고 하여 반드시 묘주의 소유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70. 9. 22. 선고 70다1441, 1442 판결 참조). 이와 다른 견해를 취한 대법원 1960. 9. 1. 선고 4292민상966 판결은 이를 변경하기로 한다. 원심판결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부동산이 원래 원고가 상속한 원고(원고는 이 사건 부동산으로 수호하는 분묘의 묘주가 아니다.)의 소유임을 인정하고, 반면 이 사건 부동산은 피고 종중 소유의 위토로서 피고 종중이 망 소외 2에게 명의를 신탁하여 위 소외 2 명의로 사정을 받았던 것인데 그 명의신탁을 해지하였으므로 피고 종중 명의의 위 소유권보존등기는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라는 피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이 사건 부동산이 피고 종중이 수호하는 분묘 4기에 대한 위토인 사실은 인정이 되나 그것이 위토라는 사실만으로 곧바로 이를 피고 종중의 소유라고 단정할 수 없고, 제1심 증인의 증언만으로는 이를 인정하기에 부족하며, 달리 피고 종중이 이 사건 부동산의 소유자로서 이 사건 부동산을 위 소외 2에게 명의신탁한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피고들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기록과 위에 밝힌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제1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이유모순, 채증법칙 위배, 판단유탈, 위토의 소유권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들 전원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원장 윤관(재판장) 최종영 천경송 정귀호 박준서 이돈희 김형선(주심) 지창권 신성택 이용훈 이임수 송진훈 서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묘지 옆 땅, 무조건 종중 땅일까요?

조상의 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용하는 땅(위토)이라고 해서 무조건 종중 소유라고 볼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후손 개인이 자신의 땅을 위토로 지정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위토#종중#소유권#명의신탁

민사판례

묘지 옆 땅, 나라 땅 될 뻔했네?! 위토(位土) 분쟁 이야기

조상의 묘를 관리하기 위한 땅(위토)은 농지개혁법에 따른 정부 매수 및 분배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설령 분배 절차를 거쳤더라도 그 효력은 없다.

#위토#농지개혁법#분배대상 제외#농지분배 무효

민사판례

묘지가 있는 땅, 누구 땅일까요? - 종중 땅 vs 개인 땅

조상 묘지가 있는 땅(위토, 묘산 또는 종산)이라고 해서 무조건 종중 소유라고 볼 수 없으며, 등기부상 소유자로 등기된 사람이 소유권자로 추정된다는 판결.

#묘지#종중 땅#소유권#등기

민사판례

묘산이나 위토라고 무조건 종중 땅은 아니에요!

단순히 묘지나 제사 관련 토지라는 사실만으로는 종중 소유라고 단정할 수 없다. 종중이 직접 소유권을 취득했는지, 아니면 개인이 자신의 땅을 묘지나 제사용으로 제공했는지 등 구체적인 사정을 따져봐야 한다.

#묘지#제사#토지#종중 소유

민사판례

조상 땅을 물려받았다는 증거, 믿을 수 있을까? - 위토 관리와 소유권 분쟁 이야기

조상 묘를 관리하는 위토를 친척들로부터 관리만 맡았는데 증여받았다는 허위 확인서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경우, 그 등기는 무효이다. 특히, 법이 정한 기간(1974년 12월 31일 이전) 이후에 권리를 취득했으면서 특별조치법에 의해 등기를 했다면 그 등기는 효력이 없다.

#위토#관리권#소유권이전등기#무효

민사판례

종중 땅, 종손에게 상속될까? 위토인 허가 없으면 소유권 잃을까?

특별조치법에 따라 된 종중 위토의 소유권 보존등기는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종중 위토가 종손에게 상속된다는 관습은 없다. 또한, 위토인 허가를 받지 않았다고 해서 위토의 소유권을 잃는 것은 아니다.

#종중#위토#소유권보존등기#추정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