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96다6127

선고일자:

199611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유림 대부료 산정을 위한 임야가격의 평가 방법

판결요지

국유림의 대부관계에 있어서 대부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산림법시행령 제62조 제1항 소정의 '당해 임야의 임야가격'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국유림을 대부받은 자가 그 후 자기의 비용과 노력으로 가치를 증가시킨 현 상태를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그 부과 시점에서 대부 당시의 현실이용 상태인 임야 상태를 상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산림법 제75조 제1항, 산림법시행령 제62조 제1항, 제3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3. 4. 27. 선고 92누15857 판결(공1993하, 1592), 대법원 1994. 3. 22. 선고 92누10234 판결(공1994상, 1340), 대법원 1994. 9. 9. 선고 94누2510 판결(공1994하, 2651), 대법원 1996. 8. 23. 선고 96누3951 판결(공1996하, 2894), 대법원 1996. 11. 15. 선고 95다8034 판결(같은 취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신창기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우창록 외 2인) 【피고,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2. 12. 선고 95나494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상고이유(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이, 이 사건 국유림의 대부관계에 있어서 대부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산림법시행령 제62조 제1항 소정의 '당해 임야의 임야가격'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고가 이 사건 국유림을 대부받은 후 자기의 비용으로 골프장을 조성한 현 상태를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그 부과 시점에서 골프장 조성 이전의 현실이용 상태인 임야 상태를 상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고 하여, 대부료의 부과 시점에서 대부 당시의 현황대로 평가한 임야가격을 기준으로 삼아 산출한 대부료의 수액을 넘는 부분은 과다납부된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와 같은 대부료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상고이유로 내세우는 구 산림법시행령(1995. 6. 23. 대통령령 제1468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8조 제5항의 규정이나 초지법 제18조의 규정은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에 방해가 되지 아니한다. 2.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이, 원·피고 간의 대부계약 체결시 이 사건 국유림의 대부료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야가격은 골프장으로 사용 중인 상태를 기준으로 하기로 약정하였다거나 원고가 피고로부터 고지받은 대부료를 별 이의 없이 납부한 것으로 보아 피고의 대부료 산정 방법을 추인하였다는 피고의 위 각 주장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모두 배척한 조치는 기록에 비추어 검토하여 본즉,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심리미진과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나 대부계약의 해석을 함에 잘못을 저지른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필경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판단과 사실의 인정을 비난하거나 원심이 인정한 사실과 상치되는 사실을 전제로 원심의 판단을 부당하게 흠잡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유지 대부료,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골프장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대부료 산정 기준

국유지를 빌려 쓰는 사람이 투자해서 땅값을 올렸을 때, 대부료(빌려 쓰는 비용)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2009년 7월 31일 법이 바뀌면서, 이전과는 달리 투자 후 오른 땅값을 기준으로 대부료를 계산해야 합니다.

#국유지#대부료#산정기준#법 개정

민사판례

국유림 및 국유 일반재산 대부료, 어떻게 계산될까요?

국유림이나 국유 일반재산을 빌려 쓰는 사람이 자신의 돈으로 땅을 개발해서 가치를 높였더라도, 대부료(빌려 쓰는 비용)는 개발 후 *현재*의 땅값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국유림#국유일반재산#대부료#개발후 가치

민사판례

국유림 대부료, 용도지역 변경되면 어떻게 될까?

국유림을 빌려 쓴 사람이 돈을 들여 개발한 경우, 개발 전 토지 상태를 기준으로 대부료를 계산하는데, 용도지역 변경은 이러한 '개발'에 포함되지 않는다.

#국유림#대부료#용도지역 변경#개발

민사판례

국유림 대부료, 개발 후엔 얼마나 내야 할까?

국유림을 빌려서 개발한 경우, 개발 후 오른 땅값을 기준으로 대부료를 내야 한다. 처음 빌릴 때의 땅값이 아니라, 대부료를 부과하는 시점의 땅값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국유림#대부료#개발#땅값

민사판례

국유지 골프장 대부료, 땅값 오르기 전 기준으로 내야 할까?

국유지에 골프장을 짓기 위해 빌린 땅의 임대료(대부료)는 골프장 건설 후 오른 땅값이 아니라, 골프장 건설 *전*의 땅값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국유지#골프장#대부료#개발 전 토지 가치

민사판례

국유지 대부료, 내 땅처럼 가꿔도 더 내야 할까?

국유지를 빌려 쓴 사람이 땅을 개량해서 가치를 높였다면, 그 개량된 가치를 반영해 대부료를 더 내야 할까요? 2009년 7월 31일 이전과 이후, 법 해석이 다릅니다.

#국유지#대부료#개별공시지가#재산가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