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7다49251

선고일자:

19980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농지법상 농지취득자격증명이 농지 취득의 원인이 되는 법률행위의 효력발생요건인지 여부(소극) [2] 농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이행의 소송에서 농지취득자격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그 청구를 배척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농지법 제8조 제1항 소정의 농지취득자격증명은 농지를 취득하는 자가 그 소유권에 관한 등기를 신청할 때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로서(농지법 제8조 제4항), 농지를 취득하는 자에게 농지취득의 자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일 뿐 농지취득의 원인이 되는 법률행위(매매 등)의 효력을 발생시키는 요건은 아니다. [2] 농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이행의 소송에서, 비록 원고가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민사소송절차의 종료 후 얼마든지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아 농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원고가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은 바 없다는 이유로 그 청구가 배척되지는 않는다.

참조조문

[1] 농지법 제8조/ [2] 농지법 제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윈심판결】 대구지법 1997. 9. 26. 선고 96나1278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 2점에 대하여 원심이 그 내세운 증거에 의하여, 원고는 1988. 7.경 당시 그의 처였던 소외 1을 통하여 농지인 이 사건 각 부동산을 소외 2 외 8인 및 소외 3에게서 각 전전 매수한 피고로부터 대금 합계 금 12,000,000원에 매수하고, 그 매매대금을 전액 피고에게 지급하면서 다만 위 각 부동산의 소유권이전등기는 피고 명의로 하기로 피고와 약정한 사실, 위 약정에 따라 이 사건 제1부동산에 관하여 1988. 7. 26.에, 이 사건 제2부동산에 관하여 같은 달 25.에 피고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각 마쳐진 사실, 원고의 명의신탁해지의 의사표시가 기재된 이 사건 소장부본이 1996. 4. 17. 피고에게 송달된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위 각 부동산은 원고가 피고에게 명의신탁한 것인데, 이 사건 소장부본의 송달로써 위 명의신탁은 해지되었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위 각 부동산에 관하여 1996. 4. 17.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 절차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한 후, 피고의 주장 즉, 피고는 원고가 아닌 위 소외 1로부터 위 각 부동산을 명의신탁받은 것이라는 주장과 피고가 1989. 7.경 위 소외 1로부터 위 각 부동산을 다시 매수함으로써 위 명의신탁약정은 해지되었다는 주장을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모두 배척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명의신탁 성립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필경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 판단과 사실의 인정을 비난하거나 원심이 인정한 사실과 상치되는 사실을 전제로 원심의 판단을 부당하게 흠잡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그리고 상고이유 중 제3자를 위한 계약의 효력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은 원심에서 한 바 없는 새로운 주장일 뿐 아니라 독자적인 견해에 불과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2. 제3점에 대하여 농지법 제8조 제1항 소정의 농지취득자격증명은 농지를 취득하는 자가 그 소유권에 관한 등기를 신청할 때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로서(농지법 제8조 제4항), 농지를 취득하는 자에게 농지취득의 자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일 뿐 농지취득의 원인이 되는 법률행위(매매 등)의 효력을 발생시키는 요건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비록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민사소송절차의 종료 후 얼마든지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아 농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 길이 열려져 있는 것이라고 하여 이에 관한 피고의 주장(즉, 원고가 위 각 부동산에 대하여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은 바 없으므로, 위 각 부동산의 소유권이전등기 절차의 이행을 구하는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허용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농지법 제8조 소정의 농지취득자격증명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지 명의신탁 해지 후 소유권이전등기 청구, 어떻게 해야 할까?

농지를 명의신탁했다가 해지한 경우, 매도인(명의수탁자)은 매수인(명의신탁자)에게 농지매매증명 발급 신청에 협력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매수인은 매매증명 발급을 조건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농지 명의신탁 해지#소유권이전등기 청구#농지매매증명 발급 협력 의무#조건부 소유권이전등기

민사판례

농지 명의신탁과 소유권 이전, 꼭 필요한 것은?

농지를 명의신탁했다가 다시 찾아오려면(명의신탁 해지), 일반 부동산처럼 단순히 명의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농지매매증명을 받아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신탁#농지#소유권이전#농지매매증명

민사판례

농지 명의신탁 해지와 농지매매증명

명의신탁된 농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줄 때에도 농지매매증명이 필요하지만, 법원은 당사자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농지매매증명 여부를 직접 조사할 의무는 없다.

#명의신탁#농지#소유권이전등기#농지매매증명

민사판례

종중 위토 농지와 명의신탁, 그리고 농지취득자격증명

농지법상 농지취득자격증명은 등기 시 필요한 서류일 뿐, 땅 매매 자체의 효력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과거 농지개혁법 시행 당시 종중이 위토를 위해 다른 사람 명의로 땅을 등기한 경우, 이는 법 위반이 아니므로 명의신탁이 유효하다.

#농지취득자격증명#종중#위토#명의신탁

민사판례

농지 매매와 소유권 이전 등기 - 꼭 알아야 할 증명!

농지를 사고팔 때는 관청의 증명(농지매매증명)이 필수이며, 이 증명 없이는 소유권 이전 등기를 바로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다만, 증명 발급을 조건으로 미리 등기 청구는 가능합니다.

#농지#매매#소유권이전등기#농지매매증명

민사판례

농지 공매 후 자격증명 없이 소유권을 얻을 수 있을까?

농지를 공매로 사고 돈도 다 냈지만, 농지 취득 자격 증명을 받지 못하면 소유권을 가질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원래 주인이 밀린 세금을 내고 다른 사람에게 팔아도, 그 거래는 유효하다.

#농지#공매#자격증명#소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