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찰허가

사건번호:

98마206

선고일자:

19980312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경매기일 및 경락기일에 대한 공고 및 통지절차가 완료된 후 권리신고를 한 이해관계인에게 그 기일을 통지하지 아니한 것이 위법한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입찰기일의 공고 및 다른 이해관계인에 대한 입찰기일 및 낙찰기일에 대한 통지절차가 완료된 후에 비로소 권리신고가 있는 경우에는 비록 그 신고가 입찰기일 전에 행하여졌다고 할지라도 당해 이해관계인에게 입찰기일 및 낙찰기일을 통지하지 않았다고 하여 위법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를 낙찰에 대한 이의 내지 항고사유로 삼을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17조 제2항, 제64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1. 1. 13.자 70마878 결정(집19-1, 민13), 대법원 1993. 3. 4.자 93마178 결정(공1993상, 1264), 대법원 1995. 4. 22.자 95마320 결정(공1995상, 1936)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지법 1998. 1. 7.자 97라2619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입찰기일의 공고 및 다른 이해관계인에 대한 입찰기일 및 낙찰기일에 대한 통지절차가 완료된 후에 비로소 권리신고가 있는 경우에는 비록 그 신고가 입찰기일 전에 행하여졌다고 할지라도 당해 이해관계인에게 입찰기일 및 낙찰기일을 통지하지 않았다고 하여 위법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를 낙찰에 대한 이의 내지 항고사유로 삼을 수 없다(대법원 1995. 4. 22.자 95마320 결정, 1993. 3. 4.자 93마178 결정 등 참조). 원심결정의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입찰절차에 있어서 1997. 10. 22. 10:00의 입찰기일 및 같은 달 29. 14:00의 낙찰기일에 대한 공고와 다른 이해관계인들에 대한 기일통지서가 발송된 후에 재항고인이 이해관계인으로서 권리 신고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재항고인에게 위 입찰기일 등을 통지하지 아니한 것이 이 사건 낙찰에 대한 항고사유가 될 수 없고, 이 사건 입찰대상 부동산에 대한 평가나 최저경매가격의 결정에 관하여 아무런 위법사유도 발견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 바, 기록에 의하면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입찰기일의 통지 및 최저입찰가격의 결정에 관한 법리오인 내지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정귀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입찰 기일 통지 못 받았다고 낙찰 무효?

경매나 입찰 과정에서 이해관계인에게 기일 통지를 하지 않았더라도, 그 이해관계인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법원이 직권으로 낙찰을 취소할 수 없다.

#입찰#기일통지#누락#낙찰

민사판례

부동산 입찰에서 기일 통지 누락은 언제 문제가 될까?

부동산 입찰에서 이해관계인에게 입찰 기일을 알려주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이미 알고 있었거나 입찰에 참여했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여러 입찰 기일을 한꺼번에 정하는 경우, 새로 이해관계인이 된 사람에게는 추가로 통지를 해야 하지만, 이전 입찰이 실패한 후 바로 다음 입찰에 대해서는 새로 권리를 신고한 사람에게 통지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내용입니다.

#부동산 경매#입찰 기일 통지#이해관계인#경락이의

민사판례

경매절차, 늦게 참여한 사람에게도 모든 기일을 통지해야 할까요?

경매 시작 전에 이미 모든 이해관계인에게 경매기일을 통지한 후, 새롭게 권리신고를 한 사람에게는 다시 통지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경매#통지#권리신고#의무

민사판례

경매 참여했는데, 통지 못 받았다고 문제 삼을 수 있을까요?

경매 절차에서 이해관계인에게 입찰 기일을 알려주지 않은 경우, 그 이해관계인이 실제로 입찰에 참여했다면 나중에 "절차상 문제가 있다"라고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경매#입찰기일 통지누락#경락이의#실제참여

민사판례

경매, 내 권리는 어떻게 지킬까? - 임차인의 권리신고와 기일 통지

집이 경매로 넘어갈 때 세입자(임차인)는 법원에 권리 신고를 해야 '이해관계인'으로 인정받습니다. 법원에서 경매 진행 사실을 미리 알려주지 않더라도 세입자에게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법원이 경매 관련 중요 날짜를 이해관계인에게 제대로 알려주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등기우편으로 통지할 때는 우체국 '특수우편물 수령증'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만약 세입자가 이미 경매 진행 사실을 알고 참여했다면, 통지받지 못했더라도 큰 문제는 아닙니다.

#경매#임차인 권리#기일 통지#수령증

민사판례

경매절차에서의 통지 누락과 즉시항고

경매 절차에서 법원이 이해관계인에게 입찰 기일을 통지하지 않고 낙찰을 진행한 경우, 해당 이해관계인은 실제 금전적 손해가 없더라도 낙찰 허가 결정에 즉시항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고심 법원은 변론이나 심문 없이 서면 심리만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경매#이해관계인#통지누락#즉시항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