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의무효

사건번호:

99므1329

선고일자:

200004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실혼관계에 있는 당사자 사이의 혼인의사가 불분명한 경우, 혼인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혼인의 합의란 법률혼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 나라 법제하에서는 법률상 유효한 혼인을 성립하게 하는 합의를 말하는 것이므로 비록 사실혼관계에 있는 당사자 일방이 혼인신고를 한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혼인의사가 결여되었다고 인정되는 한 그 혼인은 무효라 할 것이나, 상대방의 혼인의사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혼인의 관행과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사실혼관계를 형성시킨 상대방의 행위에 기초하여 그 혼인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이와 반대되는 사정, 즉 혼인의사를 명백히 철회하였다거나 당사자 사이에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합의하였다는 등의 사정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혼인을 무효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812조, 제815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0. 4. 22. 선고 79므77 판결(공1980, 12828), 대법원 1983. 9. 27. 선고 83므22 판결(공1983, 1591), 대법원 1984. 10. 10. 선고 84므71 판결(공1984, 1797), 대법원 1994. 5. 10. 선고 93므935 판결(공1994상, 1690), 대법원 1996. 6. 28. 선고 94므1089 판결(공1996하, 2373)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부천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이양원 외 1인) 【피고,피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서울가법 1999. 6. 24. 선고 98르89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법리오해의 점에 대하여 혼인의 합의란 법률혼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 나라 법제하에서는 법률상 유효한 혼인을 성립하게 하는 합의를 말하는 것이므로 비록 사실혼관계에 있는 당사자 일방이 혼인신고를 한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혼인의사가 결여되었다고 인정되는 한 그 혼인은 무효라 할 것이나( 대법원 1983. 9. 27. 선고 83므22 판결 참조), 상대방의 혼인의사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혼인의 관행과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사실혼관계를 형성시킨 상대방의 행위에 기초하여 그 혼인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이와 반대되는 사정, 즉 혼인의사를 명백히 철회하였다거나 당사자 사이에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합의하였다는 등의 사정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혼인을 무효라고 할 수 없다( 대법원 1980. 4. 22. 선고 79므77 판결, 1994. 5. 10. 선고 93므935 판결 등 참조). 원심의 판단은 그 표현이 다소 부적절하나 앞서 본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민법과 호적법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심리미진과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사실상 혼인관계에 있는 원고와 피고 사이에 기왕의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합의하거나 원고가 피고와의 혼인의사를 철회하였다는 등의 사정이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혼인신고의 무효를 주장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혼인신고 당시 원고와 피고가 사실혼관계에 있었다 할 것이고, 원고가 이 사건 혼인신고에 앞서 혼인의사를 명백히 철회하였다거나 피고와 사이에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하는 합의를 하였다고 볼 증거가 없는바, 같은 취지의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내세우는 심리미진과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서성 유지담(주심)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동거만 하던 커플, 몰래 혼인신고를? 법원의 판단은?

동거하며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던 중 한쪽이 혼인신고를 했는데, 상대방의 혼인 의사가 확실하지 않더라도 특별한 반대 정황이 없다면 혼인으로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사실혼#혼인신고#일방#혼인의사

상담사례

몰래 혼인신고?! 당황스러운 상황, 혼인은 유효할까요?

사실혼 관계에서 상대방이 몰래 혼인신고를 해도 혼인 의사 부재를 명확히 입증하지 못하면 혼인은 유효하며, 무효 주장을 위해선 혼인 거부 의사 표명 등 적극적인 증거 제시가 필요하다.

#혼인신고#사실혼#혼인의사#무효

상담사례

일방적인 혼인신고? 이미 부부로 살았다면 이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협의이혼 후 동의 없는 혼인신고를 당했더라도, 이후 부부처럼 생활했다면 혼인 의사가 있었다고 간주되어 이혼소송을 해야 할 수 있다.

#일방적 혼인신고#혼인 무효#이혼소송#동거

상담사례

혼인신고, 배우자 동의 없이 혼자 할 수 있을까요? 💔

배우자 동의 없이 혼자서 혼인신고는 불가능하지만, 사실혼 관계 입증 후 법원 판결을 받으면 가능하며, 소송 전 배우자와의 대화와 합의가 최선이다.

#혼인신고#배우자동의#불가능#사실혼

가사판례

혼인신고, 언제 무효가 될까요?

한쪽 배우자가 혼수상태일 때 다른 배우자가 임의로 혼인신고를 한 경우, 그 혼인은 무효입니다.

#혼수상태#혼인신고#무효#혼인의사

상담사례

일방적인 혼인신고, 7년이나 지났는데 유효할까요?

일방적인 혼인신고 후 7년 경과 시, 혼인의 효력은 혼인신고 후 부부로서의 사회적 활동 여부, 결혼 약속의 구체성, 지속적 관계 유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며, 단순히 기간 경과만으로는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방적 혼인신고#혼인 효력#암묵적 혼인의사#부부 사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