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3.12

형사판례

간이공판절차, 피고인이 공소사실 부인하면 안돼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이공판절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간이공판절차는 비교적 경미한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제도인데요, 피고인이 공소사실을 인정하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피고인이 공소사실을 부인한다면 일반적인 재판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 원칙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는데요, 피고인이 변호인의 반대신문 과정에서 공소사실을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원심 법원이 간이공판절차로 진행하여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도계장 허가와 관련하여 돈을 받은 혐의(변호사법 위반)로 기소되었습니다. 검사의 신문에서는 혐의를 인정하는 듯한 진술을 했지만, 변호인의 반대신문에서는 돈을 받은 것은 맞지만, 월급 명목으로 받았으며, 회사의 직원으로서 업무를 처리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공소사실을 부인하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피고인의 진술을 근거로, 피고인이 공소사실을 부인한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간이공판절차로 진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간이공판절차에서는 일반 재판과 달리 증거조사 절차가 간소화되는데, 이 경우 피고인의 방어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재판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이 사건은 간이공판절차의 적용 요건을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 형사소송법 제286조의2 (간이공판절차의 요건)
  • 형사소송법 제297조의2 (증거조사)
  • 형사소송법 제318조의3 (증거능력)

참고 판례

  • 대법원 1981. 6. 9. 선고 81도775 판결
  •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5도1859 판결
  • 대법원 1995. 12. 12. 선고 95도2297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간이공판절차에서 피고인이 혐의를 부인하면 어떻게 될까?

피고인이 절도 혐의를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1심 법원이 간이공판절차로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을 2심 법원이 그대로 인정한 것은 잘못되었다는 대법원 판결. 간이공판절차는 피고인이 모든 혐의를 인정할 때만 가능하며, 일부라도 부인하면 정식 재판 절차를 거쳐야 함.

#간이공판절차#혐의 부인#정식재판#증거조사

형사판례

간이공판절차, 범의 부인 시 적용될 수 있을까?

피고인이 죄를 저지를 의도(범의)가 없었다고 주장했는데도 법원이 간단한 재판 절차(간이공판절차)로 진행하여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는 판례입니다. 정식 재판 절차를 거쳐 증거를 제대로 조사해야 합니다.

#간이재판#범의부인#관세법위반#증거조사

형사판례

간이재판에서 피고인 진술 기록, 간략해도 괜찮을까?

간이공판절차에서 공판조서에 피고인의 진술이 간략하게 기재되어도, 그 자체로는 문제가 되지 않고 유효하다.

#간이공판절차#공판조서#피고인 진술#간략 기재

형사판례

간이공판에서 자백 후 항소심에서 뒤집으면?

간이공판절차에서 피고인이 자백하여 증거로 사용된 내용은, 항소심에서 범행을 부인하더라도 여전히 유효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간이공판절차#자백#항소심#범행부인

형사판례

공소사실 변경과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

재판 중 검사가 공소사실을 변경하더라도, 그 변경이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실질적인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면 재판을 잠시 멈추지 않아도 된다.

#공소사실 변경#공판절차 정지#방어권#실질적 불이익

형사판례

공소장 작성 요령과 범죄사실 인정, 증인신문 참여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공소장 작성 방법, 법원이 공소사실과 조금 다르게 판결해도 되는 경우, 그리고 재판 전 증인신문에 피고인 측 참여가 필수적인지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공소장 기재요령#공소사실과 다른 범죄사실 인정#증인신문 참여 기회#상습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