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2.03

세무판례

건축허가 제한과 유휴토지 판단: 땅 주인에게 중요한 이야기

땅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유휴토지"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특히 과거 토지초과이득세가 부과되던 시절에는 이 유휴토지 여부가 세금 계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오늘은 건축허가 제한이 걸린 땅이 유휴토지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 그리고 유휴토지

과거 토지초과이득세법은 땅값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땅값이 오른 부분에 대해 세금을 매기는 제도였습니다. 이때 단순히 땅을 놀리고 있는 것만으로도 유휴토지로 간주되어 세금이 부과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놀리는 땅이 유휴토지인 것은 아니었고, 예외 사유들이 있었습니다.

건축허가 제한, 유휴토지 인정될까?

이번 판결의 핵심은 "건축허가 제한이 걸린 땅은 유휴토지로 봐야 할까?"입니다. 땅 주인이 땅을 놀리고 싶어서 놀린 게 아니라, 정부나 지자체에서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땅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대법원은 이런 경우 구 토지초과이득세법 시행령 제23조 제3호 단서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조항에 따르면, 땅을 산 날로부터 1년 + 건축허가 제한 기간 동안은 유휴토지에서 제외됩니다. 즉, 건축허가 제한 기간 동안은 땅을 놀리고 있더라도 유휴토지로 보지 않고, 따라서 토지초과이득세도 부과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판결의 핵심 내용과 관련 법조항

이 사건에서 원고는 건축허가 제한으로 땅을 사용하지 못했고, 건축허가 제한이 풀리기 전에 건축허가 신청까지 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원고의 땅은 유휴토지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 건축법 제12조: 건축허가 제한에 관한 내용
  •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3항: 유휴토지의 정의 및 예외 사유
  • 구 토지초과이득세법 시행령 제23조: 유휴토지로 보지 않는 토지의 종류

참고 판례

  • 대법원 1994.5.10. 선고 93누7303 판결
  • 대법원 1994.6.10. 선고 93누12022 판결

이 판례는 건축허가 제한으로 땅을 사용하지 못하는 땅 주인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판결입니다. 혹시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다면 이 판례를 참고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땅 사고 바로 안 지으면 세금 내야 할까? 유휴토지와 토지초과이득세

건축허가 제한 기간 동안 토지가 유휴토지로 간주되어 토지초과이득세가 부과될 수 있는지, 그리고 건축물 신축 목적의 의미와 건축허가 제한 기간의 산정 방법에 대한 판례입니다.

#건축허가 제한#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건축물 신축 목적

세무판례

농지의 토지초과이득세, 언제 내야 할까? - 유휴토지의 기준과 법령상 사용제한

농지가 주거지역으로 지정되고 일부가 도로에 편입될 예정이라는 사실만으로는 토지초과이득세를 면제받을 수 없다. 실제로 토지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거나 제한되어야만 면제 대상이 된다.

#토지초과이득세#농지#유휴토지#사용제한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땅 사용 가능하면 유휴토지 아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사실상 완료되어 토지 사용이 가능하게 된 시점을 판단하고, 환지청산금 미납으로 인한 건축허가 제한이 유휴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완료시점#유휴토지#환지청산금

세무판례

건물 지은 땅, 무조건 '유휴토지' 아니다! 토지초과이득세 논란 해결!

건물이 지어진 땅은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대상인 '유휴토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 관련 법 조항이 위헌 결정을 받아 개정되었고, 개정된 법은 이전 사건에도 소급 적용된다.

#토지초과이득세#건물#유휴토지#위헌

세무판례

건축허가 제한과 토지초과이득세

정부의 건축허가 제한조치로 건물을 짓지 못했다면, 그 기간 동안은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법령에 직접 명시된 사용제한뿐 아니라, 행정청의 건축허가 제한 조치도 토지 사용 제한으로 인정됩니다.

#건축허가 제한#토지초과이득세#토지사용제한#대법원 판결

세무판례

유휴토지, 행정지침에 의한 건축제한도 사용제한 사유에 포함될까?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행정지침으로 건축이 제한된 토지는, 토지 소주인이 인허가 신청을 하지 않았더라도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시 유휴토지에서 제외될 수 있다.

#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행정지침#건축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