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10.25

일반행정판례

공공시설 설치 위한 토지, 적법한 취득이 우선!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공시설 설치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업이라도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으면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남양주시가 도시계획사업의 일환으로 철도 관련 공공시설을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설이 들어선 땅을 남양주시가 적법하게 취득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땅의 소유권 문제가 불거지면서 분쟁이 발생했고, 결국 대법원까지 가게 되었습니다. 남양주시는 기존 시설이 있던 땅이 자신들에게 무상으로 귀속되어야 하고, 토지 점용료도 면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1. 남양주시가 땅을 적법하게 취득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공시설을 설치했을 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 제65조 제1항, 제99조에 따라 기존 시설 부지가 남양주시에 무상으로 귀속되는지 여부

  2. 설치된 공공시설의 토지 점용료/사용료가 면제되는지 여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남양주시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1. 토지 무상귀속에 대하여: 국토계획법 제65조 제1항과 제99조는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행정청이 적법하게 토지를 취득한 후 공공시설을 설치한 경우에 적용된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토지를 적법하게 취득하지 않고 공공시설을 설치했다면, 설령 국가나 지자체가 해당 시설을 점유·사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위 조항들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토지가 국유지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2. 점용료/사용료 면제에 대하여: 국토계획법 제65조 제3항과 제4항에 따라, 개발행위허가 전에 관리청(여기서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의견을 들어야 점용료/사용료가 면제됩니다. 남양주시는 이러한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았기 때문에 점용료/사용료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핵심 정리

공공시설을 설치할 때는 목적이 아무리 좋더라도 토지 취득을 위한 적법한 절차를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없고, 오히려 분쟁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는 공공사업에서도 절차적 정당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65조 제1항, 제3항, 제4항, 제99조
  • 대법원 2012. 3. 15. 선고 2011다103069 판결
  • 대법원 2014. 7. 10. 선고 2012두23358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도시계획시설 부지에 편입된 토지, 과연 누구 땅일까?

도시계획시설사업으로 공공시설을 설치할 때, 사업시행자가 해당 토지를 적법하게 취득하지 않았다면, 설치된 공공시설이 국가나 지자체에 무상으로 귀속되지 않는다.

#도시계획시설#무상귀속#적법취득#공공시설

민사판례

내 땅에 공공시설이 설치되어 있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

지방자치단체가 사유지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사용한 경우, 토지 소유주에게 사용 이익에 대한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토지 점유 여부와 관계없이 토지 사용으로 이익을 얻었다면 부당이득 반환 의무가 발생합니다.

#지자체#무단 토지 사용#부당이득 반환#토지 점유

민사판례

공공시설 토지, 무상 귀속은 아무 때나 되는 게 아니에요!

국가나 지자체가 토지를 적법하게 취득하지 않고 공공시설을 설치한 경우, 해당 시설이 설치된 토지는 택지개발사업 시행자에게 무상으로 귀속되지 않는다.

#공공시설#토지 무단점유#무상귀속#택지개발사업

일반행정판례

재개발사업과 공공시설 점용료 면제

재개발사업 시행자가 새 도로 부지를 제공하면 기존 도로 점용료가 면제되며, 설령 점용료 납부 각서를 썼더라도 면제는 유효하다.

#재개발#도로점용료#면제#새 도로 부지 제공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는 구획정리, 내 땅은 안전할까? - 공공시설 설치와 토지 소유권에 대한 이야기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측량 실수로 공공시설이 남의 땅을 침범했을 경우, 그 땅은 국가나 지자체에 자동으로 귀속되지 않는다.

#토지구획정리사업#측량오류#토지귀속#환지

일반행정판례

공공사업 위한 토지수용, 알아두면 쓸모있는 상식!

국가나 지자체 등이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수용하기 전에 허락 없이 먼저 사용했더라도 수용 자체는 유효하며, 보상액이 적더라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평가되었다면 수용 자체는 무효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수용#무단점용#보상액#적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