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5.13

민사판례

공사대금 못 받은 건설업자, 유치권 행사로 건물 지킬 수 있을까?

건설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라면 공사대금을 제때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어보셨을 겁니다. 이런 경우,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유치권입니다. 오늘은 복잡한 유치권 분쟁 사례를 통해 유치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건설업체는 B와 계약을 맺고 C 소유의 건물에 사우나 시설 공사(제1공사)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B로부터 공사대금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후 D가 해당 건물을 낙찰받아 소유권을 취득했고, D는 E 등과 교환계약을 체결하여 건물을 양도하기로 했습니다. 이때 A는 E 등으로부터 건물 리모델링 공사(제2공사)를 맡아 진행했습니다. A는 제1공사와 제2공사의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자, 건물에 대해 유치권을 행사했습니다. 그런데 이 건물에는 이미 F 은행의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과연 A는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쟁점

  • 제1공사 대금 관련 유치권 포기 후에도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 근저당권 설정 이후에 진행된 제2공사에 대해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요?
  • 제2공사로 인해 건물 가치가 상승했을 경우, 유치권 행사가 담보권자의 이익을 해치는 것일까요?

법원의 판단

  1. 유치권 포기의 효력 (민법 제320조): A는 제1공사 대금 관련 유치권을 F 은행에 포기한다는 각서를 제출했습니다. 법원은 유치권 포기는 유효하며, 일단 포기한 유치권은 다시 주장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80. 7. 22. 선고 80다1174 판결)

  2. 근저당권 설정 후 유치권 취득 (민사집행법 제91조 제5항, 제83조 제4항, 제92조 제1항): 경매로 인한 압류 효력 발생 에 취득한 유치권은 경매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습니다. A는 제2공사 관련 유치권을 경매 개시 에 취득했으므로,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05. 8. 19. 선고 2005다22688 판결, 대법원 2009. 1. 15. 선고 2008다70763 판결)

  3. 유치권 행사와 담보권자의 이익: 제2공사로 건물 가치가 상승했다면, 유치권 행사가 담보권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것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결론

A는 제1공사 대금 관련 유치권은 포기했으므로 주장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제2공사 대금 관련 유치권은 경매 개시 전에 취득했고, 제2공사로 건물 가치가 상승했으므로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매 매수인은 A에게 제2공사 대금을 변제해야 합니다.

핵심 정리

  • 유치권은 포기하면 다시 주장할 수 없습니다.
  • 압류 효력 발생 전에 취득한 유치권은 경매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습니다.
  • 유치권 행사로 목적물의 가치가 상승했다면, 담보권자의 이익을 해치는 것이 아닙니다.

이처럼 유치권 행사는 복잡한 법적 판단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공사대금 못 받은 건설사, 유치권 주장하다 패소한 이유

건설사가 공사대금을 받지 못해 건물에 유치권을 행사하고 있었지만, 경매로 건물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고 그 사람이 건설사를 건물에서 내쫓은 경우, 건설사는 바로 유치권을 주장할 수 없고, 점유를 되찾아야만 유치권을 다시 주장할 수 있다는 판결.

#건설사#공사대금#유치권#경매

상담사례

내 건물 공사했는데 돈 못 받았어요! 유치권 행사, 가능할까요? 🛠️

9억 공사대금 중 1억만 받고 건물주가 건물을 매각했지만, 잠금장치 교체 및 경비 배치 등으로 건물을 사실상 지배(점유)하고 있었기에 새 건물주에게 유치권 행사를 통해 건물 인도 거절 가능성이 높다.

#유치권#공사대금#점유#건물인도거절

상담사례

찜질방 공사대금, 건물이 경매에 넘어갔는데 유치권 주장할 수 있을까요?

찜질방 공사대금 미지급으로 건물이 경매에 넘어가도 압류 효력 발생 전에 유치권을 취득했다면 경매 낙찰자에게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다.

#찜질방#공사대금#유치권#경매

상담사례

10년 넘은 공사대금, 건물 새 주인에게도 받을 수 있을까? 유치권과 시효 이야기

유치권이 설정된 건물의 새 주인은 기존 유치권자의 채권 변제 책임과 연장된 시효를 인정해야 한다.

#유치권#시효#건물 낙찰#채권 변제 책임

상담사례

건물 지었는데 돈 못 받았어요! 경매로 넘어가면 어떡하죠? 🧱💸

건물 공사 후 대금을 못 받은 경우, 건물에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경매 시에도 유치권은 유효하지만 낙찰자가 직접 변제할 의무는 없고, 유치권자는 건물 인도를 거부하며 변제를 요구할 수 있다.

#건설#공사대금#미지급#경매

민사판례

유치권 포기 약정, 나랑 상관없다고? 천만에!

건물 신축 공사에서 시공사가 공사대금을 못 받더라도 유치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약속한 경우, 그 약속은 유효하고 시공사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효력이 있다.

#유치권#배제특약#효력#공사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