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4.14

형사판례

공판조서의 오기와 증명력 - 수표 사건으로 보는 법원의 판단

오늘은 공판조서의 기재 내용이 잘못되었을 때, 법원이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부정수표 사건과 관련된 판례(대법원 1994.12.27. 선고 94도2864 판결)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여러 장의 부정수표를 발행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일부 수표는 회수되었고, 일부는 검사가 공소를 취소한 것으로 기록되었습니다. 그런데 원심(항소심)은 공판조서 기록을 바탕으로 검사가 공소를 취소한 수표까지 유죄로 판단했습니다. 이에 검사가 상고를 제기했습니다.

쟁점: 공판조서의 오기와 증명력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공판조서의 기재 내용이 잘못되었을 때, 그 증명력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였습니다. 형사소송법 제56조는 "공판기일의 소송절차로서 공판조서에 기재된 것은 그 조서만으로써 증명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공판조서의 내용은 다른 증거로 반박할 수 없다는 강력한 증명력을 가집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형사소송법 제56조를 인용하면서도, 공판조서의 기재가 소송기록상 명백한 오기인 경우에는 공판조서는 올바른 내용에 따라 증명력을 가진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1988.8.9. 선고 88도1018 판결, 1990.2.27. 선고 89도2304 판결, 1993.11.26. 선고 93도2505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는 공판조서에 검사가 여러 장의 수표에 대한 공소를 취소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일부 수표에 대해서만 공소를 취소한 것이었습니다. 대법원은 다른 기록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공판조서의 기재가 명백한 오기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공판조서의 잘못된 기재 내용이 아니라, 실제로 공소 취소가 이루어진 수표에 대해서만 공소기각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결국, 원심 판결 중 일부를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공판조서가 매우 강력한 증명력을 가지지만, 명백한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오류를 바로잡고 실제 사실관계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법원은 단순히 조서의 기재 내용에 얽매이지 않고, 다른 증거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부정수표와 합의, 함정에 빠진 판사?

법원은 부정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수표 소지인과 합의했다는 증거만으로 수표 소지인의 처벌불원 의사를 인정해서는 안 되며, 실제 수표 소지인이 누구인지, 합의 내용이 진실인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부정수표#소지인 확인#합의#처벌불원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제대로 써야 유죄 입증 가능!

검사가 피고인을 기소할 때,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 구체적으로 적어야 피고인이 제대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변조된 간이세금계산서 여러 장에 대한 공소사실 중 일부는 구체적으로 적혀있어서 유효하지만, 나머지는 너무 막연하게 적혀있어서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공소사실 특정#간이세금계산서 변조#공소 기각#파기환송

형사판례

사문서 변조? 죄를 묻기 전에 제대로 된 공소부터!

사문서변조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검사가 공소장에 범행의 시간, 장소, 방법 등 핵심적인 내용을 명확히 기재하지 않아 공소가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을 위해 공소사실의 특정은 필수적임을 강조.

#공소사실 특정#사문서변조#공소기각#방어권

형사판례

재판 기록, 꼼꼼해야 하지만... 100% 완벽해야만 할까요?

재판 과정에서 변호사가 피고인에게 질문한 내용이 적힌 별지가 재판 기록에 첨부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기록들을 통해 질문과 답변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문제가 없었다면, 재판 기록 자체는 유효하다.

#공판조서#변호인신문사항#별지#첨부

형사판례

재판 과정 기록의 중요성: 공판조서가 말하는 진실

재판 과정에서 피고인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었는지 등 법정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법정 기록인 공판조서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다른 증거로 이를 뒤집을 수 없다.

#공판조서#법정 기록#피고인 권리#증거

형사판례

수표 사본, 증거로 쓸 수 있을까?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사건에서의 증거능력

부정수표 사건에서 수표 원본 대신 사본을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 요건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피고인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증거능력을 부정해서는 안 되며, 원본 제출이 곤란한 사정과 사본의 진정성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부정수표#사본#증거능력#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