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02.13

민사판례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 소멸시효 중단은 언제까지?

교통사고 피해자가 가해자 측 보험사에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소멸시효 때문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산재보험 처리와 민사소송이 겹치면 더욱 복잡해지는데요, 오늘은 관련 대법원 판례를 통해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 범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교통사고 피해자 A씨는 사고 이후 가해차량 보험사 B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소송 도중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재 장해급여를 받게 되면서 소송을 취하했습니다. 이후 공단은 A씨에게 지급한 장해급여를 돌려받기 위해(구상권 행사) B사를 상대로 다시 소송을 걸었는데요, B사는 "소멸시효가 지났다"며 맞섰습니다.

쟁점

  • A씨가 처음 소송을 제기한 것이 소멸시효 중단 사유가 되는지, 된다면 그 효력은 어디까지 미치는지
  • A씨가 소송을 취하했는데도 소멸시효 중단 효력이 유지되는지
  • 공단이 A씨의 권리를 승계받아 소송을 제기했을 때, A씨의 소 제기에 따른 소멸시효 중단 효력을 주장할 수 있는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A씨가 처음 소송을 제기한 시점에 소멸시효가 중단되었고, 그 효력은 공단에게도 미친다고 판결했습니다.

  1. 소멸시효 중단의 범위: A씨가 소장에서 청구 금액을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청구 내용에 요양종결 후 일실수입(사고로 인해 일하지 못해서 발생한 손해)이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손해배상청구권 전체에 대해 소멸시효 중단 효력이 발생합니다. (민법 제168조, 대법원 1992. 4. 10. 선고 91다43695 판결 참조)

  2. 소 취하와 소멸시효 중단: A씨가 소송을 취하했지만, 공단이 6개월 안에 다시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에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은 유지됩니다. (민법 제170조)

  3. 승계인의 범위: 공단은 A씨에게 장해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87조 제1항)에 따라 A씨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 취득했습니다. 대법원은 이 경우 공단이 A씨의 "승계인"에 해당하며, 따라서 A씨의 소 제기에 따른 소멸시효 중단 효력을 주장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민법 제169조, 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7737 판결, 대법원 1997. 4. 25. 선고 96다46484 판결 참조)

결론

이 판례는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에서 소멸시효 중단 효력의 범위와 승계인의 지위를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소송을 취하하더라도 6개월 이내에 다시 소송을 제기하면 소멸시효 중단 효력이 유지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공단과 같은 기관도 승계인으로서 이러한 효력을 주장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산재보험 구상금 청구, 언제까지 가능할까? 소멸시효 기산점에 대한 이야기

근로자가 산재보험 혜택을 받은 후, 공단이 가해자에게 구상금을 청구할 권리(구상권)의 소멸시효는 근로자가 가해자에게 직접 청구할 수 있는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와 동일하게 계산된다.

#산재보험#구상금#소멸시효#손해배상청구권

민사판례

교통사고 보험금 청구, 언제까지 해야 할까? 소멸시효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사고로 인한 보험금 청구는 사고 발생일로부터 2년 안에 해야 하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고 사실을 몰랐다는 이유로 기간을 연장할 수 없다.

#자동차사고#보험금 청구#소멸시효#2년

상담사례

교통사고 후유증, 보험사가 치료비 줬는데… 소멸시효 끝났을까요? 😨

교통사고 후 3년간 보험사가 치료비를 지급했으므로, 묵시적 승인으로 소멸시효가 중단되어 최종 치료비 지급일로부터 3년 이내에 장해보상 청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교통사고#후유증#소멸시효#치료비 지급

민사판례

자동차보험과 손해배상 소멸시효 중단

자동차 사고 발생 후 보험회사가 피해자에게 치료비를 지급하고 합의를 시도한 경우, 이는 보험가입자의 손해배상 채무를 승인한 것으로 간주되어 소멸시효 중단의 효과가 발생합니다.

#치료비 지급#합의 시도#채무 승인#소멸시효 중단

민사판례

사고 후유증,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해야 할까? - 소멸시효에 대한 이야기

불법행위로 다쳤을 때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다친 사실과 누구 때문에 다쳤는지 알게 된 날로부터 3년! 단, 예상치 못한 후유증이 나중에 발생한 경우는 그 후유증을 알게 된 날부터 3년!

#불법행위#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시효와 보험사 치료비 지급의 의미

교통사고 가해자의 보험사가 피해자의 치료비를 직접 병원에 지급한 경우, 이는 치료비만 인정한 것이 아니라, 사고로 인한 모든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한 것으로 봐야 한다. 따라서 치료비 지급으로 소멸시효가 중단되어, 피해자는 치료비 외 다른 손해(예: 일실수입, 위자료)에 대해서도 나중에 청구할 수 있다.

#교통사고#치료비 지급#손해배상#채무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