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11.27

민사판례

내 돈은 어디로? 복잡한 부동산 담보대출과 물상대위 이야기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경우, 여러 사람이 얽히고설키면서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공동저당'과 '물상대위'라는 개념이 등장하면 머리가 복잡해지죠. 오늘은 실제 판례를 바탕으로 이 개념들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이야기 하나: 정상적인 물상보증과 물상대위

철수는 영희에게 돈을 빌려주면서 영희의 친구인 민수의 땅을 담보로 잡았습니다 (공동저당). 그런데 민수의 땅에는 이미 다른 채권자 동수의 근저당(후순위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만약 민수의 땅이 경매로 넘어가 철수가 돈을 먼저 회수하면, 민수는 영희에게 돈을 대신 갚아준 셈이 되므로 영희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구상권)가 생깁니다. 동시에 영희 소유의 다른 재산에 대한 철수의 근저당권을 민수가 가져오는 효과(변제자대위, 민법 제481조, 제482조)가 발생합니다. 이때 후순위저당권자 동수는 민수가 가져온 영희 재산에 대한 근저당권을 자신의 권리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물상대위, 민법 제368조 제2항, 제370조). 즉, 동수는 민수의 땅 대신 영희의 땅에 대한 권리를 갖게 되는 것이죠.

이야기 둘: 실질적 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이 뒤바뀐 경우

이번에는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빌려주면서 영희의 땅과 민수의 땅을 담보로 잡았습니다(공동저당). 서류상으로는 영희가 돈을 빌린 것처럼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민수가 돈을 빌리고 영희가 보증을 서 준 것입니다. 이 경우, 민수의 땅이 먼저 경매로 넘어가 철수가 돈을 회수하더라도, 영희는 민수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구상권)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애초에 돈을 빌린 사람은 민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희는 철수의 영희 땅에 대한 근저당권을 가져올 수 없고(변제자대위 불가), 민수 땅에 후순위저당권을 가진 동수 또한 물상대위를 할 수 없습니다. 대위할 대상 자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민법 제341조, 제342조, 제368조 제2항, 제370조, 제481조, 제482조).

핵심 정리

  • 물상보증인이 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변제자대위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후순위저당권자의 물상대위도 가능해집니다.
  • 서류상 채무자와 실질적 채무자가 다른 경우, 실질적인 관계를 따져 구상권 발생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관련 판례:

  • 대법원 1994. 5. 10. 선고 93다25417 판결
  • 대법원 2009. 5. 28.자 2008마109 결정
  • 대법원 2014. 4. 30. 선고 2013다80429, 80436 판결

부동산 담보대출은 복잡한 법률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위 내용은 일반적인 설명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법률적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땅은 왜 먼저 경매에 넘어갔나요? 공동담보, 후순위 저당권자의 눈물 😭

공동담보로 제공한 땅이 먼저 경매에 넘어가 손해를 본 후순위 저당권자는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여 다른 담보물에 대한 1순위 저당권을 취득해 손해를 만회할 수 있다.

#공동담보#경매#후순위저당권#물상대위권

민사판례

내 보증인 집까지 압류당할 수 있나요? - 공동저당과 후순위저당권자의 대위

빚 보증으로 여러 부동산에 저당이 설정된 경우, 채무자 소유 부동산이 먼저 팔려 선순위 저당권자가 돈을 다 받았다면, 후순위 저당권자는 보증인 소유 부동산에 대해 선순위 저당권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할 수 없다.

#공동저당#후순위저당권자#대위권#보증인

민사판례

공동담보, 물상보증인, 그리고 후순위저당권자의 복잡한 관계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과 그 보증인(물상보증인)의 재산에 모두 저당권을 설정한 경우, 보증인의 재산이 먼저 경매되어 채무가 일부 변제되면, 보증인은 채무자에게 돈을 대신 갚아준 만큼(구상권) 채무자의 재산에 대한 저당권을 가져오게 되고, 보증인 재산의 후순위저당권자는 보증인이 가져온 저당권에서 먼저 돈을 받아갈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공동저당#물상보증인#변제자대위#후순위저당권자

민사판례

물상보증인의 부동산, 내 권리를 지킬 수 있을까? - 공동저당과 대위행사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부동산과 보증인(물상보증인)의 부동산 모두에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채무자 부동산이 먼저 경매로 팔려 1순위 저당권자가 돈을 다 받았다면, 채무자 부동산의 2순위 저당권자는 1순위 저당권자의 권리를 이용하여 보증인의 부동산에 대해 자신의 저당권을 행사할 수 없다. 이는 2순위 저당권 설정 후 보증인의 부동산이 추가로 저당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물상보증인#후순위저당권#대위권불인정#저당권

민사판례

저당권 사라지면 압류도 취소! 물상대위의 함정?!

저당권을 근거로 돈을 받으려고 채무자의 다른 채권을 압류했는데, 나중에 저당권의 기반이 된 빚 자체가 없다는 판결이 나오면, 그 압류는 취소해야 한다.

#저당권#채권압류#취소#물상대위

민사판례

공동저당, 후순위저당권, 그리고 변제자 대위 - 복잡한 권리관계, 쉽게 풀어보기

여러 부동산을 담보로 잡은 공동저당에서, 일부 부동산에 후순위저당권이나 전세권이 설정된 경우, 후순위 권리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물상보증인의 변제자대위 범위를 제한한다는 내용입니다.

#공동저당#후순위저당권#전세권#변제자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