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03.22

형사판례

뇌물죄, 직무 관련성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은행 직원이 대출과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뇌물죄 유죄를 확정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뇌물죄의 핵심인 '직무 관련성'의 범위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쟁점:

피고인들은 은행 직원으로서 대출 업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들은 새로운 대출이 실행되지 않았거나, 대출 담당자가 아니었다는 점을 들어 금품 수수와 직무 사이의 관련성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인들의 상고를 기각하고 뇌물죄 유죄를 확정했습니다. 핵심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뇌물죄의 보호법익: 뇌물죄는 직무집행의 공정성과 직무행위의 불가매수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뇌물을 받을 당시 실제로 의무를 위반했는지, 청탁이 있었는지, 뇌물 수수 시점이 언제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직무의 범위: 과거에 담당했거나 장래에 담당할 직무, 심지어 현재 사무분장상 담당하지 않는 직무라도 뇌물죄에서의 '직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형법 제129조 제1항, 대법원 1984.9.25. 선고 84도1568 판결 등 참조)
  •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직무에 관하여': 금융기관 임직원의 '직무에 관하여'란 그 지위에서 취급하는 모든 사무를 의미합니다. 권한에 속하는 직무행위뿐 아니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우, 사실상 처리하는 행위까지 포함됩니다. 직무가 독립적인 권한에 의한 것이든, 상사의 직무를 보조하는 것이든 상관없습니다.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대법원 1989.7.25. 선고 89도890 판결 참조)

결론:

이 판결은 뇌물죄의 '직무 관련성'을 매우 넓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현재 담당 업무가 아니더라도, 과거 또는 미래에 담당할 직무, 그리고 현재 직무와 밀접하게 관련된 모든 행위가 뇌물죄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새로운 대출이 실행되지 않았거나 대출 담당자가 아니었다는 피고인들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금융기관 임직원의 뇌물수수, 직무관련성 인정 범위는?

금융기관 임직원이 받은 돈이 직무와 관련이 있는지, 직무 관련성이 애매한 경우에도 뇌물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관련 사건 일부가 무죄일 때 유죄 부분의 판결도 다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금융기관#임직원#뇌물수수#직무관련성

형사판례

은행 임직원의 뇌물수수, 어디까지 처벌될까?

은행장이 기업 대표들로부터 여러 차례 돈을 받은 사건에서, 각각의 돈 수수 행위가 별개의 범죄로 인정되어 경합범으로 처벌됨. 은행 업무와 관련하여 고객에게 돈을 받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뇌물로 간주됨.

#은행장#뇌물수수#경합범#직무관련성

형사판례

은행 임직원의 금품 수수, 어디까지 처벌될까? 직무 관련성과 개인적인 금전 거래

금융기관 임직원이 직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하거나 횡령·배임 행위를 한 사건에서 직무 관련성의 범위, 횡령죄의 성립 요건, 불법영득의사의 판단 기준 등을 다룬 판례입니다.

#금융지주회사#은행#임직원#직무관련성

형사판례

뇌물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직무관련성, 정치자금, 직무 범위 완벽 정리!

대통령 및 공무원이 기업인들로부터 받은 돈은 명목이나 실제 특혜 제공 여부와 관계없이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뇌물로 판단됨. 공무원의 직무 범위는 법령상 직무뿐 아니라 사실상 처리하는 행위, 결정권자 보좌/영향 행위까지 포함됨.

#대통령#공무원#뇌물수수#직무관련성

형사판례

뇌물죄에서 '직무'의 범위, 생각보다 넓습니다!

공무원이 직접 담당하지 않는 업무라도, 그 직위에 따라 담당할 수 있는 모든 직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하면 뇌물죄가 성립한다. 금품 수수 시점이나 실제 청탁 이행 여부는 뇌물죄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공무원#뇌물죄#직무 관련성#직무 범위 확대

형사판례

공무원의 알선뇌물수수, 직무 관련성 판단은 어떻게?

이 판례는 알선뇌물수수죄가 성립하기 위해 알선 대상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어야 하는지, 뇌물 수수 당시 해결해야 할 현안이 존재해야 하는지, 그리고 직무 관련성과 직무 외 행위에 대한 사례가 혼재된 경우 뇌물죄 성립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알선뇌물수수죄#직무관련성#뇌물#신용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