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1.16

민사판례

돈 빌려준 사람과 다른 사람 이름으로 근저당 설정해도 괜찮을까?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경우, 보통 돈을 빌려준 사람이 근저당권자가 됩니다. 그런데 만약 돈을 빌려준 사람과 다른 제3자의 이름으로 근저당권을 설정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에게 돈을 빌려주고, B 소유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A 회사의 편의를 위해 A 회사 직원 C의 이름으로 근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A, B, C는 B가 A나 C 누구에게든 돈을 갚으면 채무가 소멸하고, C는 회사를 그만두면 A에게 근저당권을 이전하기로 약정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C 명의의 근저당권 설정등기를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돈을 빌려주는 채권자와 근저당권자는 동일해야 합니다. 하지만 채권자 아닌 제3자를 근저당권자로 하는 경우에도, 채권자, 채무자, 제3자 사이에 합의가 있고, 제3자가 채권을 실질적으로 소유하거나, 제3자가 채무자로부터 유효하게 변제받을 수 있는 등 채권자와 제3자가 불가분적 채권자 관계에 있다면, 제3자 명의의 근저당권 설정등기도 유효하다고 봤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A, B, C 사이에 C 명의로 근저당권을 설정하기로 합의가 있었고, C도 B로부터 유효하게 돈을 받을 수 있는 관계였습니다. 즉, A와 C는 불가분적 채권자 관계에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C 명의의 근저당권 설정등기는 유효하고, 부동산 실권리자 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에서 금지하는 명의신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103조 (명의신탁)
  • 민법 제186조 (물권의 공시방법)
  • 민법 제361조 (저당권의 내용)
  • 민법 제369조 (저당권의 효력)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제3조 (명의신탁 금지)
  • 대법원 2000. 12. 12. 선고 2000다49879 판결
  • 대법원 2008. 5. 15. 선고 2007다23807 판결
  • 대법원 2011. 1. 13. 선고 2010다69940 판결

결론

이 판례는 채권자와 다른 사람 이름으로 근저당권을 설정하더라도 당사자 간 합의와 특정 조건 하에서는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다만, 복잡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땅에 다른 사람 이름으로 근저당 설정?! 이것도 가능해?

빌린 돈에 대한 담보로 제3자 명의로 근저당을 설정할 수 있을까요? 특정 조건을 만족한다면 유효합니다.

#제3자#근저당#설정#효력

민사판례

내 돈 빌려준 건 맞는데, 왜 다른 사람 이름으로 근저당 잡았지? 제3자 명의 근저당권의 효력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자기 이름이 아닌 다른 사람(제3자) 이름으로 빌려준 돈을 담보하기 위해 근저당권을 설정한 경우, 그 근저당권은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유효하다.

#제3자 명의 근저당#근저당권 효력#채권자#담보

상담사례

내 빚 담보로 엉뚱한 사람 이름으로 근저당 설정?! 이거 유효할까요?

채권자 아닌 제3자 명의의 근저당 설정은 채권 양도 등 특별한 사정으로 실제 채권이 제3자에게 넘어간 경우에만 유효하며, 단순히 명의만 빌린 경우는 무효일 가능성이 높다.

#근저당#제3자#채권#효력

민사판례

내 돈 빌려준 사람은 따로 있는데, 왜 다른 사람 앞으로 근저당을 설정했을까? - 숨겨진 채권자 이야기

돈을 빌려준 사람(실질적 채권자)과 다른 사람(명의상 채권자) 사이에 묵시적인 약정이 있었다면, 돈을 빌린 사람은 돈을 빌려준 사람이나 명의상 채권자 누구에게든 돈을 갚을 수 있고, 명의상 채권자 앞으로 설정된 근저당권도 유효합니다.

#근저당#명의차이#실질채권자#묵시적 약정

민사판례

남의 이름으로 근저당 설정하면 어떻게 될까?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아닌 제3자 이름으로 근저당을 설정한 경우, 그 근저당은 원칙적으로 무효입니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유효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제3자 명의로 근저당이 설정된 후 채권자 앞으로 이전되었지만, 그 사이에 다른 권리(가등기)가 설정되어 실제 채권자가 얻게 되는 권리 순위가 달라졌기 때문에 근저당 설정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제3자 명의 근저당#무효#실체관계 부합#가등기

상담사례

내 돈 빌려줬는데, 담보가 다른 사람 이름으로? 🤔 제3자 명의 저당권, 괜찮을까요?

타인 명의 저당권 설정은 채권자, 채무자, 제3자 간 합의와 제3자에 대한 채권 양도 등 실질적인 채권 귀속이 있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제3자 명의 저당권#효력#담보물권 부수성#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