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7.27

형사판례

돈 빌릴 때 거짓말하면 사기죄! 담보 있어도 소용없어요!

돈을 빌리는 과정에서 거짓말을 하면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단순히 갚을 능력이 없는데 빌리는 것뿐 아니라, 위조된 어음이나 수표를 담보로 제공하는 것처럼 속이는 행위도 사기죄에 해당합니다. 심지어 다른 담보를 제공했더라도 말이죠!

이번에 대법원에서 이와 관련된 중요한 판결이 나왔습니다. 피고인이 위조한 어음과 수표를 진짜처럼 속여서 피해자들에게 담보로 제공하고 돈을 빌린 사건인데요, 대법원은 피고인이 거짓말로 돈을 빌렸기 때문에 사기죄가 성립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다른 담보를 제공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했죠. 돈을 빌릴 때 속임수를 썼다면, 다른 담보가 있다고 해서 사기죄를 피해 갈 수는 없다는 겁니다.

또한, 어음 할인과 관련된 사기죄에 대한 판단도 있었습니다. 만약 어음이 지급 기일에 제대로 결제되지 않을 것을 예견했거나, 확신이 없었음에도 이러한 사실을 숨기고 어음을 할인받았다면 이 역시 사기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거짓말로 돈 빌리면 사기죄! 위조된 어음이나 수표를 담보로 제공하는 것도 포함!
  • 다른 담보 있어도 소용없음! 속임수를 썼다면 다른 담보가 있다고 해서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 것은 아님.
  • 어음 할인 사기도 주의! 결제 불확실성을 숨기고 어음 할인받으면 사기죄!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47조 (사기)
  • 대법원 1983.4.26. 선고 82도3088 판결 (돈을 빌릴 때 위조된 어음이나 수표를 담보로 제공하는 경우 사기죄 성립)
  • 대법원 1985.3.12. 선고 84도1461 판결 (어음 결제 불확실성을 숨기고 할인받는 경우 사기죄 성립)

이번 판결을 통해 돈을 빌리거나 어음을 할인받을 때 정직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사소한 거짓말이라도 큰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돈 빌릴 때 거짓말하면 사기죄? 빌린 돈 안 갚으면 사기죄? 보증인 세웠는데도 사기죄?

돈을 빌릴 때 갚을 능력이나 돈의 사용처에 대해 거짓말을 해서 돈을 받았다면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설령 돈을 갚을 능력이 있는 보증인이 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출사기#거짓말#변제능력#보증인

형사판례

돈 빌릴 때 속이면 안 돼요! 사기죄와 업무상 배임죄 이야기

갚을 능력이 없는데도 숨기고 돈을 빌리면 사기죄가 되고, 은행 직원과 공모하여 부당하게 대출을 받으면 업무상 배임죄의 공범이 됩니다.

#대출사기#사기죄#업무상배임#공범

형사판례

돈 빌릴 때 용도 속이면 사기죄?

돈을 빌리는 목적을 속여 돈을 빌렸다면, 진짜 목적을 알았더라면 돈을 빌려주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될 경우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

#사기죄#차용사기#거짓 목적#대법원

형사판례

돈 빌려준 게 사기일까? 빌린 돈과 다른 빚을 퉁칠 수 있을까?

돈을 빌릴 당시 갚을 능력이 없더라도, 다른 채권이 있어서 상계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사기죄#변제능력#채권상계#주점대금

형사판례

사기죄, 돈 돌려주면 없던 일?

돈을 속여서 받은 뒤에 돌려줬다고 해도 사기죄는 그대로 성립한다.

#사기죄#성립#사후변제#효력

형사판례

돈 빌릴 때 용도 속이면 사기죄?

돈을 빌릴 때 진짜 용도를 숨기고 거짓 용도를 말해서 돈을 빌렸다면 사기죄가 될 수 있다. 빌려준 사람이 진짜 용도를 알았다면 돈을 빌려주지 않았을 거라는 점이 중요하다.

#돈빌림#용도거짓말#사기죄#기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