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12.26

민사판례

땅 주인이 나가라고 했을 때, 내가 지은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세입자로서 땅을 빌려 건물을 지었는데, 땅 주인이 갑자기 나가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막막하고 당황스러운 상황에 놓일 수 있습니다. 다행히 법은 세입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해 두고 있습니다. 바로 지상물매수청구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상물매수청구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관련된 법 조항과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지상물매수청구권이란 무엇인가요?

건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땅을 빌린 세입자가 땅 주인으로부터 계약 해지 통고를 받았을 때, 세입자는 땅 주인에게 자신이 지은 건물을 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 권리는 기간을 정하지 않고 땅을 빌린 경우에 인정됩니다.

땅 주인이 나가라고 했는데, 건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고 재판에서 졌어요. 이제 건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나요?

아닙니다! 땅 주인이 땅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걸어서 세입자가 패소했더라도, 건물이 실제로 철거되기 전까지는 별도의 소송을 통해 건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즉, 이전 소송에서 건물매수청구권을 주장하지 않았더라도, 나중에 다시 건물 매매 대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대법원 판례(대법원 1995. 7. 11. 선고 94다34265 전원합의체 판결)에서도 명확히 확인된 내용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283조 (지상물매수청구권) 건물 기타 공작물의 소유 또는 식목, 채염, 목축을 목적으로 한 토지임대차의 기간이 약정 없이 체결된 경우에 토지임대인이 계약의 해지를 통고한 때에는 임차인은 상당한 가치가 있는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식목에 대하여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 민법 제643조 (임대차의 종료) 임대차는 기간의 만료로 인하여 종료한다.
  • 민사소송법 제202조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 전소의 소송물과 후소의 소송물이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기판력이 후소에 미친다.
  • 대법원 1995. 7. 11. 선고 94다34265 전원합의체 판결: 기간의 정함이 없는 토지 임대차에서 임대인의 해지 통고로 임대차가 종료된 경우, 임차인은 계약 갱신 청구 여부와 관계없이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토지 인도 및 건물 철거 소송에서 패소 확정 후에도 건물 철거 집행 전이라면 별소로 건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 대법원 1995. 2. 3. 선고 94다51178, 51185 판결: 지상물매수청구권은 임대인의 해지통고에 의해 임차권이 소멸한 경우에도 인정된다.
  • 대법원 1994. 9. 23. 선고 93다37267 판결: 토지 인도 및 건물 철거 소송 패소 확정 후에도 건물 철거 집행 전이라면 별소로 건물매수청구권 행사 가능.

결론

땅 주인의 해지 통고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통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과 판례를 잘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실적인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주인이 갑자기 나가라고 할 때, 건물은 어떻게 하지?

기간 정함이 없는 토지 임대차에서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임차인은 지상 건물 등을 매수할 것을 청구할 수 있고, 법원은 임대인에게 건물 매수 대금을 받고 건물을 넘겨줄 의사가 있는지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다.

#토지임대차#지상물매수청구권#석명의무#법원

상담사례

땅 주인이 계약 해지했는데, 제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지상물매수청구권)

남의 땅에 지은 건물이라도 토지 임대차 계약 해지 시, 건물주는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통해 땅 주인에게 건물 매수를 강제할 수 있다.

#지상물매수청구권#토지 임대차#계약 해지#건물 매수 청구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내가 지은 집 어떻게 되나요? - 지상물매수청구권

땅 주인이 A씨에서 B씨로 바뀌었지만, 임차권 소멸 후에도 건물 소유주는 새 땅 주인 B씨에게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하여 건물을 매도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지상물매수청구권#임차권 소멸#토지 소유권 이전#매수청구 대상

민사판례

건물 소유 목적 토지 임대차에서 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행사 상대방

건물 소유 목적으로 토지를 빌린 사람(임차인)은 임대차가 끝나면 토지 주인에게 건물을 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지상물매수청구권)가 있습니다. 그런데 토지 소유자가 바뀌거나, 실제 토지 주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임대를 줬다면 누구에게 이 권리를 행사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원칙적으로 임대차 계약 당시의 임대인**을 상대로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토지 소유자라고 무조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상물매수청구권#임대인#토지소유자#임차인

민사판례

건물 없는 땅 임대, 그 후 건물 지었으면 누구 건물? – 지상물매수청구권 이야기

건물을 짓기 위해 땅을 빌린 임차인이, 이전 임차인으로부터 등기되지 않은 무허가 건물을 사서 사용하고 있었다면, 건물 소유권이 없더라도 건물을 땅 주인에게 팔라고 요구할 수 있다.

#지상물매수청구권#무허가건물#미등기#임차인

민사판례

건물 지은 세입자, 땅 주인이 나가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기간을 정하지 않고 토지를 빌려 그 위에 건물을 지은 경우, 땅 주인이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세입자는 건물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약정없는 토지임대차#임대인 해지#임차인 건물매수청구권#건물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