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10.29

민사판례

땅이 수용됐을 때 보상금은 누구에게?

부동산 관련 분쟁에서 땅이 수용되는 경우, 보상금을 둘러싼 복잡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청구권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통해 누가 보상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원고는 자신에게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있다고 주장하며, 해당 토지가 수용되었으므로 수용보상금을 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즉, 원고는 땅 소유권을 이전받을 권리가 있었는데, 땅이 수용되었으니 보상금이라도 받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핵심적인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용보상금청구권의 귀속: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있다고 해서, 토지가 수용되었을 때 수용보상금청구권 자체가 자동으로 등기청구권자에게 넘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민법 제390조) 즉, 등기청구권과 수용보상금청구권은 별개의 권리입니다.

  2. 대상청구권: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진 사람은 토지가 수용된 경우, "대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대상청구권이란, 등기의무자(원래 땅 주인)에게 수용보상금을 반환하라고 요구하거나, 수용보상금청구권 자체를 양도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3. 확인청구의 이익: 두 사람 이상이 같은 채권을 자기 것 이라고 주장할 때, 한쪽이 다른 쪽을 상대로 "이 채권은 내 것이다!"라고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낼 수 있습니다. 이런 소송은 확인의 이익이 인정됩니다.(민사소송법 제228조) 그러나 이번 사건처럼, 등기청구권자가 수용보상금 자체를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확인소송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소송 자체가 허용될 수 없습니다.

핵심 정리

  • 땅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있다 하더라도, 그 땅이 수용됐다고 해서 자동으로 보상금을 받을 권리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 등기청구권자는 대상청구권을 통해 수용보상금을 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원래 땅 주인에게 보상금을 내놓으라고 요구하거나, 보상금 받을 권리 자체를 넘기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 등기청구권자가 수용보상금 자체를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확인소송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390조 (대상청구권)
  • 민사소송법 제228조 (확인의 소)
  • 대법원 1995. 8. 11. 선고 94다21559 판결
  • 대법원 1995. 12. 5. 선고 95다4209 판결
  • 대법원 1992. 5. 12. 선고 92다4581, 4598 판결
  • 대법원 1994. 12. 9. 선고 94다25025 판결
  • 대법원 1995. 7. 28. 선고 95다2074 판결
  • 대법원 1988. 9. 27. 선고 87다카2269 판결

이 판례는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청구권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 처한 분들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법적 권익을 보호받으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토지 수용 시 매매계약과 보상금 – 누구에게 돌아갈까요?

토지 매매 계약 후, 해당 토지가 수용되면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수용 보상금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이는 "대상청구권"이라는 법리에 따른 것이다.

#토지수용#매매계약#대상청구권#수용보상금

민사판례

내 땅 보상금, 네가 왜 받아?! - 이행불능과 대상청구권 이야기

땅의 실제 소유자와 등기부상 소유자가 다른 경우, 땅이 수용되면 등기부상 소유자가 받은 수용보상금 중 실제 소유자 몫은 돌려줘야 합니다. 이를 '대상청구권'이라고 합니다.

#수용보상금#대상청구권#등기부상 소유자#실제 소유자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 개인별로 받을 수 있을까? 그리고 보상금에 불만이 있다면?

국가가 토지를 수용할 때 보상은 토지 소유자 각 개인에게 이루어져야 하며, 보상금에 동의하지 않으면 소송을 통해 다툴 수 있습니다. 또한, 법원은 여러 감정평가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일부만 참고하여 보상금을 정할 수 있습니다.

#토지수용#보상#개인별보상#소송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제대로 알고 받자!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증감 청구 소송은 사업시행자도 함께 피고가 되어야 하며, 보상금은 수용 당시의 토지 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고, 최종 확정된 보상금과 기존 지급액의 차액에 대해서는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토지수용#보상금#증감청구소송#사업시행자

민사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누구에게 돌아갈까요?

20년 이상 점유하여 시효취득한 토지가 수용된 경우, 등기부상 소유자는 시효취득자를 상대로 보상금청구권이 자신에게 있다는 확인을 구할 이익이 없다.

#시효취득#수용#보상금청구권#확인소송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제대로 받으려면? 핵심 쟁점 정리!

토지수용 시 보상금에 불만이 있는 경우, 사업시행자도 소송에 참여해야 하며, 보상금 산정은 공인 감정기관의 평가를 기준으로 하되, 인근 유사 토지 가격은 참고만 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토지수용#보상금#증감청구#필요적 공동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