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2.25

형사판례

마약 투약 시기, 막연하게 적으면 안 돼요!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공소장에 투약 시기를 너무 넓게 적어 문제가 된 판례를 소개합니다. 피고인이 언제 마약을 했는지 제대로 알려주지 않으면 제대로 방어할 수 없겠죠?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마약류관리법 위반(향정)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검사는 피고인이 "2009년 2월 13일경부터 같은 해 4월 10일경까지 사이에 서울 내지 의정부시 일대에서 메스암페타민을 투약했다"고 기소했죠. 약 두 달 동안 언제, 어디서, 어떻게 투약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겁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공소사실 기재가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을 위반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조항은 "공소사실의 기재는 범죄의 시일, 장소와 방법을 명시하여 사실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피고인이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했는지 명확하게 적어야 한다는 뜻이죠.

대법원은 이 조항의 취지가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에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심판 대상을 명확히 해서 피고인이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거죠. 이 사건에서는 투약 시기가 두 달이나 되는 긴 기간으로 기재되어, 피고인이 구체적으로 어떤 혐의에 대해 방어해야 하는지 알기 어려웠습니다. 단기간 내에 여러 번 투약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시기를 특정해야 했죠. (대법원 2000. 10. 27. 선고 2000도3082 판결, 대법원 2005. 12. 9. 선고 2005도7465 판결 등 참조)

마약류 투약 혐의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범죄와 마찬가지로 공소사실을 특정해야 한다는 점은 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5도7422 판결 에서 확인된 바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죠.

결국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검사는 공소장을 다시 작성해서 마약 투약 시기, 장소, 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밝혀야 할 것입니다.

이 판례는 공소사실의 특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혐의 사실이 명확하게 기재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투약 시기, 정확히 밝혀야 합니다!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공소장에 투약 시기가 "2004년 9월경에서 10월경 사이"처럼 모호하게 적혀 있으면,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수 있으므로 무효라는 판결.

#공소장#마약투약#시기불명확#방어권침해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막연한 공소사실은 무죄?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공소장에 범행의 시간, 장소,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공소가 기각된 사례. 즉, 검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마약을 투약했는지 제대로 적시하지 않아 무죄가 된 사례입니다.

#공소기각#마약투약#공소사실특정#방어권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날짜와 시간을 정확히 밝혀야 하는 이유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검사가 제출한 공소장에 범행 시기와 장소 등이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아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했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이 파기되어 다시 재판하게 되었습니다.

#마약 투약#공소사실 불명확#무죄 취지 파기환송#방어권 침해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공소사실이 너무 모호하면 무죄?

피고인의 마약 투약 혐의에 대해, 검찰이 제시한 범죄의 시간, 장소, 방법이 너무 모호하여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이 파기환송되었습니다.

#마약#투약#공소사실불명확#파기환송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언제 어떻게 했는지 정확히 밝혀야!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될 때, 검사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투약했는지를 명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피고인이 제대로 방어할 수 없기 때문에 공소 자체가 무효가 됩니다.

#공소장#마약 투약#시기 특정#방어권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너무 막연하면 안 돼요!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검사가 제출한 공소장에 범죄의 시간, 장소, 방법 등이 명확하게 적시되지 않아 무죄 판결을 받은 사례.

#마약 투약#공소사실 불특정#무죄#방어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