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10.27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막연한 공소사실은 무죄?

오늘은 마약 투약 혐의에 대한 재판에서 공소사실이 얼마나 구체적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사건은 피고인이 메스암페타민을 투약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대법원은 공소사실이 너무 막연하여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1999년 5월 중순부터 11월 19일까지 부산 어딘가에서 메스암페타민 약 0.03g을 투약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검찰은 피고인이 주사기로 팔에 투약하거나 음료수에 타서 마셨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이 공소사실이 너무 막연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은 "공소사실의 기재는 범죄의 시일, 장소와 방법을 명시하여 사실을 특정할 수 있도록 기재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피고인에게 충분한 방어의 기회를 주기 위한 것입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 투약량: 0.03g은 1회 투약량으로는 일반적인 양이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는 특정 사건을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 투약방법: 주사기 사용이나 음료수에 타 마시는 것은 흔한 투약 방법이라 구체적인 범죄 사실을 특정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투약 일시 및 장소: 6개월이 넘는 기간과 '부산 어딘가'라는 장소는 너무 광범위합니다.

즉, 검찰이 제시한 공소사실은 마약 투약자들이 일반적으로 하는 행위를 막연하게 나열한 것에 불과하며, 피고인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마약을 투약했는지를 명확히 특정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막연한 공소사실로는 피고인이 자신의 혐의에 대해 제대로 방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이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공소사실의 특정성이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검찰은 피고인이 구체적으로 어떤 범죄를 저질렀는지 명확하게 제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공소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참조조문:

  •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

참조판례:

  • 대법원 1988. 11. 8. 선고 88도1580 판결
  • 대법원 1992. 9. 14. 선고 92도1532 판결
  • 대법원 1997. 7. 11. 선고 97도1097, 97감도34 판결
  •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도2609 판결
  • 대법원 1999. 11. 12. 선고 99도2934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막연한 공소사실은 무죄?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공소장에 범행의 시간, 장소,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공소가 기각된 사례. 즉, 검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마약을 투약했는지 제대로 적시하지 않아 무죄가 된 사례입니다.

#공소기각#마약투약#공소사실특정#방어권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너무 막연하면 무죄? 공소사실 특정의 중요성!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하려면, 단순히 모발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 어떻게 투약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마약 투약#공소사실 특정#모발 검사#시일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공소사실이 너무 모호하면 무죄?

피고인의 마약 투약 혐의에 대해, 검찰이 제시한 범죄의 시간, 장소, 방법이 너무 모호하여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이 파기환송되었습니다.

#마약#투약#공소사실불명확#파기환송

형사판례

마약 투약 시기, 막연하게 적으면 안 돼요!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공소장에 투약 시기가 "2009년 2월 13일경부터 같은 해 4월 10일경까지 사이"라고만 기재된 것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정도로 불명확하여 무효라는 판결.

#공소장#마약 투약#시기 불명확#무효

형사판례

마약 투약 시기, 정확히 밝혀야 합니다!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공소장에 투약 시기가 "2004년 9월경에서 10월경 사이"처럼 모호하게 적혀 있으면,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수 있으므로 무효라는 판결.

#공소장#마약투약#시기불명확#방어권침해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너무 막연하면 안 돼요!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검사가 제출한 공소장에 범죄의 시간, 장소, 방법 등이 명확하게 적시되지 않아 무죄 판결을 받은 사례.

#마약 투약#공소사실 불특정#무죄#방어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