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8.26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수사, 압수수색 영장 범위는 어디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약 투약 혐의 수사 과정에서 압수수색 영장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번 판례는 마약류 범죄의 특성과 수사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압수수색의 범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여러 차례 마약 투약 혐의로 수사를 받았습니다. 경찰은 제보를 바탕으로 두 차례에 걸쳐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피고인의 소변과 모발을 압수했습니다. 검사는 압수된 소변과 모발에서 필로폰 양성 반응이 나온 점을 근거로 피고인을 기소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압수수색 영장에 기재된 혐의사실과 실제 기소된 범죄 사실 사이의 관련성입니다. 원심은 압수수색 영장에 기재된 범행 시기와 실제 투약 시기가 다르다는 이유로 압수된 증거의 증거능력을 부정하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은 마약류 범죄의 특성상 반복적, 계속적으로 범행이 이루어지고 증거 수집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압수수색 영장은 혐의사실의 직접 증거뿐 아니라 간접 증거나 정황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므로, 압수된 소변과 모발은 혐의사실을 증명하는 간접 증거 또는 정황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근거로 압수수색의 객관적 관련성을 인정했습니다.

  • 압수수색 영장에 "피고인이 계속해서 필로폰을 투약하고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 기재되어 있었던 점
  • 마약류 투약 여부 확인을 위해 소변과 모발을 함께 압수한 점
  • 마약류 범죄의 중독성과 재범률이 높다는 점
  • 피고인에게 다수의 동종 범죄 전력이 있는 점

즉, 압수수색 영장에 기재된 특정 범행 시기와 실제 기소된 범행 시기가 다르더라도, 마약류 범죄의 특성과 수사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객관적 관련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사소송법 제215조 제1항: 검사는 범죄수사에 필요한 때에는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고 해당 사건과 관계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것에 한정하여 지방법원판사에게 청구하여 발부받은 영장에 의하여 압수, 수색 또는 검증을 할 수 있다.
  • 대법원 2017. 12. 5. 선고 2017도13458 판결
  • 대법원 2020. 2. 13. 선고 2019도14341, 2019전도130 판결
  • 대법원 2021. 7. 29. 선고 2021도3756 판결

이번 판례는 마약 범죄 수사에서 압수수색 영장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마약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사기관의 적극적인 증거 수집 필요성을 인정한 판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영장에 적힌 혐의와 다른 범죄, 증거로 쓸 수 있을까?

압수수색영장에 적힌 혐의와 직접 관련 없어 보이는 다른 범죄의 증거로 압수물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유사한 범죄라는 이유만으로는 안 되지만, 원래 혐의와 **객관적 관련성**이 인정되면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압수수색영장#객관적 관련성#다른 범죄 증거#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형사판례

소변검사 양성, 압수된 마약.. 이전 투약 혐의까지 입증할까요?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피고인의 소변검사 결과와 압수된 마약은 최근 투약행위는 입증할 수 있지만, 과거 투약행위까지 입증하는 보강증거로는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소변검사#압수마약#보강증거#자백보강법칙

형사판례

모발검사만으로 마약 투약 시기를 특정할 수 있을까? - 마약 투약 혐의, 증거가 부족하면 무죄!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할 때, 모발 검사 결과만으로 투약 시기와 장소를 막연하게 추정하는 것은 부당하며,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아 무효가 될 수 있다는 판결.

#마약#모발검사#공소기각#투약시기 특정

형사판례

모발 검사만으로 마약 투약 유죄? 함부로 판단하면 안 돼요!

모발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됐다고 해서, 그 자체만으로 마약 투약을 단정하고 유죄 판결을 내릴 수는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모발 검사는 투약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른 사람의 마약 접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증거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모발검사#마약투약#유죄판결#추가증거

형사판례

소변, 머리카락에서 마약 성분 나왔다고 무조건 유죄? 증거 채취 과정 중요해!

소변과 머리카락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되었다 하더라도, 증거물 채취 및 분석 과정의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유죄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

#마약#증거#신뢰성#채취

형사판례

압수수색 영장과 증거 사용의 한계

수사기관은 압수수색영장에 적힌 혐의와 관련 없는 증거를 압수할 수 없고, 설령 압수했더라도 다른 혐의를 입증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압수수색영장#적시된 혐의#증거#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