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5.10

세무판례

무주택자가 소유한 작은 땅, 토지초과이득세 내야 할까?

내 땅에 세금을 매긴다고? 집도 없는데 땅까지 세금 내라고 하면 너무 억울하잖아요! 특히 토지초과이득세는 이름만 들어도 부담스럽죠. 다행히도,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땅은 토지초과이득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은 무주택자가 소유한 작은 땅이 토지초과이득세에서 제외되는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은 바로 유휴토지라는 개념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는 일정 기간 동안 땅값이 크게 오른 경우, 그 이득의 일부를 세금으로 징수하는 제도인데요, 모든 땅에 다 부과되는 건 아니고 '유휴토지'에만 부과됩니다. 쉽게 말해서,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놀리는 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집도 없는 사람이 작은 땅 하나 갖고 있는 걸 '놀리는 땅'이라고 하긴 좀 그렇죠? 그래서 법에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땅은 유휴토지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

어떤 땅이 유휴토지에서 제외될까요?

  •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1항 제14호 (가)목, 같은 법 시행령 제21조 제1항 제1호, 같은 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 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땅은 유휴토지에서 제외됩니다.
  1.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1가구 구성원이 소유한 땅일 것
  2. 1필지의 나지일 것
  3. 법으로 주택 신축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지역이 아닐 것
  4. 지목이 '대지'이거나 실제로 주택을 지을 수 있는 660㎡ 이내의 땅일 것 (대지 최소 면적 미달로 건축 허가를 못 받는 경우도 포함)

만약 땅이 여러 필지라면?

땅이 두 필지 이상인 경우, 유휴토지에서 제외될 땅을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택을 하지 않고 '무주택가구 소유 나지 과세제외 신청서'도 제출하지 않았다면, 면적이 가장 큰 땅이 유휴토지에서 제외됩니다.

대법원 판례 (1995. 11. 7. 선고 93누8238 판결) 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판례에서는 무주택자가 소유한 249㎡ 면적의 대지가 유휴토지에서 제외되어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다른 토지는 유휴토지에 해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대지가 유일하게 유휴토지에서 제외되는 필지였던 것이죠.

즉, 집이 없고, 작은 땅 한 필지만 갖고 있다면, 그리고 그 땅에 집을 지을 수 있다면 토지초과이득세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무허가 주택 부속토지, 토지초과이득세 부과 대상일까?

허가받지 않은 무허가 주택이라도 그 부속토지는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하는 유휴토지에서 제외될 수 있다.

#무허가 주택#부속토지#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

세무판례

땅에 붙는 세금,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엔 어떻게 될까?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토지초과이득세법이 개정되어 무주택자가 소유한 작은 면적의 나지도 유휴토지에서 제외되도록 바뀌었는데, 이 개정된 법은 이전 과세에도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무주택자#나지#면적확대

세무판례

농지의 토지초과이득세, 언제 내야 할까? - 유휴토지의 기준과 법령상 사용제한

농지가 주거지역으로 지정되고 일부가 도로에 편입될 예정이라는 사실만으로는 토지초과이득세를 면제받을 수 없다. 실제로 토지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거나 제한되어야만 면제 대상이 된다.

#토지초과이득세#농지#유휴토지#사용제한

세무판례

농지의 유휴토지 제외, 3년의 기회?! 토지초과이득세 절세 팁!

1993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 시행령에서 유휴토지에서 제외되는 농지의 범위와 기간을 늘린 개정 내용은 이전 과세기간에도 소급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즉, 과거에 토지초과이득세를 납부했더라도 개정된 법령에 따라 유휴토지에서 제외된다면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자경농지#도시계획구역

세무판례

땅값에 비해 건물값이 너무 싸면 유휴토지? 토지초과이득세란 무엇인가?

건물 가치가 땅값에 비해 지나치게 낮으면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데, 그 기준과 관련 법 개정의 소급적용에 대한 판례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건물가치#땅값#유휴토지

일반행정판례

땅 사고 바로 안 지으면 세금 내야 할까? 유휴토지와 토지초과이득세

건축허가 제한 기간 동안 토지가 유휴토지로 간주되어 토지초과이득세가 부과될 수 있는지, 그리고 건축물 신축 목적의 의미와 건축허가 제한 기간의 산정 방법에 대한 판례입니다.

#건축허가 제한#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건축물 신축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