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7.27

특허판례

버선과 스카프, 같은 상표 써도 될까? 상표 유사 판단 기준 알아보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흥미로운 상표권 분쟁 사례를 통해 상표의 유사성 판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버선'과 '스카프'의 상표권 분쟁 이야기입니다.

삼성물산에서 특정 상표를 버선에 사용하기 위해 출원했는데, 이미 해당 상표가 스카프에 등록되어 있었습니다. 특허청에서는 두 상품이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삼성물산의 상표 출원을 거절했죠. 과연 버선과 스카프는 유사한 상품일까요?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쟁점: 상표법시행규칙상 같은 유별(기타 피복류)에 속하는 '버선'과 '스카프'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의 판단: 상표법시행규칙상 같은 유별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상품의 품질, 용도, 형상, 거래 실정 등을 고려하여 거래의 통념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히 같은 유별에 속한다는 사실만으로 유사 상품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버선과 스카프가 비록 둘 다 '기타 피복류'로 분류되지만, 실제 품질, 용도, 형상, 거래 실정 등을 고려했을 때 서로 다른 상품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버선은 발을 보호하고 따뜻하게 하기 위해 신는 것이고, 스카프는 목이나 머리 등에 두르는 패션 아이템이죠. 따라서 일반적인 거래 관념상 두 상품은 유사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관련 법 조항: 구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7호 (선출원에 의한 타인의 등록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로서 그 등록상표의 지정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는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음)

결론적으로 대법원은 특허청의 판단을 뒤집고, 버선과 스카프는 유사 상품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이 판례는 상표의 유사성 판단에 있어서 단순한 분류 체계보다는 실제 상품의 특징과 거래 실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표 출원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이 점을 꼭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상표 유사 여부 판단 - 혼동 우려 없다면 유사하지 않아요!

삼성물산이 자사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다른 회사 상표의 등록을 무효로 하려 했으나, 법원은 두 상표가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상표#유사성#무효#기각

특허판례

비슷한 상표, 무조건 안 된다고? 유사상표 판단 기준 알아보기

두 상표/서비스표에 비슷한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느낌이 다르고 소비자가 헷갈릴 가능성이 없다면 유사 상표로 볼 수 없다.

#유사상표#전체적 인상#소비자 혼동#등록무효심판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유사 상표 사용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

유명하지 않은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서로 다른 상품에 사용하는 경우,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과 저명상표 여부를 명확히 하지 않은 채 등록무효 판결을 내린 원심을 파기한 사례.

#유사상표#등록무효#저명상표#수요자기만

특허판례

비슷한 상표, 누구 거야? 상표 유사 판단 기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유사상표#호칭#발음#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상표 유사성 논란?

컴퓨터 설계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칩은 일반적인 거래 관점에서 서로 다른 상품으로 판단되어, 유사한 상표라도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는 판결.

#상표#소프트웨어#반도체#유사상품

특허판례

유사 상표 등록, 어디까지 허용될까?

이미 등록된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다른 상품에 사용하기 위해 새로 등록하려는 경우, 기존 상표가 유명하지 않다면 단순히 비슷하다는 이유만으로는 등록이 거절되지 않는다. 소비자를 기만할 우려가 있는지 좀 더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유사상표#등록거절#소비자기만#상품유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