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1.30

민사판례

부동산 담보대출과 증여세, 누가 먼저일까요?

부동산에 담보대출을 받을 때, 해당 부동산에 붙어있는 세금 문제는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증여받은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는 경우, 증여세 납부 문제가 대출금 상환과 복잡하게 얽힐 수 있습니다. 오늘은 증여받은 부동산에 대한 증여세가 담보대출보다 우선되는지에 대한 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례:

소외 1은 소외 2에게 부동산을 증여했고, 소외 2는 이 부동산을 담보로 한국화장품으로부터 대출을 받았습니다. 이후 세무서에서 소외 2에게 증여세를 부과했는데, 문제는 소외 2가 대출금을 갚지 못해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간 것입니다. 이때, 경매 대금에서 누가 먼저 돈을 받아가야 할까요? 대출을 해준 한국화장품일까요, 아니면 증여세를 징수해야 하는 국가일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국가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즉, 증여세가 담보대출보다 우선한다는 것입니다.

근거는 국세기본법 제35조 제1항 제3호입니다. 이 법은 담보대출과 세금 징수 사이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는데, "그 재산에 대하여 부과된 국세"는 담보물권보다 우선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재산에 대하여 부과된 국세"란 무엇일까요? 법원은 이를 담보물권 설정 당시 예측 가능한 세금으로 해석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담보대출 당시 이미 부동산 등기부에 증여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국화장품은 증여세 부과 가능성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9. 3. 18. 선고 96다23184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1999. 8. 20. 선고 99다6135 판결 참조)

결론:

증여받은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을 때는 증여세 납부 문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등기부등본에 증여 사실이 명시되어 있다면, 은행과 같은 담보권자는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음을 예상하고 대출을 실행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경매 상황에서 세금이 먼저 배당되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세기본법 제35조 제1항 제3호
  • 국세기본법시행령 제18조 제1항
  • 대법원 1989. 9. 26. 선고 87다카2515 판결
  • 대법원 1999. 3. 18. 선고 96다23184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1999. 8. 20. 선고 99다6135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은행 빚 vs. 증여세, 누가 먼저 받아갈까?

부동산 취득자금을 증여받아 부과된 증여세는, 그 부동산에 설정된 근저당권보다 후순위가 된다. 즉,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면 근저당권자가 먼저 배당을 받고 남은 금액이 있다면 그때 증여세를 징수한다.

#증여세#근저당권#우선순위#부동산

민사판례

상속세와 담보대출, 누가 먼저일까?

등기부에 상속재산임을 알 수 없었던 부동산에 대해, 그 이후 부과된 상속세는 기존에 설정된 담보물권보다 우선하지 않는다. 즉, 은행 빚(담보물권)이 상속세보다 먼저 갚아야 할 빚이 된다.

#상속세#담보물권#후순위#당해세

민사판례

부동산 증여와 증여세, 그리고 담보된 빚보다 먼저 갚아야 할 세금

남편 명의로 된 부동산 소유권을 아내에게 이전하면서, 남편 명의로 등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아내 명의로 등기를 했을 경우, 이에 대한 증여세는 부동산 자체에 대한 세금(당해세)이므로 다른 빚보다 먼저 갚아야 한다.

#부동산#증여세#당해세#우선징수

민사판례

부동산 담보대출, 세금보다 먼저 갚아야 할까?

저당 잡힌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팔았을 때, 새로운 소유자(양수인)에게 부과된 세금이 기존 저당권보다 우선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저당 설정 당시의 채무자에게 체납 세금이 없다면, 양수인의 세금이 '당해세'라거나 '선순위 세금'이라도 저당권보다 앞설 수 없습니다.

#저당권#양수인#세금#우선순위

민사판례

양도담보와 세금, 누가 먼저일까?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물건을 받았는데, 돈 빌려간 사람이 국세를 안 냈다면? 담보물을 압류해서 국세를 먼저 낼 의무가 있는지, 그 기준 시점은 언제인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빌려간 사람이 국세 납부 기한 *전에* 담보를 설정했다면, 담보권자가 국세를 먼저 낼 필요는 없습니다.

#양도담보#체납국세#담보설정일#국세납부기한

민사판례

저가 양도에 따른 증여세, 담보보다 후순위일까?

형제간 부동산을 시세보다 싸게 양도한 경우 부과되는 증여세는, 그 부동산에 설정된 근저당권보다 우선하는 당해세가 아니다.

#증여세#당해세#근저당권#저가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