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9.30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 추정력, 말소회복등기, 명의신탁과 가등기에 대한 이야기

부동산 거래를 하다 보면 등기와 관련된 복잡한 법률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등기의 추정력, 말소된 등기의 효력, 명의신탁과 관련된 가등기, 그리고 말소회복등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등기의 추정력: 등기는 믿을 수 있을까?

등기부에 적힌 내용은 진실로 추정됩니다. 누군가 등기 명의를 가지고 있다면, 적법한 절차를 통해 얻은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죠. 만약 등기 명의자가 "등기부와 다른 이유로 소유권을 얻었다"라고 주장하더라도, 그 주장이 사실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해서 등기의 추정력이 바로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등기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입증해야 합니다. (민사소송법 제261조, 민법 제186조)

2. 말소된 등기의 효력: 등기가 말소되면 소유권도 사라질까?

등기는 소유권과 같은 물권의 효력이 발생하기 위한 요건일 뿐, 유지하기 위한 요건은 아닙니다. 만약 등기가 부당하게 말소되었다면, 실제 소유권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회복등기 전이라도 말소된 등기의 명의자는 여전히 적법한 권리자로 추정됩니다. 말소된 등기가 무효라고 주장하는 쪽에서 그 이유를 입증해야 합니다. (민사소송법 제261조, 민법 제186조, 부동산등기법 제59조)

3. 명의신탁과 가등기: 내 땅을 지키는 방법

명의신탁이란, 부동산의 실소유자와 등기부상 소유자가 다른 경우를 말합니다. 명의수탁자가 마음대로 부동산을 처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소유자는 가등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등기원인을 '매매예약'으로 설정한 가등기라도, 실제로 매매예약이 없었더라도,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사이의 합의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명의신탁 부동산을 보호하기 위한 정당한 조치로 인정됩니다. (민법 제103조, 제108조, 부동산등기법 제3조)

4. 말소회복등기: 잘못 말소된 등기를 되살리는 방법

부당하게 말소된 등기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절차가 말소회복등기입니다. 말소회복등기를 통해, 마치 처음부터 말소가 없었던 것처럼 등기의 효력을 되살릴 수 있습니다. (부동산등기법 제75조)

5. 말소회복등기와 제3자: 다른 사람의 권리는 어떻게 될까?

말소회복등기로 인해 손해를 볼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동의를 얻거나 법원의 판결을 받아야 합니다. 여기서 '손해를 볼 수 있는 사람'이란, 등기부에 기재된 내용상 말소회복등기로 인해 권리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부동산등기법 제75조)

6. 가등기 말소회복등기와 제3자의 의무:

가등기 권리자의 동의 없이 가등기가 말소되었다면, 그 말소는 무효입니다. 이 경우, 가등기 이후에 가처분, 근저당,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제3자라도, 가등기 권리자의 말소회복등기에 동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제3자가 선의인지 악의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부동산등기법 제75조)

위 내용은 대법원 판례 (1995. 12. 26. 선고 95다29888 판결 등)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부동산 등기 관련 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가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돌아가신 분 이름으로 된 등기, 효력 있을까? 가등기도 마찬가지?

사망한 사람 이름으로 된 부동산 등기는 원인 무효이며, 가등기는 그 자체로 등기 원인이 있다고 추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등기의 유효함을 주장하는 사람이 실제 소유권 관계와 일치함을 입증해야 합니다.

#사망자 명의 등기#가등기#원인무효#등기 효력

민사판례

등기가 되어있으면 소유권 주장도 쉬워진다? 부동산 등기의 추정력

부동산 등기는 그 자체로 소유권을 증명하는 강력한 효력(추정력)을 가지며, 이는 등기 명의인이 이전 소유자를 상대로도 주장할 수 있습니다. 등기 원인에 대한 설명이 다소 다르더라도 등기 자체의 효력이 쉽게 부정되지는 않습니다.

#등기#소유권#추정력#전소유자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 그 숨겨진 이야기: 등기의 추정력과 증명책임

## 제목: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의 추정력과 그 효력 이 판례는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 등기 명의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추정력은 이전 소유자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즉, 등기가 있으면 그 등기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주장하는 사람이 그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 * **소유권이전등기의 추정력**: 부동산 등기부에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어 있으면, 등기된 사람은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누군가가 그 등기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려면, 등기가 무효라는 사실을 입증해야 합니다. * **추정력의 범위**: 이러한 추정력은 단순히 제3자 뿐만 아니라 이전 소유자에게도 미칩니다. 즉, 이전 소유자라 하더라도 등기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려면 그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 **등기원인의 중요성**: 등기의 원인이 된 계약 내용 등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그것만으로는 등기의 효력이 부정되지 않습니다. 등기가 무효가 되려면 이전 소유자의 의사에 반하여 등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증명되어야 합니다. * **공증된 문서의 효력**: 특정 목적으로 본인이 직접 공증인에게 신청하여 작성된 공증확인 및 위임장, 그리고 그 목적에 맞게 작성된 처분문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적법하게 작성된 것으로 인정됩니다. **판결 내용:** 원고는 피고와 신탁계약을 맺었으나, 나중에 피고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원고는 이 등기가 원인무효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등기의 추정력을 인정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즉, 등기가 있으므로 피고가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보았고, 원고가 그 등기가 무효라는 점을 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원고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입니다. **참조조문:** * 민법 제186조 (소유권취득의 시효) * 민사소송법 제288조 (증명책임) * 민법 제105조 (임의규정) * 민사소송법 제357조 (증거능력) * 민사소송법 제358조 (자유심증주의) **참조판례:** * 대법원 1977. 6. 7. 선고 76다3010 판결 * 대법원 2014. 3. 13. 선고 2009다105215 판결 * 대법원 1994. 9. 13. 선고 94다10160 판결 * 대법원 1997. 9. 30. 선고 95다39526 판결 * 대법원 1997. 6. 24. 선고 97다2993 판결

#소유권이전등기#추정력#증명책임#등기효력

민사판례

가등기, 본등기, 그리고 말소된 등기의 회복: 누가 책임져야 할까?

가등기에 기반한 본등기 이후, 이전에 있던 제3자의 등기가 자동으로 말소되었는데, 나중에 본등기 자체가 무효가 된 경우, 제3자는 말소된 자신의 등기를 되살리기 위해 소송을 할 필요가 없다. 등기소에서 직접 다시 등기를 살려줘야 한다.

#가등기#본등기#제3자 등기#말소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 말소와 관련된 채권자의 권리

부동산 소유자의 채권자가 채권자대위소송으로 말소등기 판결을 받았더라도, 다른 채권자는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에게 승낙의사표시를 청구할 수 있다. 이는 제3자가 전소에서 승소한 채권자라도 마찬가지다. 또한, 후행 가처분 채권자도 선행 가처분 채권자를 상대로 말소등기에 대한 승낙의사표시를 청구할 수 있다.

#채권자대위소송#승낙의사표시#말소등기#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의 추정력, 그 진실을 파헤치다!

부동산 등기는 그 명의자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추정되며, 이는 이전 소유자에게도 효력이 있습니다. 등기 원인이 등기부와 다르게 주장되더라도, 그 자체만으로는 등기의 추정력이 깨지지 않습니다.

#등기 추정력#소유권#원인무효#증명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