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4.14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해지, 대리인의 권한은 어디까지?

부동산 매매는 인생에서 가장 큰 거래 중 하나죠. 그만큼 계약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중도금 미납, 잔금 미납, 그리고 대리인의 권한에 대한 법원 판결을 살펴보면서 매매 계약 해지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들을 짚어보겠습니다.

사례:

피고는 대리인을 통해 원고에게 부동산을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금, 중도금, 잔금 지급일이 정해졌지만, 원고는 중도금과 잔금을 약속한 날짜에 지급하지 못했습니다. 대리인은 원고에게 잔금 지급일을 연장해 주었지만, 피고는 이를 알지 못하고 원고에게 계약 해제를 통보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연장된 기간 내에 잔금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려 했지만, 피고는 이를 거부했습니다. 결국 원고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1: 중도금 미납 후 잔금 지급기일이 지났을 때, 매도인은 바로 계약을 해제할 수 있을까요?

핵심은 '동시이행'입니다. 원고가 중도금을 제때 내지 않았더라도, 피고가 계약을 해제하지 않고 잔금 지급일까지 기다렸다면, 원고의 잔금(중도금 포함) 지급 의무와 피고의 소유권 이전 의무는 동시이행 관계가 됩니다. 즉, 피고는 소유권 이전에 필요한 서류를 제공하지 않고서는 단순히 잔금 미납을 이유로 계약을 해제할 수 없습니다. (민법 제536조)

쟁점 2: 대리인은 중도금/잔금을 받고, 지급일을 연장할 권한이 있을까요?

매매계약 체결 권한을 위임받은 대리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중도금/잔금을 수령할 권한도 있다고 봅니다. 또한, 계약 체결 및 이행에 관한 포괄적인 대리권을 받았다면, 매매대금 지급일을 연장할 권한도 있다고 인정됩니다. (민법 제114조)

판결:

법원은 원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대리인이 지급 기일 연장에 대한 권한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원고가 잔금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려고 했는데 피고가 이를 거부했기 때문에, 피고는 더 이상 계약을 해제할 권리가 없어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536조 (동시이행의 항변권) 쌍무계약의 당사자 일방은 상대방이 그 채무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자기의 채무이행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방의 채무가 변제기에 있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민법 제114조 (대리권의 범위) 대리권의 범위는 본인이 대리인에게 부여한 권한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 대법원 1989.10.27. 선고 88다카33442 판결
  • 대법원 1991.3.27. 선고 90다19930 판결
  • 대법원 1991.8.13. 선고 91다13144 판결
  • 대법원 1948.2.17. 선고 4280민상236 판결
  • 대법원 1991.1.29. 선고 90다9247 판결

부동산 매매는 큰돈이 오가는 중요한 거래인 만큼, 계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관련 법률 지식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대리인을 통해 계약을 진행할 때는 대리권의 범위를 명확히 확인하여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해야 하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대리권, 중도금/잔금 수령 권한도 포함될까?

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할 권한을 위임받은 대리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도금과 잔금도 수령할 권한을 가진다.

#부동산#매매계약#대리인#중도금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언제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 - 땅값 폭등 후 딴소리하는 매수인 이야기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잔금을 치르지 않을 때, 매도인이 계약을 해제하려면 단순히 잔금 미지급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소유권 이전등기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잔금 지급을 최고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다만, 매수인이 잔금을 낼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매도인이 서류를 모두 완벽하게 갖추지 않더라도 계약 해제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매도인 의무#잔금 미지급#동시이행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 잔금 미납 시 바로 끝?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잔금 미납시 계약이 자동 해제된다는 특약이 있더라도, 매도인은 원칙적으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줄 준비를 해서 매수인이 잔금을 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매도인의 이행제공 없이 잔금 미납만으로 계약이 해제되는 특약도 유효합니다. 또한, 잔금일 이후에도 매도인이 잔금의 일부를 받았다면 잔금일이 연장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매매계약#자동해제#잔금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대리인, 잔금도 받을 수 있을까?

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할 권한을 위임받은 대리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잔금도 수령할 권한을 가진다.

#부동산#매매계약#대리인#잔금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중도금 연체에도 계약 파기는 신중해야!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의 중도금과 잔금 지급 기한을 연장하기로 합의한 경우, 매도인이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야 하는 기한도 함께 연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중도금#잔금#지급기한 연장#등기의무 이행기한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계약 해지, 뭘 조심해야 할까요?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잔금 지급을 최고할 때는 등기서류 준비뿐 아니라 그 뜻을 알리고 수령할 것을 요구해야 하며, 매수인이 잔금 지급 거절 의사를 표시했더라도 계약 해제 전에 철회하면 매도인은 최고 없이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최고#이행거절